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델파이 조사를 통한 학교사회복지 교과과정 방향 모색

        김혜래,오창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0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s in the field of Korean school social work,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Korean school social work college curriculum through Delphi method. Recently Korean schools have enlarged various welfare programs for students in poverty and maladjustment, handicapped students,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a fundamental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llege curriculum of school social work, data were gathered from 19 lecturers teaching school social work in the 4-year colleges. As a result, the redefined concept of school social work, the redefined role of school social workers, changed practice perspectives, deeper understandings for students should be included and emphasized in the new school social work college curriculum. 최근 학교사회복지 실천 현장이 교육격차해소 사업의 확대, 부적응학생에 대한 정책 강화, 장애학생 통합교육 및 다문화가정아동 교육기회 확대, 학생인권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변화하고 있어 학교사회복지사의 기본적 교육을 담당해야 할 교과과정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학교사회복지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로서 전국의 4년제 대학에서 학교사회복지 과목을 가르치는 교육자를 대상으로 2009년 9월부터 10월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유지와 교육현장의 변화가 학교사회복지 교과과정 개발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으로 지목되었고,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및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정립, 지역사회 자원개발과 연계 및 사례관리 등의 실천기술, 학생인권, 교육제도 및 교육정책 등이 향후 교과목 개발에서 강조되어야 할 부분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후보

        교육격차해소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역할: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을 중심으로

        김혜래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09 학교사회복지 Vol.- No.17

        본 연구는 교육격차해소를 위한 국내외 사업 내 전문가들의 역할과 역량을 살펴보고 향후 우리나라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활동할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 사업의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사는 우선 개별적 개입에 치중했던 역할에서 벗어나 사례관리자, 연계자, 조정자, 계획자, 정보 수집 및 분석가 등 중ㆍ거시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또한 교육과 학교 현장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교육취약집단인 장애학생, 저소득계층, 이질적 문화를 소유한 학생들의 교육소외 및 교육불평등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들에 대한 옹호자와 대변자 역할을 하여야 한다. 더불어 교육복지 현장에서 요구하는 통합적 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례관리, 프로그램 계획 및 개발, 자원 발굴 및 지역사회 연계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전문성을 발휘해야 하며 교육취약계층의 교육적 성취를 위해 교육행정가, 교사 및 학부모와의 파트너십을 형성해야 한다.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태도와 역할의 변화를 위하여 교육복지 전문가 양성을 위한 사회복지 교육 내용과 시스템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즉 교육취약계층에 대한 이해 교육, 인권교육을 강화하며, 임상적, 미시적 실천 교육 중심에서 사례관리, 자원 발굴 및 연계, 지역사회조직 등 중거시적 접근법 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교육내용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학교사회복지학회와 학교사회복지사협회는 실무자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을 만들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uties and tasks of professionals of the educational fields, working for eliminating social exclusion and to propose the roles of social workers in the educational fields of Korea. As a result, social workers in the educational fields should change their roles from the roles in micro level such as clinicians to meso/macro level roles such as case managers, coordinators, planners, and advocates. And social workers should make utmost efforts to form partnerships with teachers, education administrators and parents. For these changes of the roles,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all educationally disadvantaged students such as disabled childr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low income areas. Especially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heighten their consciousness on children's rights. Also educational curriculum and systems in school social work education of colleges and school social workers' associations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mands of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s.

      • KCI등재

        청소년 후기 발달적 특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율성, 사회적 유대감, 진로효능감을 중심으로-

