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효일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2
This study as a background for the design of future value in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the study, Research is to observe the context of the design is the process of choice for consumers, media ecology possibility. Design that is created by one of the creative activity, not as the result Environment associated with the design and aesthetic changes, the consumer's preference and reflect the changes that is produced as the result of the final design. Expansion of the human sense organs to process input information and experience, and accumulated experience in the design process is formed. Cyclic process of this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ecology, Media to organize around the subject of the environment factors and ecological principles can be analyzed by substituting In the design of the production process phenomena in an objective derived through observation and analysis on the surrounding ecosystem, is to create a design that consumers demand. Design and creative activities previously produced a design that reflects the surrounding factors, environment, consumer tastes, preferences, and optionally, brand effect, The possibility of the design of these processes will be able to look at the process of the user experience and service design. 본 연구는 디자인의 미래가치와 디자인의 발전방향에 대한 배경이 되는 연구로서, 미디어생태학적 가능성을 바탕으로 디자인의 매개되는 현상과 디자인이 최종 소비자에게 선택되는 과정에서 재현되는 맥락을 관찰하기 위한 연구이다. 디자인은 하나의 창의적 활동에 의해 만들어지는 결과물이 아니라, 디자인과 연관된 주변 환경과 소비자의 심미적 변화, 소비자의 추구가치 등이 반영되어 진화되고, 변화되는 것이 디자인의 최종결과물로 제작되는 것이다. 인간의 감각관의 확장은 인간의 감각기관에서 입력되는 정보와 경험을 가공하게 되고, 누적된 경험은 디자인과정에서 발현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의 순환과정은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에서 보면, 미디어를 편성하는 주변요인과 환경의 지배를 받는 생태학적 원리에 대입하여 분석될 수 있으며, 디자인의 제작과정에도 주변 생태계에 대한 관찰과 분석, 현상에 대한 객관적인 적시 등을 통해 소비자가 요구하는 디자인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디자인은 창의적 활동 이전에 주변요인, 환경, 소비자의 기호, 선호도, 선택적 가능성, 브랜드 효과 등을 반영하여 디자인을 제작하게 되며, 이러한 프로세스는 결국 디자인의 가능성을 사용자 경험과 서비스디자인의 프로세스에서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경험에 기반한 UX디자인시나리오 개발 연구 - U-healthcare service 국내사례를 중심으로 -
김효일,김정규,정보민,김규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impact of rapid paradigm shift, people are afraid of the uncertainties of the future environment and also the new possibilities that tries various activities to predict the fu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we have to develop the various scenarios which are able to predict the complex and uncertain future to design for the future life.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user-centered design scenarios.In this study, in order to offer u-healthcare related services contents and solutions that is effective and convenient to the needs of the future environment of the people, it is suggested to develop design scenarios based on user experiences and core demands. 급속한 패러다임 변화의 영향으로 사람들은 미래환경의 불확실성에 대하여 두려워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복잡하고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하고, 미래의 생활을 미리 디자인해 볼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의 개발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사용자 중심적인 시각에서의 디자인시나리오의 개발이 필요하다.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미래 환경에서 필요로 하고 또한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u-healthcare 관련 서비스 컨텐츠 및 솔루션을 제안하기 위하여, 전반적인 UX디자인 시나리오프로세스에 대해 연구해보고 다양한 사용자의 경험과 요구사항에 기반한 UX디자인시나리오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단편 애니메이션 『푸콘 가족』에서 나타난 비언어적 수사법 연구
김효일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3
It can be said that animations are the result ofthe development in image technologies and thecontinuous cientific research performed bymanki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theanimation sector have been made possible byextraordinary ideas and curiosities of humanbeings, who seek to capture moving images, whichstarted from the Altamira caves of the prehistoricage to the development of devices that led to themodern film and image culture.This research seeks to analyze the medium ofcomunication thatarisesin storiesandcomunication relationships, rather thancharacter movements, in animations based on thestructure of nonverbal rhetorics and an approachto the unique comunication structuredemonstrated in a manikin animation.