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빙 제품디자인에 적용된 감성조형에 관한 연구

        김흥렬 ( Kim Heung-ryeol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2 No.-

        본 연구는 리빙 환경에서 제품디자인에 적용된 감성조형의 조건과 특징, 그리고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감성도구로서 디자인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적절한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아날로그적 가치를 재평가하게 하였고, 점점 더 진화되어가는 디지털 기술과 문화를 통해 인간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계속하게 만들었다. 변화하는 리빙 환경은 제품디자인의 전통적인 방법과 프로세스를 다각화 시켰으며 개인과 가족의 생활양식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확산시켰다. 이러한 환경은 디자인이 단순히 조형의 대상으로 접근하여 구조적인 가치로서의 만족을 느끼는 현상이 아닌, 과학화로 이미 상실되거나, 상실되기 쉬운 디자인의 비인간화 현상을 해결하려는 감성적 노력의 도구로 사용목적을 두게 하였다. 특히, 21세기를 기점으로 인간 내면과 자연과의 유기적인 조화를 모색하고 자원절약과 인간 본질 회복이라는 목표를 지향하는 이슈가 디자인분야에서 빠르게 확산되어 물질적인 가치보다 정신적인 가치를 목표로 하는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디자인 조형과 감성은 디지털과 아날로그라는 접근 기술은 다르지만 시각적 스타일은 촉각적 감각으로, 기능적 효율은 이미지의 개념 가치로, 지금보다는 내일을 보는 에코적 사고 등으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리빙 환경에서 디자인의 가치는 단순히 조형을 기반으로 한 형태적 구조접근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감성의 영역이 존재함으로 가장 보편적인 개념으로 감성디자인이라고 정의하고 명칭하기로 한다. 본 연구는 리빙 제품디자인에 적용된 감성조형 도출을 위해 사용자 환경과 물리적, 심리적 조형, 개념원리 및 그에 따른 접근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studies wish to review value of design and present suitable direction by a sensitivity tool through condition and characteristic, and various example of sensitivity modeling that is applied in product design in living environment. Change of lifestyle made to continue quest for human`s essence through digital and culture that revaluated Analog value, and is extinguished gradually better. Changed living environment did so that diversify traditional method and process of product design and did individual and family lifestyle so that diffuse through new paradigm. This environment was lost already, or did use purpose two crabs by tool of effort the sensitivity enemy to solve dehumanization phenomenon of design that is apt to be lost by science that is not phenomenon that design feels satisfaction as structural value approaching by target of style simply. Specially, issues that 21th century floral tributes that is organic with human inside and nature by origin grope and intends target called resource reduction and human essence recovery is spread fast in design and study and development that do more spiritual value than material value are achieved. Design style and sensitivity access technology called digital and analogue differs but visual style is sense the sense of touch enemy, functional efficiency is concept value of image, is presenting various method to accident back the echo enemy who will see tomorrow than now. Value of design decides to define that it is sensitivity design to concept that is the most universal that area of sensitivity that can not be settled to formal structure vicinity that do based on style simply exists and do name in living environment. The studies presented user environment division physical, psychological style, concept principle and accordingly access direction for sensitivity design style deduction which is applied in living product design.