        김혜래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3 학교사회복지 Vol.- No.2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velopmental factors (autonomy, social connectedness and career self-efficacy) influencing college adjustment. Responde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23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impacts of autonomy, social connectedness, career self-efficacy on college adjustment. Social connectedness and career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academic adjustment and social environmenta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And social connectedness and autonomy significant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college education and guidance to students should be oriented to enhance developmental traits including autonomy, social connectedness and career self-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후기에 속하는 대학생의 발달적 특성인 자율성, 사회적 유대감, 진로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2012년 9월 423명의 대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자율성, 사회적 유대감, 진로효능감이 모두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활적응을 학업적응, 사회환경적응, 심리적응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학업적응과 사회환경적응에는 사회적 유대감과 진로효능감이, 심리적응에는 자율성과 사회적 유대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발달특성 중 사회적 유대감은 대학생활적응 전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영향력 또한 가장 컸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해 발달적 관점에 기반하여 자율성, 사회적 유대감, 진로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성역할정체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김혜래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6 사회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역할정체성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청소년 성역할정체성 척도는 문헌고찰 및 분석, 문항개발, 예비검사 실시, 본 검사 실시의 절차를 거쳐 진행되었다. 1차적으로 남녀 청소년들로부터 우리 사회에서 남자와 여자의 성격적·사회적 특성이라고 간주하고 있는 성격 단어를 수집한 후, 이 결과와 성역할 관련 문헌연구를 통하여 얻은 성격 단어를 추가하여 188개의 성격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 188개의 성격 문항이 어느 성에 더 바람직한 성격인지를 질문하는 2차 검사를 통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문항을 여성성 문항과 남성성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여성성, 남성성 각 18문항과 중립문항 14문항으로 구성된 청소년 성역할정체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 척도는 .77에서 .87에 이르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안면타당도 검증과 내용타당도 검토를 거쳤다. 앞으로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본 연구의 청소년 성역할정체성 척도는 시대와 연령에 적합한 척도로서 다른 어느 척도보다도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이 인식하고 있는 성 고정관념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이다.

      •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척도 개발 연구

        김혜래,최승희,조성우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1 학교사회복지 Vol.-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성을 검증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후,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학교 전문가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교육복지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복지 프로그램 네 영역(학습, 문화체험, 심리정서, 보건복지)별 각 20문항으로 이루어진 1차 문항을 구성하였다. 영역 간 중복 문항, 의미 중복 문항을 제외한 후 2차 문항을 구성하고 전문가들로부터 타당도 검토와 문장 검토를 받은 후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 각 영역별 15-18개로 구성된 3차 문항을 만들었다. 그 다음 단계로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전국의 10개 초등 및 중학교 597명 학생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의 자료를 문항분석, 타당도,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타당한 문항들만 선별하였다. 문항분석을 통하여 문항의 변별도가 분석되었고, 타당도 검토에서는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통해 수렴 및 변별타당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알파계수 산출을 통해 신뢰도가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최종 선정·개발된 총 4개 영역 40문항의 척도는 적절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것으로 학교현장에서 사용하기에 문제가 없다. 본 연구 결과 개발된 척도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사용될 뿐 아니라 연차별 효과성을 비교·검증하는데 사용됨으로써 궁극적으로 교육복지사업을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s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welfare support program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 focus-group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and the professionals were implemented. Then informations on students’ behavioral, emotional and academic changes were gathered. Based on these informations, the first questionnaire pool of 20 items per each domain(learning, cultural experience, psychological emotion, health and welfare) were created. After checking out duplication and redundancy among items, validity test was conducted. Through these processes, the final questionnaire pool of 15-18 items per each domain was made. In order to test generalizability of the developed scale, the nation wide survey was conducted utilizing 597 students from 1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various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item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Cronbach’s alpha), item discrimination and validity test. Finally, we developed a total of 40-item scale(10 items per each domain) and the developed scale was proved to be valid and reliable. Therefore, the scale developed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welfare support programs in Korea.