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newanimation techniques and look into theirposibilities by taking an aproach to theconection between animations and rhetoricalexpressions.In addition,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rhetoric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Fuccons new animation technique - manikin』animation. The Fucons has created a unique『 』black comedy genre that involves manikincharacters, who do not have any facialexpressions or movements, suddenly bursting intolaughter while having dialogue.(Keyword)manikin animation, rhetoric, nonverbal,the fuccons )애니메이션은 영상기술의 발전과 인간이 지닌 끊임없는과학적 탐구의 결실이라 할 수 있다 선사시대 알타미라.동굴벽화에서 출발하여 근대 영화와 영상 문화를 시작하게 된 장치들의 개발 등 움직이는 동화를 가두어 두고자하는 인간의 호기심과 엉뚱한 발상에서 애니메이션 분야의 기술적 발전이 거듭해서 이루어진 것이다.본 연구는 마네킹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의사소통 구조에 대한 접근과 비언어 수사법에 대한 구조를통해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의 움직임이 아닌 스토리와소통관계에서 발생되는 의사소통의 매개를 분석하기 위한연구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수사학적 표현과 애니메이션의 연관성에 관한 접근을 통해 새로운 애니메이션 기법의 탐구와그 가능성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였다.또한 새롭게 등장한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애니메이션에,등장하는 마네킹 캐릭터가 아무런 표정도 움직임도 없이,정지된 상태에서 마네킹들이 대화를 진행하다 갑자기 폭소를 터뜨리는 독특한 블랙코미디 장르를 구축한 푸콘『가족 의 마네킹 애니메이션 이라는 새로운 애니메이션』 ‘ ’기법에 의한 비언어 의사소통 구조의 수사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김효일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2
Due to fundamental changes in infrastructure andunderlying technologies, digital image nvironment istransforming the role and function of coloquial andwriten languages, a traditional human medium ofcomunication. As typography utilizes a printing medium,a clear boundary has ben set betwen verbal andwriten languages for its inate functional imitations.Environmental changes in digital image medium andgrowing demand of users, however, have nabled thegrowth of kinetic typography which eliminates functionalboundaries of spoken and writen language merging as acomunication medium expected to vercome the limitsof typography.Departing from basic traditional typographic forms ofrecording and transmiting human information code,kinetic typography takes new paradigmatic aproaches todrives evolutionary changes of human comunication.Influenced by diversification and functional expansion ofimage medium, the area of typography is no longerlimited to simplified image medium. Driven by interactivecomunication, its narative structure is undergoingchanges. This indicates the path that kinetic typographyis taking to march into a new realm of comunicationwith expanded functions and roles parting fromtraditional printing medium typography.Against his backdrop, this paper examines the waykinetic typography organizes and structures informationin the proces of comunication. The relations betwenlanguage and typography were studied, and semanticanalysis of leter forms and movements were conductedas wel as the analysis of information delivery system.Through these forts, storyteling structure xhibited b ykinetic typography was analyzed and categorized.(Keyword)kinetic typography, paralanguage, storyteling,nonverbal expresion, comunication )디지털영상 환경은 인프라와 기반기술의 혁신적인 변화로 인해 인간의 전통적인 전달 매개인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역할과 기능을 변화시키고 있다 인쇄매체 영역.이 근간인 타이포그래피는 문자가 지닌 속성과 기능상의한계로 음성언어의 영역과 문자언어의 영역이 명확히 구분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디지털 영상매체의 환경 변화,와 사용자 요구의 증대로 인해 특정적인 언어기능을 넘어 말과 글의 기능적 영역을 통합한 영상 타이포그래피가 타이포그래피의 기능적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매개로 성장하고 있다.영상 타이포그래피는 타이포그래피의 기본적인 기능인인간의 정보코드를 기록하고 전달하는 관습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과거와는 다른 형식과방법으로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주도하고 있으며 타이,포그래피 영역은 변화되고 있는 영상매체의 다양화와 영상매체 기능이 확장되어 단순한 매체의 영역에서 머물지않고 인터랙션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내러티브 구조가 변경되고 있으며 이는 영상 타이포그래피가 과거의인쇄매체 타이포그래피 영역과는 다른 커뮤니케이션으로확장되어야 하는 기능과 역할에 대한 변화이다.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영상 타이포그래피가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정보를 조직하고 구성하는 방식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언어와 타이포그래피의 관계를,고찰하고 글자 형태가 지니는 의미와 글자의 움직임이,지니는 의미 그리고 정보전달체계에 대한 분석과 영상타이포그래피에서 나타나는 스토리텔링 구조를 분석하고분류하였다.
