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유릉(洪裕陵)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김흥년,심우경,최종희,Kim, Heung-Nyeon,Sim, Woo-Kyung,Choi, Jong-Hee 한국조경학회 2007 韓國造景學會誌 Vol.35 No.3

        This paper aims to discussi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n Hongneung and Yureung(royal tomb) in Namyangju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oriental philosophy including Feng-Shui theory. To do this, we studied in two ways;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s and photographing research materials about the form of physical structure and review of historical document. The result of analysis in sight of the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was good matched. Main finding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location and landscape structure was characterized by the harmony with natural following traditional thinking and the Korean view of nature, while maintaining the dignity of the King. The spatial organization were placed in a straight line following the hierarchy of metaphysics by order of Neungchim(Tombs Vicinity) - Changmyungdeung(Stone Lantern) - Chungjakak(Pavilion) - Hongsalmun(Gate for Heavenly Gods) and was based on the Confucianism value, the natural contour and inner value. Through this study, we find the principles made it possibles to re-evaluate nature in modem society and provided us with new ways to conserve nature with the help of environmental theory.

      • KCI등재

        이상(李箱)의 초기 시에 나타난 상형문자적 상상력

        김흥년(Kim, Hung-nyun)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39

        이상의 작품은 시, 소설 할 것 없이 거의 전기적(傳記的) 내용을 바탕으로 쓰였다. 그러니 시와 시, 시와 소설, 소설과 소설 간에서도 일관된 텍스트-상관성이 발견된다. 이런 텍스트-상관성은 이상의 시에서 풀기 어려운 상징적 기호를 해석하는 데 무척 요긴하다. 따라서 이 소론은 이상의 소설에 나오는 결혼 전의 이야기와 그의 초기 시를 비교해 △나 ▽같은 도형의 상징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했다. 건축 기사인 이상의 별난 투시벽(透視癖)이 그의 소설과 시 간(間)에도 작용한 듯하다. 그의 초기 시는 그의 결혼 전 이야기의 ‘조감도(鳥瞰圖)’같이 그려졌다. 이상의 시에 나온 △나 ▽은 마치 글자처럼 의미 작용을 한다. 따라서 필자는 이상의 시에 나타난 이런 상상력을 상형문자적이라 부르고자 한다. 이것이 단순한 타이포그래픽(typographic) 상상력이 아니라는 증거가 바로 「異常한 可逆反應」이라는 시(詩)다. 이상의 초기 시에서 상형문자적 상상력을 발견한 이 소론으로 필자는 이상의 결혼 전 연애사까지 덤으로 건질 수 있었다. 또한 필자는 이상이 1930년경 몸소 겪은 식민지 조선의 신여성론(新女性論)을 간과할 수 없었다. 이상의 초기 연애사는 필자에게 대뜸 키에르케고르의 『유혹자의 일기』까지 생각나게 했다. △나 ▽은 이상의 초기 여성관이 지닌 그런 ‘유혹자’의 모순적 감정의 상징이다. 이 소론으로 이상의 초기 시나 결혼 전 이야기에까지 무차별적으로 가해지던 프로이드식 범성욕주의적 해석은 지양돼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상(李箱)뿐만 아니라 누구에게든 연애에 서투른, 꽁뜨(Comte)가 말한 그런 ‘형이상학적’ 소시적(少時的)은 있기 마련 아닌가? 누구나 이상이 쓴 ‘유혹자의 일기’가 죽음을 위장한 ‘金칠’인 줄 모르는 것도 아니지 않는가? Most LeeSang’s works were written based on his biographical story without distinction of poems and novels. Therefore is consistently found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oem and poem, between poem and novel, between novel and novel. Such intertextuality is very useful in interpreting the symbolic signs of LeeSang’s poems which is hard to understand. So this treatise compared LeeSang’s early some poems to his some novels derived from the unmarried life story, in order to reveal the symbolic meanings of signs such as △ or ▽. Architect LeeSang’s eccentric projecting habit seemed to work also between his poems and his novels. His early some poems were drawn as bird’s-eye view of the novels telling his times before marriage. In LeeSang’s poems, △ or ▽ makes significations like alphabets. I hope to call consequently LeeSang’s poetic imagination as hieroglyphic. A poem 「Strange reversible reaction」 is an evidence that LeeSang’s poetic imagination is not only typographic. This treatise found LeeSang’s hieroglyphic imagination in his early some poems. It told me about LeeSang’s early romances also. I could not overlook the feminism of colonial Korea in 1930’s. LeeSang experienced it lively. LeeSang’s early romances novels even reminded me of Kierkegaard’s 《Diary of a Seducer》. △ or ▽ symbolizes ‘a seducer’s ambivalence that LeeSang’s early view of womanhood evolves. This treatise could order the freudians to abstain their pan sexualism interpretations indiscriminately applied to LeeSang’s early some poems and his early romances novels. Isn’t it ordinary that everyone as well as LeeSang has his clumsy boyhood in love that Comte called as ‘metaphysical stage’? Is there anyone who doesn’t know that LeeSang’s diary of a seducer is the golden fakery of his death?