      • KCI등재

        은유적 개념요소의 디자인구조 표현에 관한 연구

        김흥렬 ( Kim Heung Ryeol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7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21세기 첨단사회에서도 디자인은 새로운 형태와 가치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특히 디자인 구조를 생성하는 방법은 많은 디자인 현장과 교육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은유적 개념을 통한 디자인구조 표현을 단계적이고 논리적으로 가시화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디자인 조형구조를 표현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은유적 접근은 대체적으로 제품디자인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관련 선행연구는 대부분 제품조형의 은유적 표현사례, 디자인 감성구조를 바탕으로 연구되어 있다. 따라서 은유적 디자인구조 표현방법을 연구범위로 하고 연구단계를 디자인 조형정의, 개념요소의 분류, 은유적 요소의 적용단계, 기초 디자인 교육을 통해 방법제시로 한다. 제품디자인 중심으로 애플, 무인양품, 뱅앤올룹슨 등의 제품에서 브랜드의 철학과 디자인 조형 가치의 중요성은 나타난다. 디자인 형태와 구조에서 기하학적, 유기적 구조와 자연 등의 모방을 통한 형태 응용은 많은 디자이너들이 디자인구조를 접근하는 수단으로 사용 하였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개념요소를 상징적, 은유적, 그리고 경험적 개념으로 분류하고 디자인 생성단계로 상징성에서 개념은 가시화되어 은유적 표현을 통해 구조화 된다. 개념요소의 디자인구조 표현단계를 기초 디자인교육을 통해 무형 주제와 유형 주제를 개념을 설정하고 상징화 과정과 은유적 단계를 거쳐 디자인 조형구조로 표현되는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생성된 디자인구조 표현방법은 다양한 디자인범위에서 활용될 수 있고, 각 요소별로 세분화된 후속 연구로 이어가야 한다. In the 21st century, design is rapidly changing to new forms and values. In particular, the method of creating a design structure requires continuous research in many design sites an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sualize the representation of design structure through metaphorical concept step by step and logically. Although there are many ways to express the design formative structure, the metaphorical approach is mainly focused on product design. The related studies are mostly based on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of product formative design and the design emotional structure. Therefore, the method of expression of metaphorical design structure is defined as research scope and the research stage is defined as design formative definition, classification of conceptual element, application step of metaphorical element, basic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product design, the importance of brand philosophy and design formative value appears in products such as Apple, MUJI, and Bang & Olufsen. In the design form and structure, the shape application through imitation of geometric, organic structure and nature is used by many designers as a means of approaching the design structur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conceptual elements are classified into symbolic, metaphorical, and empirical concepts, and symbolic concepts are visualized as metaphorical expressions. The design process of the concept element and the structural expression stage are introduced. Through the design education, the concept of the intangible subject and the type theme is set up, and the process expressed through the symbolization process and the metaphorical stage is presented.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design structure created through the research can be used in various design scope, and it should be continued to the subsequent research which is divided into each element.

      • KCI등재

        화예디자인 비즈니스를 위한 콘텐츠 접근에 관한 연구 - 디지털 콘텐츠를 중심으로 -

        김나윤 ( Kim Na Youn ),김흥렬 ( Kim Heung Ryeo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4 기초조형학연구 Vol.25 No.2

        본연구의 목적은 화예디자인에서 생화 디자인 상품만으로는 비즈니스가 어렵기에 화예를 디지털 콘텐츠로 접근해 화예콘텐츠 개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다. 현시점은 디지털 매체의 사용성이 중요해지면서 디지털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다양한 표현법의 새로운 원천이 되고 있기에, 연구를 통해 화예디자인이 가진 콘텐츠를 반영한 디지털 콘텐츠를 연구함으로써 화예산업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화예디자인의 개념과 현재 진행되는 화예비즈니스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 화예시장현황을 살펴보았다. 화예디자인을 생화기반 화예디자인과 콘텐츠기반 화예디자인 두 종류의 상품들을 바탕으로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화예콘텐츠 요소도출을 진행하였다. 연구한 이론적 배경과 사례조사를 기반으로 꽃이 갖고 있는 콘텐츠를 형태, 색감의 시각적 요소와 향기의 후각적 요소, 꽃이 갖고 있는 의미와 상징성인 관념적 요소로 나누어 정리하여, 이를 연구의 방향성 설정에 참고하였다. 연구에는 화예콘텐츠 중 시각적 요소로 한국식물생태보감의 화형 분류법으로 나눠진 이미지를 기반으로 패턴으로 전개할 문양은 왕관형인 수선화, 투구형의 투구꽃, 설상의 데이지를 선정한 후 모티브로 제작하여 합성수지 인쇄에 강한 디자인 패턴으로 개발하였다. 결과적으로 완성된 화예디지털콘텐츠의 플로럴패턴 디자인 인쇄를 통해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악세서리로 사용하는 케이스 3점을 화예디지털콘텐츠를 통한 인쇄물 상품으로 개발하였다. 현재 국내의 화예시장은 주로 생화를 주로 이용하는 화예디자인들을 사용하고 있기에, 연구를 통한 화예디자인의 디지털 매체의 사용은 표현방법의 확장과 예술로서의 품질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화예디자인의 디지털 구조화에 대한 접근방법의 중요성 인지와 함께 화예 콘텐츠를 이용한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floral content by approaching floral art as a digital content, as it is difficult to do business in floral design with only fresh flower design products. At present, as the usability of digital media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digital contents are becoming a new source of various expressions, so we aimed to contribute to the flower art industry by studying digital contents that reflect the contents of flower art design through research. As a research method,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flower market through the concept of flower design and a review of the current flower business.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cases based on two types of products, fresh flower-based floral design and content-based floral design, and derived floral content element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ase studies, we divided the contents of flowers into visual elements of form and color, olfactory elements of scent, and ideological elements of meaning and symbolism, and used them to set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In the study, we selected crowned daffodils, helmet-shaped helmet flowers, and snow daisies as patterns to be developed into patterns among the images divided into the flower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Korean Plant Ecology and Ecology Bureau, which is a visual element among the flower art contents, and developed them into design patterns that are resistant to synthetic resin printing. Since the domestic flower market is currently using flower designs that mainly use live flowers, the use of digital media in flower design through research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expanding the expression method and changing the quality as an art, and it will be possib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approach to digital structuring of flower design and inform the need for design development using flower content.