김효일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6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ffective practical use plan of typography been applying to image medium. there is purpose in study of nonverbal expression of motion typography and attribute of nonverbal message and effect. Characters applied to image medium are added function as spoken language and role which special quality of image medium is combined and is not applied in previous print media to linear information offer function except that character language has and nonverbal attribute can be applied to character language. That nonverbal representation is included to character language is to be changed by attribute of new digital image medium that is not attribute that be extension of area to new communication system and changes special quality of image medium and is previous analog medium enemy. Effect and nonverbal expression by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 verbalism and divides function of nonverbal expression by repletion, regulation, replacement, emphasis and presented the example about effect that get in communication in motion typography.And, This study wished to deduce visual standard that effective communication system is established to viewer and medium user in digital image medium age that come through study about functional classification and effect on nonverbal expression of motion typography. 본 연구는 영상매체에 적용되고 있는 타이포그래피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영상 타이포그래피의 비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메시지의 속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에 목적이 있다. 영상매체에 적용되는 문자는 문자언어가 지닌 선형적인 정보제공 기능이외에도 영상매체의 특성이 결합되어 이전의 인쇄매체에서 적용되지 못하던 음성언어로서의 기능과 역할이 추가되어 문자언어에 비언어적 속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언어적 표현이 문자언어에 포함된다는 것은 새로운 의사전달 체계로의 영역의 확장이며 영상매체의 특성을 변화시키고 이전의 아날로그 매체적인 속성이 아닌 새로운 디지털영상 매체의 속성으로 변이 된다는 것이다. 영상 타이포그래피에서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에 의한 효과와 비언어적 표현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고 비언어적 표현의 기능을 보완, 규제, 대체, 강조로 구분하여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영상 타이포그래피의 비언어적 표현에 관한 기능적인 분류와 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가오는 디지털 영상매체 시대에 시청자와 매체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의사전달 체계가 정립되기 위한 시각적 기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각급학교 교육시설의 분포형태에 관한 연구 : 마산시와 창원시를 중심으로
김효일 한국교육시설학회 1994 교육시설 Vol.1 No.2
This is a basic study of the distributional plan for the educational facilities. It will examine and analyze the changing process of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the present urban educational facilities. The results are follows : In the older cities which have a strong tendency to grow naturally, the majority are a cluster type. The new planned cities are a distribution type, which shows a tendency to become a cluster type as the city developes. The distribu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under the cluster type is classfied into five patterns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ation of schools. The cluster type of educational facilities cause many problems in local cities, therefore must change into the distribution type.
김효일 한국교육시설학회 2000 교육시설 Vol.7 No.3
Today the supply of school sports halls for multi-functional use is absolutely insufficient in school facilities of Korea. For economical reasons and efficiency of use, a joint utilization of these halls by schools, sports clubs and other users should be strived for. This will lead, as a result, to a minimization overall in the demand for halls. Above all to satisfy this demand, the regulations of sports facilities suitable to the students' standards of play and physical conditions must be preceded in Korea. And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is hall size for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is needed.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the range of optimum size of school sports hall in Korea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regulations of sports facilities about clear height of hall, obstacle-free zone and court area in Japan, England, Germany and U. S. A. Therefore, this study will offer valuable basic data in planning the school sports hall.