      • KCI등재

        이상(李箱)의 『오감도(烏瞰圖)』「시제1호(詩第一號)」의 문학사적 맥락(文學史的 脈絡)과 함께 읽기

        김흥년 ( Hung Nyun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1 No.-

        이상(李箱)의 『오감도(烏瞰圖)』 「시제1호(詩第一號)」는 지금까지 다양한 해석이 시도됐지만, 딱 맞아 떨어지는 해석은 아직 없는 듯하다. 이것은 물론 「시제1호(詩第一號)」가 지닌 상징성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필자는 이것이 「시제1호(詩第一號)」에 대한 엉성한 접근법의 탓이 큰지도 모른다고 여겼다. 그래서 필자는 「시제1호(詩第一號)」의 통사 구조부터 분석 했고 의외의 성과를 거뒀다. 지금까지 눈여겨보지 못한 통사적 세부가 다른 방식의 해석을 가능하게 했다. 1차 해석은 「시제1호(詩第一號)」와 이상(李箱)의 다른 작품과의 텍스트-상관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상(李箱)의 다른 작품에서 확인한 그의 비관적 아동관은 콕토의 무서운 아이들에서 받은 영향 때문일 수도 있을 것 같았다. 1차 해석이 상징시(象徵詩)인 「시제1호(詩第一號)」를 너무 환원적으로 설명할 수밖에 없는 탓에, 2차 해석은 「시제1호(詩第一號)」의 의미 구조를 이 시가 발표된 시공간적 배경을 중심으로 재구성해 그것이 내포할 수 있는 상징적 의미를 담아 보았다. 그랬더니 무척 의미심장한 사회학적 해석이 가능했다. 이상(李箱)도 그의 시대에 방관자 노릇만 한 것은 아니었다. 또 필자가 확인한 가장 보람 있는 성과는 이 시와 프랑스 초현실주의 문학이 갖는 혈연적 관련성이다. 아뽈리네르 시에 나타난 것과 같은 회화성, 네르발 시에 나오는 13 번째 시간대 같은 특별한 환각에 대한 각성, 그리고 초현실주의적 상징을 만드는 은유법 등이 바로 그것이다. 또한 프랑스의 초현실주의가 프랑스의 낭만주의나 상징주의, 데카당스와 다다이즘을 거쳐 나온 것이듯, 이상의 초현실주의도 13인의 폐허동인이 보여준 폐허적 낭만주의를 거쳐 나온 것이 확실해 보였다. 사실 이상(李箱)의 초현실주의는 프랑스의 그것과의 시간적 간극도 크게 나지 않는다. There were many attempts to interpret《Ogamdo`s》<Poem first> of Leesang. But any interpretation still does not seem to be proper. The reason must be, of course, because of the symbolism of <Poem first>. However it may be more attributable to the sloppy approaches to <Poem first>. This treatise analysed the syntactic structure of <Poem first> by priority, and achieved some noteworthy result. The different ways of interpretation were possible from the syntactic details of <Poem first> which was overlooked until now. The first interpretation was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between Leesang`s <Poem first> and his other works. His pessimistic view of children in his other works seemed to be affected by Cocteau`s《Les enfants terrible》. Due to the primary denotative interpretation of the symbolic poem <Poem first>, the secondary interpretation considered the context of <Poem first>`s emergence, reconstructed the semantics of <Poem first>, and interpreted the connatative meaning of <Poem first>. Consequently, the very meaningful sociological analysis was possible. Leesang was not only a bystander to his era. The most rewarding discovery of this treatise is the blood relation between <Poem first> and the French literary surrealism. These are metaphors for surrealistic symbolism, awakening for the special hallucinations of 13th time as in Nerval`s poem, and a calligram of Apollinaire`s type. As the french surrealism had evolved from romanticism, symbolism, decadence, and dadaism, Leesang`s surrealism also seemed to have been evolved from the decadent romanticism shown by 13 members of a literary coterie “The Ruins”. In fact, Leesang`s surrealism was not so late for the french surrealism.

