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墓槽가 있는 목곽묘에 대한 일고찰 -울산 산하동유적을 중심으로-

        김훈희,고상혁 영남고고학회 2015 嶺南考古學 Vol.- No.73

        Archeological site in Sanha-dong, Ulsan is tombs from wooden chamber tombs stage to stone chamber tombs stage. Wooden chamber tombs had appeared late into the 3rd century. Those Wooden chamber tombs are earliest stage in shoreline. The medium or small-scale wooden chambers were built, and the wooden chambers were subgroup as compared with surrounding areas judging from the scale and methods of the burial goods. The wooden chamber tombs in Sanha-dong, Ulsan had a unique combining structure. The tombs having the structure were called Sanha-dong style wooden chamber tombs. The Sanha-dong archeological site wooden chamber tombs were started from the Bronze Age, because there were very similar structures in the stone coffin tombs and wooden coffin tombs. Many tombs have been founded in Yeoung-Nam area, which are the ‘ㅍ’ type combining structure in the wooden chamber tombs stage. Therefore the Sanha-dong style wooden chamber tombs were made through developing traditional element. The unique structure was founded in Anhyeon-dong archeological site, Gangneung except for Sanha-dong archeological site, Ulsan. The Sanha-dong style wooden chamber tomb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stages from late into the 3rd century accompanied by gray earthenwares and unglazed earthenwares jar with short neck to late into the 5th century accompanied by mounted cup. According to changes with each step and hierarchy in group, the size, shape of tomb bottom and combination of remains appeared differently. 묘조는 묘광 바닥에 설치된 홈 또는 도랑과 같은 형태의 수혈로, 묘의 바닥에 설치된 받침목 또는 목곽 내부를 지탱하는기둥이 안쪽으로 밀려드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로 이해되어왔다. 본 글은 목곽묘 묘조가 지역과 시간에 따라 여러 형태가있음을 확인하고, 그동안 다루어지지 않은 묘조를 활용한 목곽묘의 결구방법을 복원하여 유형을 설정하고 각 유형이 갖는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묘조는 남한 전역의 목곽묘에서 확인되며, 주혈과 유물의 부장위치, 목곽흔, 묘조의 형태나 위치 등을 통한 결구방법을기준으로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A형은 3세기 전반~5세기 전반의 경기·호서·호남지역의 마한·백제계 토광묘군에서, B형은 3세기 전반의 영남지역 목곽묘에서, C형은 5세기의 백제 목곽묘에서, D형은 3세기 말~6세기 중엽의 신라 목곽묘에서 확인된다. 따라서 목곽묘 묘조는 지역과 시간에 따른 특징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상정하고 가장 많은 수를 점하는D형 묘조를 중심으로 그 의미를 검증해보았다. 3세기 말에서 5세기 중엽에 해당되는 울산 산하동유적의 D형 묘조 목곽묘는 규모나 부장품, 제반 시설 등에서 하위에해당된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양상이 강릉의 D형 묘조 목곽에서 관찰되므로 D형 묘조 목곽묘의 지역성을 확인하고, 울산과 강릉 지역 목곽묘에서 동일한 묘조가 확인된 배경으로 신라 세력 확장에 따른 산하동 집단의 일부가 강릉지역으로 진출한 것으로 상정하였다.

      • KCI등재

        북한의 형사절차상 인권보호 규정에 관한 연구 -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을 중심으로 -

        김훈희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홍익법학 Vol.23 No.3

        North Korea which is unlike the image of a country that violates human rights internationally reflects the provisions for human rights protection in criminal procedures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particular, North Korea has revised several times since adopting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1950 and stipulated Articles 29 and 37, which contain the meaning of a kind of ‘law to exclude illegal collection evidence’. Article 29 stipulates the collection of evidence by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for 'non-explained evidence', and Article 37 declares the 'confession exclusion law' for 'explained evidence'. However, according to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White Paper’ published by the Institute for Unification in 2021 and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Commission Report’ of the UN Human Rights Council in 2014, in the criminal procedure, North Korea was confirmed that torture and inhumane acts against the subject (the suspect), and the defendant (the defendant) are still being carried out. In this way, North Korea is showing formally closed the rule of law for human rights protection, in fact, human rights violations are frequently committed against the relevant regulations in criminal procedures, in this process, it can be assumed that the evidence collected illegally is used as evidence of guil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gulations on the ‘Laws of Exclusion of Unlawful Collection and Evidence’ in North Korea and compared and analyzed related regulations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o examine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North Korea's criminal procedures. 북한은 국제적으로 인권침해 국가라는 이미지와는 다르게 형사절차상 인권보호를 위한규정들을 형사소송법상에 반영하고 있다. 특히 북한은 1950년 형사소송법을 채택한 이후여러 차례 개정하며 일종의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의미를 담고 있는 제29조와 제37조를 명문화하였는데, 제29조에서는 ‘비진술증거’에 대하여 ‘적법절차의 원리’에 의한 증거수집을 규정하고 있으며, 제37조에서는 ‘진술증거’에 대한 ‘자백배제법칙’을 천명하고 있다. 하지만 2021년 통일연구원에서 발간한 ‘북한인권백서’와 2014년 유엔 인권이사회의 ‘북한 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형사절차에서 피심자(피의자), 피소자(피고인) 에 대한 고문과 비인도적인 행위가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렇듯 북한은 형식적으로는 인권보호를 위한 법치국가에 근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형사절차에서 관련 규정에 반하여 인권침해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고이 과정에서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가 유죄의 증거로 사용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의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관련 규정들을 검토하고 우리나라와 외국의 관련 규정들을 비교분석하여 실제 북한의 형사절차상 인권침해 사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1주기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지원대학의 혁신전략 프로그램 핵심어와 언어네트워크 분석

