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분노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친구의 반응과 분노표현방식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나현(Nahyeon Kim),김희화(Heehw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의 분노에 대한 어머니 및 친구의 반응과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청소년의 분노조절향상과 문제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어머니 및 친구의 적절한 반응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1, 2학년 561명이다. 초기 청소년의 분노에 대한 어머니 및 친구의 반응,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 문제행동 변수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측정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은 신뢰도 계수 Cronbach’ α 산출, pearson 상관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25.0 버전과 Amos 25.0 버전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초기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분노거부 반응, 친구의 분노거부 반응, 분노표출, 어머니의 분노지원 반응, 친구의 분노지원 반응, 분노조절 순으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친구의 분노지원 반응은 분노조절을 매개하여 문제행동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와 친구의 분노거부 반응은 분노표출을 매개하여 문제행동에 간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접적 영향도 미쳤다. 청소년의 분노조절에는 어머니보다 친구의 분노지원 반응이 더 큰 영향을 미쳤고,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대한 직⋅간접의 총효과는 어머니의 분노거부 반응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결론: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와 친구가 분노지원 반응을 함으로써 청소년의 분노 조절을 향상시켜야 하며, 어머니와 친구가 분노거부 반응을 지양함으로써 청소년의 분노표출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actions of mothers and friend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the means the adolescents adopt to express anger, and their problematic behaviors. The resulting data is expected to improve anger control and prevent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s by suggesting adequate reactions. Methods: A total of 561 young adolescents in 1st and 2nd grades in middl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problematic behaviors, the reactions of mothers and friends to their anger, and the means of their anger expression were assess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methods included Cronbach’s α,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estion modeling(SEM).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Results: First, young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s were correlated with in the order of mothers’ anger rejection, friends’ anger rejection, anger out, mothers’ anger support, friends’ anger support, and anger control. Second, the anger support of mothers and friends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problematic behaviors mediated by anger control. In addition, anger rejection of mothers and friends showe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problematic behaviors mediated by anger out.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mothers and friends need to increase anger support reactions and decrease anger rejection reactions in order to foster young adolescents’ anger control and to reduce anger expressions and problematic behaviors.

      • KCI등재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대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스마트미디어 중재 및 유아 자기조절력의 인과적 영향

        현지(Hyunji Kim),김희화(Heehw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및 스마트미디어 중재, 유아 자기조절력의 인과적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부산과 경남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 3~5세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283명이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또래유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넷째,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및 스마트미디어 중재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통하여 또래유능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유아의 또래유능성 향상은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및 스마트미디어 중재가 유아의 자기조절력 변화를 초래하여 이뤄짐을 시사해 준다. Objective: This study analys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smart-media mediation, as well children’s self-control and peer competence tendency. Method: Two hundred and eighty-three mothers of children aged 3–5 years were recruited as study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The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Results: First,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smart-media medi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elf-control. Moreover, children’s self-control affected their peer competence. Second, children’s self-control indicat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Moreover, children’s self-control indicat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mothers’ smart-media mediation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o improve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ir self-control can be managed through mothers’ increased play participation and smart-media mediation.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의 코칭역량 및 합리적 지도, 유아의 실행기능 및 친사회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백선정(Sunjung Baik),김희화(Heehw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2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3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어머니 및 아버지의 코칭역량, 합리적 지도, 유아 실행기능의 인과적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만 3세~ 5세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및 아버지 193쌍이다. 부모의 코칭역량 및 합리적 지도, 유아의 실행기능 및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과 Amos 25.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고,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계수 산출, pearson 상관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코칭역량 및 합리적 지도, 유아의 실행기능 및 친사회적 행동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어머니와 아버지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경로가 유의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코칭역량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합리적 지도, 유아의 실행기능을 이중매개하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결론: 어머니와 아버지의 코칭역량 함양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을 도모하는 중요한 부모역할로 관심을 두어야 한다. 코칭역량이 높은 어머니와 아버지는 합리적 지도를 통해 유아의 실행기능 발달을 촉진하고 이로 인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발달은 증가한다. Objective: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aching competence, parents’ reasoning guidance,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Further, it also aims to evaluate whether parents’ reasoning guidance and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aching competence an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193 dyads of parents who had preschoolers aged 3, 4 and 5 yea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using the programs SPSS 25.0 and Amos 25.0. Result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parents’ coaching competence, parents’ reasoning guidance,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Second, parents’ coaching competence had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Further, parents’ reasoning guidance and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had a dual mediation effect between parents’ coaching competence an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Conclusions: Fostering parents’ coaching competence may be a factor in developing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Further,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process that parents’ coaching competence affects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 KCI등재

