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훈주 한국통합생물학회 1958 동물학회지 Vol.1 No.1
In this paper the author reports on 4 species of crabs qhich were collected during August 20th-26th 1957 in the Island Quelpart. Among them Philyra kanckoi Sakai, Charybdis japonica A. Milne Edwards, Macrophthalmus dilatatus de Haan are unrecorded species on the Island Quelpart and phynchoplax messor Stimpson is unrecored one in Korea.
COLLECTIVE FIXED POINTS FOR GENERALIZED CONDENSING MAPS IN ABSTRACT CONVEX UNIFORM SPACES
김훈주 경남대학교 수학교육과 2021 Nonlinear Functional Analysis and Applications Vol.26 No.1
In this paper, we present a fixed point theorem for a family of generalized condensing multimaps which have ranges of the Zima-Hadˇzi ́c type in Hausdorff KKM uniform spaces. It extends Himmelberg et al. type fixed point theorem. As applications, we obtain some new collective fixed point theorems for various type generalized condensing multimaps in abstract convex uniform spaces.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페놀 일치환체들의 머무름에 미치는 치환기들의 영향
김훈주,이인호,이대운,Kim, Hun Ju,Lee, In Ho,Lee, Dae Un 대한화학회 1994 대한화학회지 Vol.38 No.8
$ C_{18}$ 및 Phenyl 컬럼에서 메탄올-물 및 아세토니트릴-물 혼합액을 이동상으로 하여 21종의 페놀일치환체들의 머무름을 조사하여 치환기가 머무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아미노페놀을 제외한 모든 시료의 머무름은 Phenyl 컬럼보다 $ C_{18}$컬럼에서 더 컸으며, 두 이동상에 대해서는 물의 부피퍼센트가 같을때 메탄올계에서 더 컸다. 일반적으로 일치환 페놀류의 파라 이성질체는 메타 이성질체보다 빨리 용리되었고, 오르토와 메타 이성질체 사이에서는 용리순서가 치환기의 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페놀 일치환체들의 머무름은 시료와 미반응된 실란올과의 상호작용의 영향을 받는대 이러한 미반응된 실란올의 영향은 치환기의 hydrogen bonding acceptor basicity(${\beta}$)가 클수록 크게 나타났고 Phenyl 컬럼보다 $ C_{18}$ 컬럼에서 이들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시료의 van der Waals volume(VWV)과 ${\beta}$값을 함께 고려한 파라미터 (1.01VWV/100-1.84${\beta}$)와 시료의 머무름(log k')과는 좋은 직선관계가 있다. 따라서 $ C_{18}$ 및 Phenyl 컬럼에서 페놀 일치환체들의 머무름은 시료의 (1.01VWV/100-1.84${\beta}$)값으로 쉽게 예측할 수 있음을 알았다. The retention data of twenty one monosubstituted phenols in the eluent systems containing 30∼70% of methanol or acetonitrile as organic modifiers, on $ C_{18}$ and Phenyl columns were colle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ubstituted groups on the retention of phenols. The capacity factors of the solutes except amino phenols are greater on $ C_{18}$ than on Phenyl column. And all the solutes have shown greater capacity factors in methanol-water than that in acetonitrile-water as a mobile phase. Generally the elution order between meta and para isomers of monosubstituted phenols in consistent (p < m) regardless of the polarity of the substituted group. But the elution order between ortho and meta isomers of phenol varies with regard to the polarity of the substituted group. The retention of the monosubstituted phenols has been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lute and unreacted silanol of columns as well a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lute and $ C_{18}$ or phenyl group of columns. And then, the effect of unreacted silanol on the retention of the monosubstituted phenols is greater on $ C_{18}$ than on Phenyl column. And the greater hydrogen bonding acceptor basicity(${\beta}$) of the substituted group is, the greater this effec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tention of the monosubstituted phenols and their parameters such as van der Waals volume(VWV) and hydrogen bonding acceptor basicity(${\beta}$) has been investigated. The good linearity has been observed in the plot log k' vs. (1.01VWV/100-1.84${\beta}$). In consequence, the retention of the monosubstituted phenols on $ C_{18}$ and Phenyl columns can be easily predicted by the parameter (1.01VWV/100-1.84${\beta}$).
VARIATIONAL INEQUALITIES BASED ON CONNECTEDNESS : 연결공간에서의 변분부등식
김훈주 대불대학교 2000 論文集 Vol.6 No.1
1959년에 Wu는 최소최대정리의 증명에 이용되는 볼록 집합의 성질은 연결성이라는 것을 간파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KKM 정리와 최소최대부등식에 관한 기존의 여러 연구들을 연결공간(connected space)에서 간소화하였고 변분 부등식에 응용하였다.