      • KCI등재

        국화(菊花)꽃의 이미지 연구 -미당의 「국화(菊花) 옆에서」를 중심으로-

        김흥년 ( Hung Nyun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論叢 Vol.30 No.-

        미당의 사후 창작과 비평사 의 인터넷 게시판에 「국화 옆에서 」에 나오는 ‘국화꽃’의 젠더가 여성인 것이 문제라며 꼬투리를 잡아, ‘국화꽃’은 ‘일왕(日王)’의 문장이라서, 이 ‘국화꽃’을 노래한 미당의 시는 친일시라는 그런 엉뚱한 주장을 하는 게시물이 있었다. 필자는 이 게시물에 대한 반론을 쓰다 어느새 전례 없는 ‘국화꽃’에 대한 원형 상징 해석의 논문으로 발전시키게 됐다. 이 소론은 자료를 많이 언급한 논문의 반론 형식이었기에 대상 논문의 잘못된 자료 해석을 골라만 내도 엄청난 분량이 될 수 있었다. 필자는 그 중에서 논지를 무색하게 할 만한 오해들만 집어내 다루었다. 우선 ‘국화꽃’이 우리네 전통 속에서 지조와 절개의 상징일 뿐, 남녀를 구별하지는 않았음을 사례를 들어 밝혔고, 꽃의 젠더는 모두 여성일 수밖에 없음으로, ‘국화꽃’을 미당 자신으로 보는 기존 연구들도 조금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이 글의 핵심은 ‘국화’를 노래한 미당의 다른 시들을 예로 들어 ‘국화꽃’이 미당의 아니마(anima)의 한 모습임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화꽃’의 발화 과정을 입문(initiation)이란 재생신화의 구조에 대입해 풀이했다. 결국 많은 기존 연구들이 ‘국화’와 ‘국화꽃’의 차이, 옛글에서는 ‘菊’과 ‘菊花’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 문제에 대한 유명 문인들의 비평 행위에서조차 글 읽기와 쓰기 공히 문제였다. 또 미당의 이 시에서 ‘거울’의 역할을 지나치게 과장하거나 오인하는 문제점도 살폈다. ‘거울’은 여기서 ‘누님’의 여성성을 조금 부각시키는 것 외 다른 역할은 못한다. 끝으로 이 글은 친일 반민족 행위자의 척결도 급박한 사안이지만, 「국화 옆에서」처럼 이미 공과(功過)가 밝혀진 대상을 차별 없이 한꺼번에 과(過)로 몰아넣는 행위가, 특히 문학 비평의 이름으로 자행되어선 안 된다고 주장한다. 비평의 칼날은 정의의 칼날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After Jung Joo Seo`s death, there was an article on the internet bulletin board of the publisher “Creation and Criticism”, saying absurdly that ‘Beside a chrysanthemum’ is a japanophilie poem, missing Japanese king(日皇), on the pretext of a gender of ‘chrysanthemum flower’. This treatise has evolved as one of archetypal symbolic interpretations from an objection that I raised to the above article. I proved that a chrysanthemum is only a symbol of devotion and fidelity in our tradition,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male and female. I found that the previous investigations saying the ‘chrysanthemum flower’ was poet Seo himself, were wrong, because a gender of all the flowers are female. The key point of this treatise is to claim that the ‘chrysanthemum flower’ is one aspect of poet Seo`s anima, after investigation of his poems singing the ‘chrysanthemum flower’ and other flowers. For that purpose, I compared a blooming process of ‘chrysanthemum flower’ with the structure of Rebirth myth called Initiation and explained it. The fact became known that many existing studies had not consider seriously the difference between 국(菊)(chrysanthemum) and 국화(菊花) (chrysanthemum flower), the difference between (chrysanthemum) and (‘chrysanthemum flower’) in the old writings. On this issue, even famous critics had problems in writing and reading. Also I explored that the role of ‘mirror’ was exaggerated or mistaken. Here, the ‘mirror’ emphasizes a feminity of ‘older sister’, and could not play any other role. When the poem is completed, the ‘mirror’ seems to be interpreted as a symbol of versification. Finally, this treatise says that a punishment of betrayers is not only an urgent issue, but also a false accusation and distortion of already identified merits and demerits must not be carried, especially in the name of literary criticism. A blade of criticism has to be a blade of justice. While writing, a critic always should retrospect that himself is correct. Because it`s true the crooked eyes can not reflect a target properly.

