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속학의 존립 기반을 다시 묻다 -‘깔때기’ 독일 민속학사론을 중심으로-

        남근우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30 No.-

        When roughly summarizing, it is probably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methodological trend of Korean folklore in recent decade is the exuviation of essentialist folklore. In the process of the exuviation, there have been also sharp controversies and debates on the evolution of methodologies. The theme of this academic conference, “reconsidering folk, people, and ethnicity” may not be irrelevant to their effective limits. This is because it intends to examine the core concepts and dominant narratives that define the Korean folklore in depth from different perspectives. Specifically, it is the purpose looking for an alternative methodology by reconsidering the self-evidentness of ‘folk, people, and ethnicity’ and the ‘story of annihilation’ based on it. Moreover, this ‘reconsidering’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were some insufficiencies or doubts in the related previous dialogue including above controversies. Turning its attention to the folklore of Germany, the birthplace of essentialist folklore,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foundations of folklore and its existence more fundamentally. Because sharing the accomplishments from questioning “what is folklore” in the point of origin with focusing on H. Bausinger’s theory, and Kono sin’s study, which is interested in illustration of the formation and trend of Volkskunde, seems to beneficial for us to find an alternative methodology of folklore. This article’s subtitle “Funnel” German Folklore Studies’ readily summaries the contents of it. It also adds some preliminary considerations on how it could contribute to the methodology of Korean folklore and its academic study. 최근 10여년 사이 한국민속학의 방법론적 동향을 거칠게 간추리면 본질주의 구제 민속학의 탈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겠다. 그 탈각 과정에선 방법론의 전회를 둘러싼 첨예한 논쟁과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다. 실천민속학회에서 이번 정기 학술대회 주제로 「민속, 민중, 민족을 다시 묻다」를 기획한 것은 아마도 그것들이 가진 실효적 한계와 무관하지 않겠다. 기왕의 한국민속학을 규정한 핵심 개념과 지배적 내러티브를 다각도로, 심층적으로 짚어보려는 의도로 읽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민속, 민중, 민족’의 자명성과 그것에 기초한 ‘소멸의 이야기’를 재고하여 대안적 방법론을 모색하자는 게 그 취지일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번의 ‘다시 묻다’는 위의 논쟁과 공방을 비롯한 종래의 관련 문답에 어떤 미흡함이나 의문 등이 있어 상정된 것일 터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본질주의 구제 민속학의 발상지인 독일의 민속학사로 눈을 돌려 민속학의 사회적 성립 기반과 그 존립 양상을 보다 근본적으로 살펴보았다. 폴크스쿤데의 형성과 추이를 흥미롭게 도해한 연구, 게다가 바우징거(H. Bausinger)의 지론을 중심으로 민속학이란 무엇인가를 그 생성과 존립의 원점에서 ‘다시 물은’ 성과를 공유하는 게 한국민속학의 대안적 방법론을 모색하는 데 유익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다름 아닌 부제에 보이는 「‘깔때기’ 독일 민속학사론」으로, 이 글에서는 우선 그 골자를 알기 쉽게 정리해보았다. 이어 그것이 한국민속학의 방법론과 학사 탐구에 어떤 보탬이 될 수 있는지, 약간의 예비적 고찰을 덧붙였다.

      • KCI등재

        누구의 무엇을 위한 ‘실용’인가?- 한국 민속학의 실천성 재고

        남근우 국립민속박물관 2013 민속학연구 Vol.0 No.33

        The main topic at the korean folklorist symposium of the year is "Folklore in the era of the practical and the performance system". With respect to this topic, I think the important tasks to be reflected are the following questions. Does the korean folklore have been solely focused on research, regardless of the practical so far? Rather, aren't there more such cases like to toe the government line and to serve in the capital with excuse to practical use of folklore? Also, aren't there more such cases to ignore the real life of people live "now and here", as to be devoted to folk as the remnants of old customs? As a result, aren't such cases the actual reason caused to the crisis of folklore useless in real life? In order to reflect this questions, examined this paper critically the existing practice-oriented studies. Especially focusing on ‘who and what is practical for?’, it rethought the important previous studies. At first, it investigated the thesis leading Chosun entertainment of Song and its realizing process and the studies of Song swayed between the government-patronized practice and the practice for the people. Next, focusing on the ‘New community movement’ caused the structural change of rural society and ordinary life at large, examined the paper the folklore noted this top-down modernization project with its salvage thesis and the incomplete thesis for present. Though it clarified this paper the crisis of folklore today we have reached, was induced from the studies ‘folklore without actor.’ And then this paper pointed out the conformism of salvage folklore that have served in making the local folklore to national property,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o global cultural heritage. Consequently, the anti-essentialist folklore should be oriented to the polyphony and layered situation of subjects in the field, and our practical task is just the critical gaze and deep understanding to the micro field unfolding their everyday life.