        아동과 청소년의 다문화 태도 관련변인 메타분석

        전란영(Jeon, Ranyeong),김희화(Kim, Heehwa)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의 다문화 태도와 관련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메타분석을 하였다. 생태학적 접근으로 관련변인을 범주화한 후 개인적 변인, 미시체계 및 외체계 변인 각각의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국내외에서 발표된 105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56개 변인, 732개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각 변인을 체계별로 분류한 결과 개인적 변인(30개), 미시체계 변인(23개), 외체계 변인(3개)으로 구분되었고 중간체계 및 거시체계 변인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개인적 변인 중 사회지배지향성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개인적 변인 중 큰 효과크기의 변인은 없었으나 공감과 배려, 집단 간 불안, 위협인식, 편견, 자아존중감, 자민족중심주의 등이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학업성취 등은 작은 효과크기였다. 미시체계 변인에서 중요 타인의 다문화 태도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고, 중요 타인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교육은 큰 효과크기였다. 부모의 편견, 학급의 다문화 통합적 분위기, 또래관계, 부모의 양육 등은 중간 효과크기였고 교내/급내 이주민 학생 수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작은 효과크기였다. 외체계 변인에서는 다문화 미디어 경험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다문화 미디어 경험과 지역사회인식은 중간 효과크기였고 지역사회 내 이주민 수는 작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아동과 청소년의 다문화 태도와 관련된 변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의 다문화 태도를 향상하는 개입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related variabl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ccordance with ecological approaches. After categorizing the variables into the categories of personal, micro system, and exo systems, based on the Ecological approach, this study calculated th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This study analyzed 105 studies published in both Korea and abroad. There were a total of 56 variables included in personal, microsystem and exo system variables, and 732 effect sizes. Among the personal variables, a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empathy showed a relatively larger effect size than the other variables. Among the micro system variables, a multicultural attitude amongst significant others, multicultural education showed a large effect siz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media was shown to have a relatively larger effect size, compared to others among the exo system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ables related to a multicultural attitud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hich can in turn be used as a standard for futur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enhance multicultural attitudes.

      • KCI등재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 및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손현주(Hyeonju Son),김희화(Heehw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1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성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한 어머 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와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유아의 놀이성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모교육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 248명과 그들의 어머니,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부 정적 정서성은 유아의 놀이성,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유아 의 놀이성은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성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정서성이 높은 유아의 놀이성이 낮아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자녀가 표현하는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적 태도가 중요하 고 평소 어머니가 긍정적인 정서를 더욱 많이 표현하려는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primarily aime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layfulness. It aimed to provide parent education materials. Data were gathered from questionnaires for three- and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N=248)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playfulness and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Children’s playful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mothers’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layfulness. Third,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layfulness. This suggests that mother’s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re important to prevent a decrease in playfulness of children with high negative emotions.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안수민(Sumin Ahn),김희화(Heehw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1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고등학생의 직업가치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경남지역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409명이며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산출, Pearson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인 간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모형을 검정하였고, 측정변인들 간의 총효과와 직․간접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방법에 따라 수행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 정보적지지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 하였다. 둘째, 모 정서적지지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 하였다. 셋째, 부 정보적지지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 및 모 정서적지지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내적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인들의 총효과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모 정서적지지, 내적 직업가치관, 부 정보적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변인과 개인 심리 내적 변인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부 정보적지지는 진로결정수준에 내적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모 정서적지지는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내적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통해, 부모가 각각 자녀의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변화 과정을 거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work valu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ir parent career support process. The data of 409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freshman year, living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s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information-related support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however, it had an indirect affect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mothers emotion-related support had a direct impact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as well as indirect affect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information-related support and mothers emotion-related support with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indicated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work valu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urth, the total effect of each variable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was in the order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others emotion-related support, intrinsic work value and fathers information-related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elucidat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internal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results that both fathers information-related support has an indirect effect and mother emotion-related support has a direct and an indirect affect (mediated by intrinsic work valu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career decision status suggest differences in parents effects on their child s career decision status.

      • KCI등재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박태현(Taehyeon Park),김희화(Heehw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23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4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부산에 소재한 2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306명이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초기 청소년의 분노표출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기본심리욕구 만족을 매개로 분노억제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분노억제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분노억제에 미치는 순차적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의 이해와 지도하기 위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 내용 및 청소년 상담 방향을 제시하였다.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reveal the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internalize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06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of two middle schools in Busan. Frequenc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Results: First, the direct effect of parents’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on the anger-out in early adolescents was significant.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such attitudes on anger-in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Third, the indirect effect on anger-in through internalized shame was significant. Fourth,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n anger-in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internalized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for parental education programs and interventions in youth counseling for the understanding and guidance of anger-out and anger-in of early adolescents.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필요성 및 인성의 구인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

        강유진 ( Eugene Kang ),전란영 ( Ranyeong Jeon ),지나 ( Jina Kim ),김희화 ( Heehwa Kim ),박종석 ( Jongseok Park ),손정우 ( Jeongwoo Son ),조혜숙 ( Hyesook Cho ),남정희 ( Jeonghee Na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4

        인성교육은 주로 도덕교과에서 교육하는 주제로 인식되어져 왔지만, 최근에는 다른 교과에서도 통합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과학교과에서도 인성교육에 대한 몇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과학교과 고유의 인성교육의 필요성이나 인성구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교사, 과학교과 전공 대학교수, 및 연구소 연구원을 포함한 과학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포커스 인터뷰를 통해서 인성의 필요성 및 인성 구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전문가들은 과학자들의 활동에 내재된 인성, 학교현장의 요구, 탐구적 지식 습득을 위해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인성의 도덕교육적 측면과 시민교육적 측면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본질적 인성의 구인 4가지(정직, 공감, 관용, 자아존중), 실천적 인성의 구인 7가지(개인적 차원; 성실, 책임, 자기조절: 사회적 차원; 배려, 개방성, 소통, 협력)를 제시하였는데, 전문가들로부터 타당성과 중요도를 인정받았다. Recently it has been claimed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applied not only in ethics but also in other disciplines including science education. With several attempts at character education in previous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the examination of its requisite and components is needed.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necessity and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to be improved upon in science classes through questionnaires and focus interviews of experts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such as secondary school teachers, professors, and researchers. They recognize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adopted in science education with three backgrounds: scientist activities, the field of secondary school, and inquiry education. Based on moral education and citizenship,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class are comprised of four essential character elements including honesty, sympathy, tolerance, and self-esteem, and seven practical character elements that are divided into personal qualities: sincerity, responsibility, and self-control and social qualities: consideration, opennes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eir validity and importance are accepted by expe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