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남궁원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한국사상과 문화 Vol.36 No.-
Collection Aspects of Textbook Hanmunhakgyogwaseo(漢文學敎科書) in Enlightening period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tion / Namgung Won 본고는 1907년 7월에 발간된 중등 한문 교과서인 한문학교과서(漢文學敎科書)를 대상으로 이 책의 편찬자와 발간 배경 그리고 한문학 작품의 수록 양상 등을 고구할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한문학교과서는 2권 2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권은 우리나라 고문 작가들의 글이고 제2권은 중국의 작품들이다. 본고에서는 제1권에 한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사실상 이 책의 편찬을 주도한 여규형은 당시 최고의 한문 문장가였다. 그가 성품이 굳세지 못하고 결국 친일의 길을 걸음으로써 불행한 행적을 남기고 말았지만 한문에 대한 이해와 지식 그리고 창작 능력 등은 뭇사람의 인정을 받았다. 그는 유교와 한문을 동일한 하나로 규정하고 유교와 한문의 수호를 위해 노력했고 한문과 중등학교 교사로 일하며 한문 교육에도 지대한 관심을 쏟았다. 변화된 여건에서 한문 교육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개발이 필요했고 교사로서 현장에서 직접 이러한 필요를 절감했을 여규형이 직접 교과서 개발에 나선 것은 자연스런 일이다.당시에는 논설과 토론이 크게 유행하였고 특히 논설 쓰기는 각광 받는 글쓰기였다. 신문과 잡지에서도 논설이 주목받았고 각종 시험에서도 논설은 중요한 글쓰기였다. 이런 점에 유의하여 여규형은 논변류의 작품들만으로 교과서를 제작하였다. 한문학교과서는 고려와 조선의 명문장가의 고문 작품들 중에서 논변류만을 선취한 ‘논변선집’이다. 여규형은 수록 작가를 선정함에 있어 각 시기별 안배를 염두에 두었다. 이 점은 동문집성이나 여한구가문초, 대동문수 등 다른 선집류와 다른 점이다.여규형은 수록 작품들에 대해 일일이 평가하고 자신의 견해를 짤막하게 기록하였다. 대부분 당송의 고문이나 진한의 고문에 이른 작품들을 높게 평가하되 당송진한 중 어느 한 편에 치우치지 않았다.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다 같이 평가하고 주석도 가하였다.오늘날의 기준에 의하면, 한문학교과서는 한문과 교과서로 적합하지 않다. 내용이 어렵고 하나의 문체만 배우게 되는 약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한문학의 대가들의 면모를 고르게 알 수 있고 고려와 조선 전 시기의 고문 명작들을 접하게 하는 점은 장점이다. 한문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는 시점에서 탁월한 한문 능력을 구비한 대가에 의해 선집류 교과서가 만들어졌다는 것은 한문교육사는 물론이고 한문학사에서도 크게 의미를 부여해야 할 일이다.
남궁원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heck over the trait and the direct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hinese tests are not only academic test concerning chinese subject but also have in common with SAT Ⅱ in U.S.A. In addition, chinese tests play roles in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norm-referenced test. I think chinese tests also should follow the content and level of chinese on n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Thus the trait of chinese test also should be to evaluate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basic chinese characters and written texts. The objectives of chinese test should focus on abilities to read and write basic chinese characters, and to obtain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and written texts. Two 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test objectives follows such as content areas, behavior areas. Content areas were divided section as reading, writing,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and written text, and traditional culture. Behavior areas were divided parts words, knowledge in language, understanding, practical application. Assessment elements in reading areas consist of sound, understanding in chinese character and choosing main ideas, checking key sentences and details, and searching for cause-effect and prediction. Also Assessment elements in writing areas are made up of writing as sound, completing sentences and cloze test. Chinese test should be outlined with new following paragraph, not textbook. If possible length of following paragraph is shorter than usual, if necessary revise them. Also choose good following paragraph, not redundancies or unpractical contents. 본고는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영역 시험 대강에 걸쳐 논쟁이 될 만한 것들 즉 한문 영역 시험의 성격은 어떻게 규정되어야 하는가, 적정한 범위와 수준은 무엇이며 시험의 내용은 무엇들로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하는 문제들을 다룬다. 한문 영역 시험은, 1993학년도부터 실시되어 온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기본 성격인 통합교과적이고 고등정신능력 측정 중심의 평가와 달리, 한문이라는 개별 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학력 평가의 성격을 띤다. 또 한문 영역 시험은 미국의 자연 과학, 사회 과학과 제2외국어를 평가하는 시험인 SATⅡ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SATⅡ(미국 대학수학능력시험)는 학교에서 배우는 학과목 중에서 특정 과목을 선정하여 이 교과에 관한 지식, 기능을 측정한다. 한문 시험이 제2외국어와 함께 선택 대상이 된 것은, 전통 문화와 한문 전적 접근 가능성이 높은 학과 지원 학생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시험에 응하게 하는 상황을 조성하였다. 한편 한문 영역 시험은, 개인의 지식․기술․성취의 현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가르치고 배운 내용을 얼마만큼 알고 있느냐를 측정하는 학업 성취도 검사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끝으로 한문 영역 시험은, 응시생을 서열화하고 표준점수로 성적을 기록한다는 면에서 규준참조검사적 성격을 갖고 있다. 