      • KCI등재후보

        학교징계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대한 연구 : 스트레스의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혜래,류나미,전영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08 학교사회복지 Vol.- No.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of students under school disciplinary punishment, assum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The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were 89 middle·high school students of school(8th~11th grades) doing social service activities for school disciplinary punishment at a Social Welfare Institution in Chungcheongbukdo and were asked to complet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statistical package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those students'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were explored. Self-esteem was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e indirect effect of adolescent's stress by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of students under school disciplinary punishment was supported. Thess results reinforced an importance of understanding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of students under school disciplinary punishment and stress and self-esteem as related factors. Therefore, school and institution's programs for students under school disciplinary punishment should be developed for raising their self-esteem. Furthermore, by researching the more effective cooperative methods between school and family, the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of student's under school disciplinary punishment should be promoted. 본 연구는 학교징계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스트레스의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료는 사회복지시설에서 학교징계 사회봉사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89명의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학교징계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경로를 살펴보기 위해 Amos 5.0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모형의 적합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는 학교징계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교징계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비행과의 관계

        김혜래(Hye Rae Kim),이혜원(Hye Won L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0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3

        이 연구의 목적은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학교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지위비행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진로성숙도가 개인·가족·또래·학교관련 변수들 사이에서 지위비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개발원의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Ⅲ -중등3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현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088명이다. 학교청소년의 지위비행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개인관련 요인, 가족관련 요인, 또래 및 학교관련 요인, 진로성숙도 간 단순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교청소년의 진로성숙도는 전체지위비행과 지위비행의 하위유형인 담배피우기, 무단결석, 가출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성숙도가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진로성숙도는 지위비행 가운데 "무단결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진로성숙도는 지위비행, 특히 무단결석의 보호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자기이해, 적성 및 소질 개발, 진로정보 등을 포함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통하여 진로성숙도를 높임으로써 학교청소년의 지위비행을 예방하고 개입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delinquency of school adolescents in ecological perspective. Data of the KYPS-Ⅲ-middle school the 3rd of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were used and the samples were 3,088 cases. With the result of simple correlation analysis,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maturity and delinquencies (status offenses) of school adolescents have been shown. Controlling the effects of the respondents` demographical, family-related, peer and school-related, personal fa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pplied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career maturity on delinquency of school adolescents. The findings indicated career maturity lowered absenteeism, specially for girls, while career maturity were irrelevant to whole delinquenci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career searching programs could contribute to prevent and intervene in delinquencies of school adolescen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should be required in welfare settings working for school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성역할정체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김혜래(Kim Hye-Rae)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6 사회연구 Vol.-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역할정체성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청소년 성역할정체성 척도는 문헌고찰 및 분석, 문항개발, 예비검사 실시, 본 검사 실시의 절차를 거쳐 진행되었다. 1차적으로 남녀 청소년들로부터 우리 사회에서 남자와 여자의 성격적?사회적 특성이라고 간주하고 있는 성격 단어를 수집한 후, 이 결과와 성역할 관련 문헌연구를 통하여 얻은 성격 단어를 추가하여 188개의 성격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 188개의 성격 문항이 어느 성에 더 바람직한 성격인지를 질문하는 2차 검사를 통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문항을 여성성 문항과 남성성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여성성, 남성성 각 18문항과 중립문항 14문항으로 구성된 청소년 성역할정체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 척도는 .77에서 .87에 이르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안면타당도 검증과 내용타당도 검토를 거쳤다. 앞으로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본 연구의 청소년 성역할정체성 척도는 시대와 연령에 적합한 척도로서 다른 어느 척도보다도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이 인식하고 있는 성 고정관념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x-Role Inventory for Korean Adolescents". A sex-role scale which can measure masculinity and femininity perceived by Korean adolescents by today"s cultural standards more accurately needs to be developed. Developing a Sex-Role Inventory for Korean Adolescents follows the same procedure as the Bem Sex Role Inventory and the Korean Sex Role Inventory. In the first preliminary study, 188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gathered and through the second preliminary study 50 items were selected, including 18 items each for masculinity and femininity. The inventory showed high reliability ranging from Cronbach"s alpha .77 to .87, and rather reasonable degree of face validity and content validity. In developing the Inventory, it was observed that the contents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that today"s adolescents recognized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KSRI of 1990. Therefore this Inventory is better suited for measuring gender role identity of Korean adolescents of today.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closely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Inven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