      • KCI등재

        그린 투어리즘의 문화정치학 -B마을의 관광 실천을 중심으로-

        남근우 한국민속학회 2012 韓國民俗學 Vol.56 No.-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the social change of B village in Taean-gun, Chungcheongnam-do, with the village making of green-tourism. How did people in small community constitute actively their ordinary life-world through the tourism practices, who has been regarded as the subordinated against social structure? And which trial and errors and conflicts did rise and how they were controled, adjusted and compromised?This paper made clear in that process were not only harmony and cooperation but also oppositions and conflicts. The causes and process of that diverse situation can summarize two as follows. One of that was about the issues of belonging and leading of ‘Playing Byutgaritae’ symbolized ‘rural tradition’, the another was about the issues of profit distribution of tourism practices. The former represented the conflict with the outside in the beginning of the business of B village, and the latter represented the conflict between the insiders and inhabitants since the business gat warmed into work recently. That latter conflict caused the invitation of diverse controls and settlements, moreover the active changes of managerial system of the business. Consequently I hope to accumulate case studies about these thesies and to formulate the meaningful generalization and theorization about diverse situation around the green-tourism practices. 이 글에서는 충청남도 태안군에 위치한 B마을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린 투어리즘의 마을 만들기에 따른 지역사회의 변화 과정을 고찰했다. 거시적인 구조변동의 종속적 존재로 간주되어온 작은 공동체의 생활자들이 이 미시적인 관광 실천을 통해 자신들의 생활 세계를 어떻게 능동적으로 구축해 가는지? 아울러 그 과정에서 어떠한 시행착오와 대립 갈등이 일어나며 또 어떻게 조정과 봉합이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았다. ‘농촌전통테마마을’ 조성 사업을 계기로 B마을이 펼친 지난 10년간의 관광 실천에는 화합과 협력뿐 아니라 대립과 갈등도 존재했다. 그 다성적(多聲的) 상황의 발생 원인과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의 두 가지로 간추릴 수 있겠다. 하나는 ‘농촌전통’을 표상하는 ‘볏가릿대놀이’의 귀속과 주도를 둘러싼 것이고, 또 하나는 관광 실천에 따른 부가가치의 배분을 둘러싼 것이다. 전자는 B마을 외부와의 대립 갈등으로 테마마을 조성의 초기에 발생한 것이며, 후자는 마을 내부의 관계자들과 주민들 사이의 그것으로 관광 실천이 본궤도에 오르고 나서 최근 2, 3년 사이에 현재화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후자의 내부적 갈등은 그 조정과 수습을 위한 시행착오 과정을 거치면서 체험마을 운영 방식에도 큰 변화를 초래하는바, 금후 이에 관한 사례 연구가 집적되어 농촌관광 실천의 다성적 상황에 대한 유의미한 일반화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체제와 동아시아 민속학 - 중국과 일본의 경우를 중심으로 -

        남근우 국립민속박물관 2015 민속학연구 Vol.0 No.37

        This paper tried to ask crit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me of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east-asian folkloristics. Concretely, it examined how the folkloristics of Korea, China and Japan have dealt with the current issues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t addressed how the folklore researchers have involved in that global system practically. Especially, it focused on the trend and results of China and Japan folkloristic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y present much of different in that the coordinated response between the state and science on a nation wide scale, and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 of related legal system ; and the loyalty of folkloristic to the supremacy ideology and its practical logics. This paper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critical argument of Siaidon(China) and Iwamoto Michiya(Japan). They criticized the tendency of ‘chinese folkloristic as the stud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japanese folkloristic as the study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Because the dealing with the local folklore as the national cultural property and global cultural heritage hinder the political independence of science and aggravate its frivolity ; besides folkloristic who have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practical life of people with the sympathy, make the folk as cultural property and heritage with arbitrary choice and cut, thereby lead in making the local folk with equivalence to hierarchic heritage. 작년 가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체제의 비판적 검토」를 주제로 내건 비교민속학회의 정기 학술대회가 주의를 끈다. 민속 혹은 무형문화유산을 연구 대상으로 국제적 차원에서의 논의를 주요한 연구 지향점으로 삼는 비교민속학회에서 작금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체제를 무심히 바라봐서는 안 되겠다는 문제의식이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부연하면, 비교민속학회의 특장을 살려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체제’가 내포한 현실적인 문제들과 이론적인 과제들을 국제적 차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해보자. 이런 시의적절한 문제의식이 위의 학술대회엔 깔려 있었다고 보인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취지와 문제의식이 널리 공유되어 생산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고는 보기 어렵다. 동아시아 삼국의 발표자들이 대부분 자국의 특정 무형문화유산 문제를 지엽적으로 거론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그것도 유네스코 체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보다는 체제를 지향하거나 무의식적으로 옹호하는 논의가 주를 이뤘다고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위 학술대회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체제와 동아시아 민속학의 관계성을 비판적으로 묻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지난 10여년 사이 한중일 삼국의 민속학이 무형문화유산 혹은 ‘비물질문화유산’의 현안 과제를 어떤 관점에서 어떻게 다뤄왔는지 고찰해보았다. 아울러 민속학의 전문 연구자들이 이 현실적인 글로벌 시스템에 어떻게 관여했는지도 함께 짚어보았다. 특히 그 대상화와 관여 방식에 크고 작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 중국민속학과 일본민속학의 동향과 관련 성과들을 집중적으로 살펴, 한국민속학의 반면교사나 타산지석으로 삼아보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