이러한 성격들을 바탕으로 필자는,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영역 시험의 성격을 기초적인 한문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한문이 대학 교육에서 도구 과목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한자 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점을 반영하여 고등학교 ‘한문’ 과목에서 학습한 내용과 수준을 토대로 대학에서 학문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한문의 읽기 및 쓰기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라고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한문 영역 시험의 목표를 한문을 읽어 이해하는 능력과 간단한 한자의 쓰기 능력 그리고 한자․한문과 관련한 기초적인 지식에 대하여 평가하며 더 나아가 선인들의 삶의 총체인 전통 문화에 대하여 평가하는 데에 둔다. 필자는 내용 영역을 읽기, 쓰기, 한자 한문 지식, 전통 문화 등 4개 영역으로 나누고 다시 읽기 하위 영역으로 성어, 속담․격언, 한시, 산문, 국한혼용문을 제시하였으며 쓰기 영역의 하위 영역으로 한시, 산문, 국한혼용문을 두었다. 행동 영역은 어휘력, 지식, 이해(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종합적 이해), 적용 등으로 구분 고안한 이원 분류표를 제시하였다. 읽기 영역의 평가 내용은 단순히 한자들의 독음을 읽어 내는 것으로부터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한자를 이해하는 능력과 대의 개괄 능력, 중심 생각 파악과 세부 내용 파악, 인과 관계 파악, 예측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또 쓰기 영역의 평가는 제시된 독음에 알맞은 한자 쓰기, 한시 대우 완성하기, 빈칸 메우기 등을 평가하도록 한다. 한문 영역 시험을 출제할 때 어휘 출제 비율을 축소하고, 원칙적으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평가 범위로 하되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한다. 교과서 소재 지문 출제는 공정성 시비 등 문제 발생의 소지가 있고 학생들이 10종류의 교과서 전체를 학습해야 하는 부담을 야기하므로, 아예 한 교과서만 착실히 학습하여도 해결이 가능한 수준의 교과서 밖 지문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제 지문 길이는 학생들의 역량을 고려하여 제한하고 필요한 경우 원문을 생략 또는 수정 제시하는 방법 ...
包括的 音樂學習 方法이 國民學校 音樂教育 發展에 미치는 影響
南宮垣 김천대학교 1988 김천대학교 논문집 Vol.9 No.-
Today, the musical education of growing children has for its object that the children enjoy music and express themselves by the musical activity. So the children could bring about better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reative, originality mind and their art instinct. The specific quality of new musical education is to affor the children many opportunities. It gives the children the co- mprehensive musical education. And they could be able to perc-eive, react, get a musical feeling about the things and know from experience. In the new method of musical education. We have been taking an aim at teaching the music as original art on the whole. Another wish for studying is to develop each person's ability and personality. because in the conventional type of teaching music, they have taught music just as practicing an art. They didn't concern about one's personality and one's unique talent. In the musical education, Teachers should help childern to develop their musical ability. So, growing children should get the comprehensive musical education in arder to cope with our rapidly changing world situ-ation I would like to recommand an advisable musical education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an advisable comprehensive course.
南宮垣 김천대학교 1979 김천대학교 논문집 Vol.1 No.-
Vocalization means the sound created by the air breathed out of the lungs when it passes through the vocal cords while singing songs. The characteristics of voice are decided by the vocal organs including the vocal cords located at the top of the windpipe or the trachea, other auxiliary vocal organs such as the tongue, lips and teeth which make upp the respiratory sound and tones of the lungs which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movements of the vocal organs connected with the wi-ndpipe, and the conditions of the thorax, the nasal cavity, the oral ca-vity and the pharynx which, as the organs of coelon resonance, are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sound.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depend on one’s singing posture related with the muscles of various organs. It is generally called the vocalization for a singer to train all the above mentioned organs to master the highly sophisticated vocal techn-ique. The most important thing of the vocalization is to breathe in a proper and natural way unaware of the respiratory movements while singing songs. Beautiful songs are created only by the well-controlled breath of a singer and it is possible for a singer to control the flow of the musical symbols by means of controlling the pelvic muscles, hip muscles and diaphram muscles.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vocaliza-tion should be studied from the physiological point of view, but the most desirable way of studying vocalism is to practise it after a su-ficient practice of breathing. The following is the recommended order of singing practice. Reading-Diction-Voice-Technic-Phrasing-Mood Mastering the singing technics as recommended above, a singer nee-ds the technic of performance such as the balance and unification, le-gato, sostenuto, stacato and flexibility. For this reason, it is a long and hard way to study music. It is my opinion that a singer requires not only native talent but also an en-dless efforts to become a successful vocal s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