      • KCI등재

        문학의 죽음'에 대해

        김흥년(KIM Hung Nyun)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5 프랑스문화연구 Vol.30 No.-

        Cette étude est limité à Paris au XXᵉ siècle, un roman posthume de Jules Verne. En tenant compte du temps de sa création, cet oeuvre posthume est un des premiers romans verniens. Dans ses premiers romans, Jules Verne, le soi-disant fondateur de 'l'anticipation scientifique', était optimiste sur l'avenir de la science et de l'industrie. Mais, Paris au XXᵉ siècle montre la caractéristique proche des derniers romans verniens qui étaient pessimistes sur l'avenir de la science et de l'industrie. Jules Verne, dans Paris au XXᵉ siècle, est même allé jusqu'à déclarer la mort de l'art du XXᵉ siècle. Grâce à la découverte de cet œuvre posthume, on a donc aperçu que le pessimisme de Jules Verne était présent dès le début de son oeuvre. Ce pessimisme propre à la littérature vernienne a son origine du romantisme français. Le rôle et la fonction de la littérature varient selon l'époque. Jules Verne prédisait la mort de la littérature dans Paris au XXᵉ siècle. Il pensait que la véritable littérature, comme la littérature romantique, ne devait pas fermer les yeux sur la réalité sociale. Sa pensée rappelle l'engagement littéraire présenté dans la seconde moitié du XXᵉ siècle. Pour des raisons similaires, la crise de la littérature a été réellement soulevée au XXᵉ siècle. Jules Verne craignait que la science et l'industrie ne causent la pensée mécaniste et l'uniformité, bien qu'elles donnent des commodités. Cette étude a pour but d'éclaircir des motifs pour lesquels Jules Verne prédisait la mort de la littérature. Jules Verne reçut déjà le baptême du romantisme, et il jugeait que la science et l'industrie détruisaient la littérature. En fait, l'apparition de la littérature non-engagée était due au capitalisme et à la répression du second Empire. Le pessimisme de Jules Verne était également surchargé par ces rêves frustrés de son temps.

      • KCI등재

        입사소설론

        김흥년(Hung Nyun Kim) 한국프랑스학회 1988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4 No.-

        Nous aeons examine le rapport entre la litterature et la mythologie daps cette petite etude. S`il y a une reponse persuasive sur 1`origine de la litterature, ce doit a$quot;tre de rechercher son origine dans la mythologie. $quot;La mythologie et la litterature sont identiquest et indivisibles, $quot; dit Schlegel. En fait, plus on monte aux temps anciens, plus on ne pourra pas fixer sans peine des limites entre la litterature et la mythologie. Cependant personae n`a demontre jusqu`alors si litterature, etait nee de la mythologie Tant bien que mal, il n`y a presque rien de repliques daps la confiance de regarder la mythologie comme matrice de la litterature A notre epoque pourrait-il etre capable de sortir dune crise au comble dans la litterature en restaurant la mythologie. En tout cas, cette petite etude qui nous fait analyser le roman au point de vue de 1`initiation ouvre des horizon nouveaux. En effet 1`ecriture et la lecture reprend sans cesse de nouvelles faons d`initiation. L`esprit ouvert nous propose d`approfondir, tout le phenomi`ne culturel. Bri`f, la structure d`initiation liee au condition humaine correspond la metaphysique litteraire; archetype de la litteralite. Il reste encore besucoup de travaux , faire selon la possibilite d`etendre le domaine de 1`imaginaire base sur cet archetype; 1`initiation.