        김훈희,권충훈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연구 목적: 이 연구는 1주기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지원대학 주요 혁신전략 프로그램의 핵심어들과 그들 간의 언어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분석대상은 1주기 사업 선정 50개 대학 사업계획서에 제시된 교육영역과 산학협력영역 혁신전략 프로그램이다. 분석방법은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이다. 연구 내용: 교육영역 혁신전략의 핵심어는 혁신, 교육, 역량, 강화, 교육과정, 구축, 운영, 지원, 학습자 순으로, 산학협력영역 혁신전략에서는 산학협력, 맞춤, 역량, 취창업, 프로그램, 인재양성, 지원, 네트워크, 활성화 순이었다. 핵심어들 간의 2종의 중심성 값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전문대학은 미래사회 변화에 맞춰 유연한 학사제도, 지역연계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역량기반의 교육과정 운영, 성과기반의 혁신과 교육의 질 제고에 노력해야 한다.

      • KCI등재

        Assessment of precipitates of isothermal aged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ing measurement techniques of ultrasonic attenuation

        김훈희,김학준,송성진,임병수,김경조 대한기계학회 2014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8 No.8

        AISI 316L stainless steel is widely used as a structural material of high temperature thermoelectric power plants, since austeniticstainless steel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However, creep damage is generated in these components, which are operated under a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environment. Several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how microstructural changes of precipitates affectto the macroscopic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y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ultrasonic parameters and metallurgical results. But, these studies are limited by experiment results only. In this paper, attenuations of ultrasonic with isothermal damaged AISI 316Lstainless steel were measured. Also, simulation of ultrasonic attenuation with variation of area fraction and size of precipitates were performed. And, from the measured attenuations, metallographic data and simulation results, we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ultrasonicattenuations and the material properties which is area fraction of precipitates for the isothermal damaged austenitic stainless steelspecimens. And, we studied parametric study for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ultrasonic parameters and metallurgical results ofthe isothermal damaged AISI 316L stainless steel specimens using numerical methods.

      • 조영제 농도에 따른 Gelatine Foam의 현탁액화 및 대조도 변화 비교에 대한 고찰

        김훈희,원광년,박재연,하을수,유병규,김은성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20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3 No.1

        목적: 혈관색전술시 색전물질인 Gelatine Foam을 조영제와 생리식염수 혼합액에 현탁액 화하게 된다. 시술 중에 Gelatine Foam 현탁액의 대조도가 낮을 경우 요오드 농도가 같은 조영제 양을 추가하게 되는데, 이는 현탁액을 묽게 만들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조영제 요오드농도 변화에 따른 Gelatine Foam의 현탁액화 소요 시간 및 대조도 변화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본원에서 사용 중인 요오드 농도 270, 300, 320, 350, 370 mgI/mL의 조영제를 생리식염수와 9:1, 8:2, 7:3, 6:4, 5:5, 비율로 혼합 후 Gelatine Foam Particle과 함께 준비된 Tray에 주입 후 Gelatine Foam의 현탁액화 소요시간을 3회 측정 후 조영제 농도별 평균값을 비교분석하였다. (2) 실험(1)의 현탁액을 1cc Syringe에 수용하여 실제 투시 상에서의 ROI(Area 8.6㎟ Circle)를 상, 중, 하로 구분하여 2회 반복 측정 후 평균값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현탁액화 소요 시간은 조영제 농도 270mgI/mL와 생리식염수의 혼합비율 5:5에서 평균 3분 56초로 가장 빠르게 나타났고, 조영제 농도 370mgI/mL와 생리식염수의 혼합비율 9:1의 경우 40분 이상에서도 현탁액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Gelatine Foam 결정이 육안으로 구분되어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도 차이는 조영제 요오드 농도 370mgI/mL가 생리식염수와 혼합비율 9:1의 경우 270mgI/mL에 비해 약 45.9% 감소한 값으로 나타났고 5:5로 혼합시 약 2배 낮은 ROI값으로 측정되었다. 결론: Gelatine Foam 현탁액의 대조도는 조영제 양보다는 요오드 농도를 높일 경우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요오드 농도가 높은 조영제를 사용할 경우 조영제 부작용으로 환자의 위험부담이나, 환자의 내부 장기에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색전물질에 사용되는 조영제의 농도를 적절히 선택하여 적절한 대조도를 통해 안전하고 성공적인 시술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