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투입 및 산출 요소 확률과정을 고려한 연료전지 발전시설 최적 투자관리 연구

        남영식 ( Youngsik Nam ),강희찬 ( Heechan Kang ) 한국경제학회 2017 經濟學硏究 Vol.65 No.3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문제의 해결을 위해 국제 사회의 온실가스 감축노력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대규모 발전사업자를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를 실시하여, 발전 부문의 주요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보급 및 확산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에 대한 투자가 요구되는 상황 속에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분산형 전원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연료전지 발전시설에 대한 투자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실물옵션을 활용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시 전력판매가격 및 액화천연가스가격의 확률과정을 고려하였다. 본 분석에서는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 발전시설 자료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고, 할인율 및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가중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액화천연가스가격에 대한 전력판매가격의 비율 관점에서 최적 투자 임계값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연료전지 발전사업 환경에 내포된 불확실성을 고려할 경우, 제한적인 조건 하에서 해당 사업에 대한 투자 경제성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deal with the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the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es have been continued in the world. In Korea,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has been implemented in the way for the large-scale power plants to expand the use of renewable energy. This study analyzes an economic feasibility of an investment on a fuel cell power plant which is widely used as a distributed resource. Specifically, this study constructs a real option model, where a stochastic process of electricity price and liquefied natural gas price are explicitly consider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collect the data on POSCO ENERGY, which is a representative fuel cell power company in Korea. The paper also provides a sensitivity analysis on the discount rate and the weight of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The result shows that, when the uncertainty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fuel cell power plant is considered, the investment on power generator has an economic feasibility under the conditional circumstance.

      • KCI등재

        태양광 REC 최적 거래 방식에 관한 연구

        남영식 ( Youngsik Nam ),이재형 ( Jaehyung Lee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20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9 No.1

        신재생에너지 발전 규모 확대를 위해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 제도가 실시되는 가운데, 발전사업자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확보하여 이를 시설 운영에 대한 인센티브로 활용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을 통해 확보된 REC는 현물시장 또는 고정가격계약을 통해 거래될 수 있으며, 현물시장 거래 시 발전사업자는 REC 현물시장 가격의 불확실성에 노출된다. 본 연구에서는 REC 현물시장 가격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태양광 발전사업자의 REC 거래 방식 최적 전환 시점을 분석하기 위해 실물옵션 분석을 실시한다. 분석을 통해 REC 거래방식을 현물시장 거래에서 고정가격계약 거래로 전환할 수 있는 REC 임계 가격을 산출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REC 현물시장 가격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경우에는 현물시장 거래가 합리적 거래 방식으로,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정가격계약 거래가 합리적 거래 방식으로 나타났다. While the 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 (RPS) is in place to expand the scale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the power producer can obtain the renewable energy credit (REC) and use it as an incentive to operate the facility. RECs secured by solar power generation can be traded through spot market or fixed price contracts, and, in the spot market trading, power producers are exposed to the uncertainty of REC spot price. In this study, real option analysis is conducted to analyze the optimal threshold of REC spot price for the conversion of REC trading method by power producer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REC spot price. We calculated the optimal threshold of REC spot price that can convert the trading method of REC from spot market to fixed price contract. In conclusion, the spot market trading is a rational trading method when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REC price, but the fixed price bidding is a rational trading method when not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REC price.

      • KCI등재

        나고야의정서 하에서의 제약산업 최적 R&D 투자관리 연구 : 기업간 경쟁을 고려한 실물옵션분석

        남영식 ( Youngsik Nam ),홍원경 ( Wonkyung Hong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6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2 No.4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나고야의정서가 2014년에 발효됨으로 인해, 유전자원 활용산업들은 이에 대한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타 산업들에 비해 유전자원 활용비율이 높은 제약산업은 해외 유전자원 활용에 따른 이익공유 시행 시 생산비용 증가가 예상되며, 이는 해당 산업의 R&D 투자전략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원 활용에 따른 이익공유 및 산업 내의 기업간 경쟁을 고려한 실물옵션 모형을 적용하여, 국내 주요 제약기업들의 최적 R&D 투자시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제적 R&D 투자의 경우 후발 투자 시보다 최적 R&D 투자시기가 앞당겨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D 투자에 따른 수익증가율이 감소할수록, 그리고 유전자원 이익공유비율이 증가할수록 최적 R&D 투자시기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선제적 R&D 투자를 통한 수익향상 효과가 존재할 경우 제약기업들의 적극적 R&D 투자에 대한 유인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The industries related with the genetic resources are facing with the situation that they should implement the benefit sharing of the genetic resources, after the ratification of the Nagoya Protocol. Especially, the production cost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s expected to increase according to the benefit sharing, since the industry has a higher utilization rate of the genetic resources than the other industries, and the R&D investment in this industry can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Nagoya Protocol.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optimal timing on the R&D investment of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by real option model, considering the benefit sharing and the preemption effect. The result shows that the company leading the R&D investment can get an earlier economic feasibility than the following, but, on the contrary, as the rate of increase of benefit from the R&D investment decreases and the rate of the benefit sharing increases, the timing on the economic feasibility from the R&D investment can be postponed. The result also implies that, as the rate of the benefit sharing increases, the incentive on becoming a leading company can incr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