      • 환경친화적 댐 관리를 위한 사례 연구

        최지용,김흥년 한국환경연구원 2003 수시연구보고서 Vol.2003 No.-

        우리나라에서 80년대까지의 댐건설 및 관리는 용수 확보, 홍수 피해경감 등 이수·치수 기능이 많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게 된 90년대부터 수자원 개발사업은 국민의 삶의 질과 연계된 환경적 기능이 중요시되면서 새로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댐 건설에 있어 환경적인 고려는 당연한 시대적 흐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기존댐 또한 환경친화형 기능으로 대폭 개선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됨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다목적댐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최근 자연환경 보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댐 운영에 있어서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최소화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부분 댐은 80년대 이전 환경영향평가가 실시되기 전에 건설되었고, 이 당시는 환경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이와 같이 기존에 개발되어 운영중인 댐의 경우 다양한 환경복원 및 생태복원 기법을 적용하여 비환경적인 요소를 보완하여 관리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기 건설되어 관리중인 댐에 대한 현황을 진단하고, 선진사례를 조사하여 향후 환경친화적인 댐 건설 및 관리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일이 시급하다. 수자원 확보가 극히 불리한 우리나라의 경우 현실적으로 댐 건설 이외의 신규 수자원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지만, 현재 댐 건설에 따른 환경단체들의 환경파괴 주장과 대규모 수몰이주민 발생, 댐 주변지역 개발제한 등으로 인한 댐 건설에 대한 반대 여론은 확산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국외에서는 이미 이러한 댐의 부정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미 환경친화적 댐으로 인식의 전환이 1970년대를 기점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국내에서도 환경영향평가가 시행된 1980년대부터 댐 개발에 있어 환경문제가 적극적으로 고려되기 시작하였다. 댐을 친환경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의 회복과 복원을 기반으로 주변지역의 사회 문화 경제상황과 연계하여야 가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환경의 복원 사업과 친수환경 활성화 사업의 균형, 철저한 계획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태복원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복원사업을 기반으로 이를 교육의 장, 지역 이벤트 문화의 장 등 지역 문화와 경제활성화의 수단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세밀한 계획이 필요하다. 생태복원사업의 가장 기본적인 추진순서는 댐 주변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생태 환경 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자연환경보전과 동식물 보호 등을 위하여 보존·재생의 가치가 있는 생물종류와 복원 적정 장소를 선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자연이 지닌 회복력을 이용하여 자연을 복원·보전함으로써 서식 생물종의 은신처 기능과 분산(확산) 및 이동통로로서의 기능은 물론 휴식과 레크레이션의 공간 확보, 환경교육의 실험지역 및 지역 생태계 연구 대상지로서의 역할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추진하여야 한다. 자연환경을 되찾기 위한 이러한 생태복원사업은 유무형의 다목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교육적 측면에서 보면 교실에서의 교육이 아닌 실질적인 살아있는 환경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사회적 측면에서도 지역사회 주민에게 휴식, 교육, 사교의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경제적 측면 또한 생활의 질을 높임으로써 환경적 우월성에 따른 경제적 이익 발생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생태관광 상품화하여 집중 육성할 경우 지역 경제 도약의 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생태학적 측면에서도 조성지역이 생물의 서식장소로 이용되고 수환경의 지표 및 환경 모니터링의 역할을 수행하는 계기가 되는 등 그 활용성이 다양하다. 아울러 저수지의 수리수문학적 특성, 자연환경조건(해당지역의 생물상, 기후 등), 접근성, 인근의 각종 개발계획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세분화하고 그 특성과 활용 목적에 적합한 복원 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댐 건설의 필요성과 반대 양론을 조화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모든 국민이 공감하는 투명한 수자원 정책이 수행되어야 하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하는 댐 건설과 관리가 실현되어야 한다. 그 동안 이수 및 치수 기능 중심의 다목적댐 건설이 지역경제의 낙후성을 낳게 하였고 환경파괴 주범으로 지적받고 있음을 고려할 때 관리중인 댐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지역경제 활성화방안 시행과 자연환경 복원사업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환경용량 범위 내에서 시행하는 레크레이션시설 설치, 레져사업, 생태복원사업 등은 댐 건설로 피해의식을 지닌 지역주민에게 새로운 삶의 수단으로서 경제적 자립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일반 국민에게는 친수환경을 통한 여가활동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회요소로 작용하므로 지역과 주민, 국민과 함께 하는 댐으로 거듭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Emphasis i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dams in Korea had been put on the aspects of irrigation and flood control until 1980s so as to secure supply water and reduce damage due to floods. Beginning from 1990s when Korea took its place among the group of the advanced countries and people began to concern about the quality of their living, however, environmental problems involved in water resources developmental projects came to the front of social issues. Now that environmental consideration in the construction of dams is perceived as a matter of course, and the existing dams should be remodeled to be environmentally friendly, systematic researches are required for the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of multipurpose dams. With the recent appearance of a new paradigm that demands the protection of natural environment, the influence on the environment is required to be limited to the least in the operation of