Generalized variational inequalities on H-spaces
김훈주 대불대학교 1995 論文集 Vol.1 No.2
위상선형공간의 볼록공간집합의 개념을 일반화하는 연구가 KKM 이론, 부동점이론, 일치점이론등에서 매우 활발하였다. 그 중 Horvath에 의해 도입된 H-공간상에서 여러가지 변분부등식을 얻었다. 이 변분부등식은 Ding 과 Tan, Kim 과 Tan, Park Browder 등의 연구를 일반화한 것이다. In this note, we prove some variational inequalities which generalize Ding and Tan [DT], Kim and Tan [KT], Park [P2] and Browder [Br].
AI의 민사책임에 관한 고찰 - EU의 입법동향을 중심으로 -
김훈주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2 동북아법연구 Vol.16 No.2
세계 각국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AI(인공지능)의 발전과 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국가적 차원의 전략을 수립하고 그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래서 AI의 기술발전은 가속화되고 그 이용영역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AI의 이용영역 확대는 AI의 오류나 잘못된 판단에의한 법익침해도 함께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현행 민사책임에 관한 법제는 자연인이나 법인에 의한 법익침해만을 전제하는 관계로, AI에 의한 법익침해를 현재 법률의 해석만으로 적절히 대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AI의기술수준과 적용영역 등에 맟춰 민사책임 관련 법제를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고, 우선제조물 책임법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물 책임법의 적용대상을 AI가 포함될 수있도록 확대하고, 디지털 제품 등의 특성을 결함 개념에 포함시키며, 디지털 제품의 기술적 복잡성을 고려하여 증명책임을 조정하거나 완화하는 등의 법률 개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제조물 책임법의 개정은 일반적인 제조물 책임만을 규율하고 있으므로, AI에 의한 법익침해를 모두 규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제조물 책임 이외의 AI에 의한 법익침해를 포괄적으로 규율할 수 있는 독립적 법률의 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독립적 법률을 제정할 때에는 EU의 AI 통일규범안 등을 참조하여, AI의 위험성에 따라 규제방법을 달리 정하면서, 그에 따른 민사책임도 AI의 위험성에 맞춰 차별성을 두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다만, 제조물책임법의 개정이나 개별 법률의 제정은 AI 산업에 미칠 수 있는 파급효과와 각종 쟁점 등을면밀히 검토한 후 신중하게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established national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c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dustrial revitalization, and are sparing their investment and support. Therefor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AI is accelerating and the field of its use is expanding. However, the expansion of the use area of AI may also increase legal infringements due to AI errors or wrong judgement. However, since the current legal system on civil liability presupposes only legal infringements by natural person or legal person, it is difficult to properly respond to legal infringements by AI only by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law.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revise the civil liability-related legis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chnological level and application area of AI, and first proposed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 Liability Law.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law, such as expan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oduct Liability Law to include AI,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products in the concept of defects and adjusting or alleviating the burden of proof. On the other hand, since the revision of the Product Liability Law only regulates general product liability, there is a limit to regulating all legal infringements caused by AI.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enact an independent law that can comprehensively regulate the legal infringements by AI other than product liability. When enacting such an independent law, it would be desirable to refer to the EU's AI Regulation, set different regulatory methods according to the risks of AI, and differentiate civil liability according to the risks of AI. However, the revision of the Product Liability Law or the enactment of individual laws need to be done carefully after examining the ripple effect and various issues that can have an impact on the AI industry.
Coincidence Theorems On Topological Ordered Spaces
김훈주 대불대학교 1999 論文集 Vol.5 No.1
최근에 Horvath와 Ciscar[HC]는 위상 준격자상의 다가사상에 대한 부동점 정리들을 얻었고 [2]에서 Park과 Kim이 도입한 일반화 볼록 공간을 이용하여 이 논문에서는 줄로 연결된 구간을 가지는 위상 준격자가 일반화 볼록 공간임을 보이고 비긴밀 사상에 대한 일치점 정리를 얻었다.
김훈주,임동호,성영재 장전수학회 2020 Advanced Studies in Contemporary Mathematics Vol.30 No.2
In this paper, we characterize some real hypersurfaces in a complex space form M2(c), c 6= 0 in terms of the Ricci operator S, the tangential projection and the shape operator A.
Applications of results on abstract convex spaces to topological ordered spaces
김훈주 대한수학회 2013 대한수학회보 Vol.50 No.1
Topological semilattices with path-connected intervals are special abstract convex spaces. In this paper, we obtain generalized KKM type theorems and their analytic formulations, maximal element theorems and collectively fixed point theorems on abstract convex spaces. We also apply them to topological semilattices with path-connected intervals, and obtain generalized forms of the results of Horvath and Ciscar, Luo, and Al-Homidan e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