      • KCI등재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에 관한 연구 -교육사례와 유형분류를 중심으로-

        김화영 ( Kim Hwa Young ),김흥렬 ( Kim Heung Ryeo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추상적인 개념을 디자인으로 실체화시키는 기초 디자인 수업 과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발상 기법을 통해 사고를 확장시키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 실습에 앞서 기초적인 디자인 질서 및 원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1) 창의적 사고 기법 및 디자인 메시지 전달 과정, 2) 조형요소의 이해 및 조형 표현방식에 대한 고찰, 3) 형태, 색채, 재료에 대한 이해 및 이미지 표현에 관한 이론 수업을 진행하였고, 창의적 발상을 이끌어내기 위해 개념화 단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 형상화 단계별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관점을 논리적인 체계로 발전시키고, 추상적 개념을 적합한 조형언어를 활용하여 실체화시키는 과정을 단계별 실습을 통해 습득하도록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을 통해 제작된 학생 작품들을 바탕으로 교육사례를 제시하고, 발상 접근법에 따라 작품 유형을 분류하여 각 유형별 발상 방법 및 표현 방식의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다. 교육사례 분석을 위해 학생들이 제출한 37개 작품 중 대표적인 6개의 작품을 선정하여 발상 단계별 디자인 프로세스를 정리하였다. 단계별 작품 진행 내용을 바탕으로 발상 접근법과 중점 표현 요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 상징적 접근, 은유적 접근, 경험적 접근 등으로 유형을 분류하였고, 각 유형별 발상 접근법에 따른 디자인 작업 과정 및 결과물의 특징과 관계성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디자인 발상 기법과 조형적 표현이 다양화되고, 창의적인 디자인 사고 능력을 체계적인 단계별 학습을 통해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about basic design curriculum actualizing abstract concepts into the design and aims to expand ideas through various design thinking practice. Prior to the practice, the theoretical classes on 1)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and communication system of design, 2) understanding of the formative elements and considering the formative expression methods, 3) understanding of form, color, and material; image expression were conducted to help understand the basic design fundamentals and principles. The project was proceeded by the conceptualization stage, categorization stage, formalization stage, and forming stage to guide creative design thinking. The practice was proceeded by developing one's point of view into a logical structure and using appropriate formative language to express abstract concepts into reality. In this study, educational cases were presented based on student works conducted through the design thinking stage. Then, categorized the works according to the design thinking approach,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thinking and expression methods by each type. To analyze educational cases, among 37 works submitted by students six works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s. These six examples organized the stage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Based on the analysis of design thinking methodology and emphasizing expression six works were categorized into: symbolic approach, metaphorical approach, and empirical approach. Then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of the design work process and results according to each design thinking approach.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design thinking techniques and formative expressions will be diversified, and also help establish effective education that can improve creative design thinking abilities through the systematic design thinking stage.