dams. Most of dams in Korea were built before the 1980s whe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was not implemented and proper consideration was not given to the environment protection. In the operation of the existing dams, diverse methods to restore the damaged environment and ecology to the original state are required to be developed to replace the factors unfriendly to environment and for that, actual conditions of the existing dams and management examples in the advanced countries should be collected and investigated for reference in the futur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dams. Korea has no other ways but to further build dams to secure water resources despite diverse difficulties involved in it and oppositions raised by environment organizations and the general public owing to various unfavorable side-effects, such as damage to environment, exodus of large number of settlers from the submerged land and the development restriction on the land in the vicinity of dams. In foreign countries, the concept of environment-friendly dam was introduced beginning from the 1970s as a solution for such unfavorable side-effects, but in Korea, the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have not been taken in the development of dams until the 1980s whe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o use dams in a way friendly to environment with visible effects, an elaborate plan should be prepared to combine projects for natural restoration and promotion of water-friendly environment with th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 surrounding communities. For instance,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should be carefully planned in a way that allows it to use as a forum for education, cultural events and economic promotion. To restore ecology, actual condition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surrounding area of the dam should be first investigated and then the species of animals and plants worthy of restoring and preserving and places suitable to the purpose should be selected based upon the investigation result. And using natural recuperative powers, nature should be restored and preserved so that it can provide a space for diverse roles and activities, including hiding-places and passageways for the inhabitants, leisure and recreation, environmental experiments and local ecological research. This kind of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can take effects, tangible and intangible, in diverse ways. In terms of education,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practic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place of the education in classrooms, and in terms of local community, it provides the residents with a forum for relaxation, education and society. In addition, the improved environment will lead to economic returns and the local economy can be jumped up by commercializing the ecology as a tourism commodity. In terms of ecology, the reclaimed land can be used in many ways, including the habitation for animals and plants, and the monitoring of the earth's surface and water environment. In the planning for the restoration of ecology, subdivided local features, such as hydrographic features of the reservoir, conditions of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fauna and flora and climate of the locality, accessibility and developmental projects in the vicinity,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method proper for the purpose should be employed. To harmonize the needs for dam development with the opposition against it, the policy for water resources should be transparently conducted and dams should be built and operated in a way that harmonizes human with nature. Given the fact that the hitherto development of dams with a focus on aspects of irrigation and flood control has retarded the local economy and caused to be designated as the main destroyer of environment, plans for the promotion of local economy and ecological restoration are required to be established in short days. In the context, the facilities for recreational and leisure industry allowed to be constructed within the range of environmental capacity in addition to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will provide the local residents who were damag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dams with an opportunity to economically stand for themselves and the general people with the opportunity to enjoy their leisure through the water-friendly environment, thus turning the dams into a means to give benefits to the community, local residents and the general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