북디자인에서 나타난 그로테스크 표현으로서의 캘리그래피 연구
김효일,김규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design trends of the changes will incorporate a human return to the past. Cool Media is a lack of sensitivity to the drone because it appears uniform. Unlike the human susceptibility to such phenomena are preferred. This study indicated that Book Design Calligraphy embedded in the human heart, which causes the new value appears to Grotesque with Calligraphy that is looking for the cause of the emotion. Calligraphy by the grotesque representation of heterogeneous and non-routine, non-formal representation of traces in the digital age regression phenomenon reveals about human memory. Book Design and writer with a book containing information profession with my pay will be able to design a Good Book Design. One of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se findings Book Design Calligraphy using the title and the book contained a variety of design by applying the meaning of the language is to communicate,Calligraphy Grotesque representation of the context,represent a variety of doing work with because it causes the appropriate representation parameters. 디지털 매체의 발전과 디자인 트렌드의 성숙은 사람들을 과거의 향수로 회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디지털 매체가 지닌 쿨미디어의 성향은 단조롭고 획일적인 지성적 가치가 대두됨으로 인해 인간적인 감성의 결여로 반응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에 반해 대부분일반인들은 지극히 인간적인 감수성을 선호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디자인에서 나타난 디자인 가치로서의 캘리그래피가 인간의 감성을 건드리고 새로운 매개 확장의 가치로 나타나고 있는 이유가 캘리그래피가 지닌 그로테스크적 감성에서 그 원인을 찾고자 한다. 캘리그래피에 의한 그로테스크적 표현은 일상적이지 않은 이질적이고, 비정형적 표현이며, 양면성을 지닌 표현이므로정형화된 디지털 시대에서 부족한 인간적 향수에 대한회귀에서 그 원인을 적출할 수 있다. 북디자인은 책에 담긴 내용과 작가가 지닌 지향점을 대변할 수 있는 디자인이 좋은 북디자인이라 할 수 있을것이다. 이러한 북디자인의 가치체계를 대입해 판단하게되면, 근래의 북디자인에서 발견되는 공통된 특성 중에하나가 캘리그래피를 이용하여 제목과 디자인을 적용시킴으로써 책에 담긴 다양한 언어의 의미를 전달하고자노력하게 된 원인은 캘리그래피의 그로테스크적 표현이지닌 효과가 다양한 맥락을 대변하기에 적절한 표현매개라는 것이 원인이기 때문이다.
김효일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디지털폰트에서 나타나는 감성에 의해 폰트의 의미가 달라지는 매개과정의 특성을 계량화하기 위해 1차 기초조사와 2차 예비조사, 3차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디지털폰트의 분석과 면적대비 정량 평가를 통한 평균값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디지털폰트의 감성에 대하여 접근하고자 한다. 한글 디지털폰트에서 기존의 폰트 분류체계는 폰트 제작사에 의한 임의적인 분류체계이기 때문에 폰트의 형태와 감성에 따른 구분으로 적용될 수 없는 분류체계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설문조사 과정에서 발견된 감성적 차원의 분류를 바탕으로 한글 디지털폰트의 감성에 따른 효과적인 적용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논점인 한글 디지털폰트의 형태에 대한 분석은 기초적인 연구에 지나지 않는다. 보다 현실적인 검증과 발전을 위해서는 한글의 형태에서 나타나는 감성뿐만이 아니라 폰트가 영상화면에 적용되는 위치와 운동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영상매체와 방송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다.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 of mediation process depending on the meaning of font by sensibility which is from the digital font this research's goal is to draw the mean value through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digital font on the area so we do the basic research on the first step and on the second step is preliminary research and on the third step is the survey. Through these research process I want to approach the sensibility of digital font. The classification system isn't applicable on the kind of form of font and sensibility , because the existing font classification system in Hangul digital font is voluntarily classification system by font maker. So at this research's survey process is based on the discovered the sensibility dimension I want to search the effective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Hangul digital font's sensibility. This study is just the basic research on the form of Hangul digital font. To get the more realistic verification and development, we need to study not only on the sensibility but study on the application to the spot and motility on the image screen And that would make possible to apply the image media and broadcast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