      • KCI등재

        조형원리를 기반으로 한 꽃의 조형요소에 관한 연구 -꽃의 구조에 따른 조형 분류를 중심으로-

        이미향 ( Lee¸ Mi Hyang ),김흥렬 ( Kim¸ Heung Ryeo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꽃은 일상 및 예술을 비롯한 인류 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미의 영감의 원천이 되어왔다. 화예디자인은 꽃과 식물의 생명력을 표현하는 조형예술 분야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지만 객관적 미학의 대상으로 서 꽃의 심미성에 관한 탐구는 아직 미약하다. 따라서 꽃의 아름다움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는 꽃에 대 한 새로운 해석과 함께 미학의 또 다른 분야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꽃의 아름다움을 객관화하기 위해 정량적 방법으로 꽃의 조형요소를 체계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과정은 디자인에 서의 조형성 유형을 선행연구로, 식물학적 꽃부리 분류체계의 고찰을 통한 꽃의 분류체계 범위 내에서 꽃의 형상적 조형요소를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식물학적 분류 체계에 따라 다소 범위의 차 이가 있는 것을 감안하여 관련 서적과 인터넷 자료를 토대로 6개의 분류 방식에서 도출된 총 114개의 꽃 가운데, 단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되거나 기준이 다른 것을 제외한 103개를 분석 대상의 범위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꽃의 형태에 따른 조형적 꽃부리의 범위와 내용을 정리, 총 18개의 항목이 분류 되었으며 식물학 분류 체계에 없는 부분이 일부 추가되었다. 둘째, 꽃의 조형적 특징으로 대칭성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면 모양에서 좌우대칭형과 함께 방사대칭형 중 오각형의 꽃이 다수 도출되었다. 넷째, 꽃의 색채에서는 명도대비가 주요한 특성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를 기초로 꽃의 객 관적 분석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꽃부리 형태와 색채 분석 모듈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꽃의 사례 범위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꽃의 조형적 특징을 정량적 요소로 분석함으로써 꽃의 아름다움의 객관 적 측정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연구에서 제시한 꽃부리의 조형요소 통합분석모듈은 차후 꽃의 사용목 적과 범위에 따라 꽃의 미적 요소에 대한 객관적 자료의 군집별 발췌 가능성이 예상되며,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가 꽃의 객관적 미학을 위한 후속 연구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Flowers have been a source of inspiration for beauty in all areas of human culture, including everyday life and arts. Flower Design is a field of formative arts with flowers as its medium, but regarding the subject of objective aesthetics, the research for its aesthetic beauty, are still weak. Thus, exploring the objectivity of the beauty of flowers is expected to open up an another chapter of its aesthetics with a new interpretation of flowers. This study aims to systematize the aesthetic principle of flowers in quantitative ways based on the flower’s figurative elements. The process of the research was developed with the botanical flower corolla classification system to analyze the shap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lower, and conducted the scope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flower accordingly. However,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he scope of botanical classification, 103 flowers out of a total of 114 types derived from six different classifications based on related books and Internet dat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excluding those classified as a single type or with different criteria.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formative corolla from the shape of the flowers, were organized into 18 categories, and some of the missing parts of the botanical classification system have been added. Second, the symmetry of flowers, especially the radial symmetry with pentagonal flowers, and the lightness contrast were found to be prominent. Third, based on this, the formative corolla and color analysis module system was organized. Although the range of flower cases were limited,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n objective measurement for the beauty of flowers by analysing the flower’s formative characteristics as quantitative factors, and the integrated analysis module for the element forms of a corolla presented in the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is for subsequent research on flower object aesthetic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field of the use of flower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오브제를 중심으로 한 화예디자인 표현 연구

        신지윤 ( Ji Yoon Shin ),김흥렬 ( Heung Ryeol Kim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4 No.-

        Flower design that is material to the natural objects characterized by the ``naturalness`` and ``artistic`` in the field, showing them the human creation. However, due to the natural limitations of alive and formative restrictions, To come to the modern use of various objects. Therefore broaden the scope of representation. However,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time that the development of media content. Simply by introducing the object of a variety of materials and techniques, there is a limit in the expression. It redefines the definition of objects and to derive the object by analyzing the structure type. The structure of the object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object, and handles the detail elements. Physical objects are elements of artificial material, space, and the body. Non-physical object element is classified as storytelling, temporality, media, events, and senses. To discuss the development of this representation of the flower art & design through actual work practices and the applicable case. These examples are by seeking the convergence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various experiments and other fields. And show how ever seek to access the nature conceptually. Through these objects, Overcomes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floral art & design to derive the guideline that can extend the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