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티브 팩스톤(Steve Paxton)의 작품에서 나타난 일상적 움직임의 특성에 관한 연구: <Satisfyin' Lover>, <Bound>, <Contact at 10th & 2nd>를 중심으로

        김현희,KIM, Hyunhee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7 트랜스- Vol.3 No.-

        본 논문의 목적은 스티브 팩스톤의 작품에서 드러난 일상적 움직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예술작품은 오랜 시간동안 고급문화로서 높은 계층의 사람들에게만 향유되는 특별한 대상으로서 인식되어왔다. 일상과 예술의 간극은 크게 존재해왔고 때문에 예술작품에서 일상적인 요소의 출현은 사회적 변화를 수반한 대중의 인식전환을 의미한다. 예술과 일상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시대로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는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전후사회 그리고 후기 자본주의사회로서 급변하는 정세를 배경으로 가진다. 이 시기의 변화는 학자들에게 일상과 관련한 개념들을 학문적으로 접근하게 하는 계기가 되어졌으며 예술가들에게는 총체성을 거부하는 다원주의 성향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정신으로서 영향을 미쳤다. 같은 시기 현대 무용역시 포스트모던댄스로의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현대무용은 그 한계점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저드슨 댄스 씨어터를 비롯한 무용가들을 필두로 포스트모던댄스는 전개되었다. 저드슨 댄스의 설립자 중 한 명인 스티브 팩스톤은 머스 커닝햄의 무용수로 활동을 하며 움직임이 생성되는 과정과 계급적인 사회구조를 지닌 무용단의 생태에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그의 사고는 일상적인 동작을 그대로 작품에 실현하는 시도로서 초기 작품 활동에 드러난다. 일상적인 동작의 활용이 포스트모던댄스의 공공연한 특징으로 간주되어지고 있음에도 이에 주목한 선행연구가 드물다는 점, 그리고 팩스톤 관련 연구들은 접촉즉흥에 관련한 것으로 편향되어 있다는 것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때문에 접촉즉흥 기법에 치중하기 이전 일상적인 동작의 사용으로서 작품활동을 시작한 것에 주목하여 그 연결선상으로서 이후의 작품들을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는 팩스톤의 작품인 <Satisfyin' Lover>,<Contact at 10th & 2nd>,<Bound>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일상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일상에 관련한 개념을 고찰하고 포스트모던댄스의 무용사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저서와 학술 논문, 무용기사 및 평론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팩스톤은 무용적 정제를 거치지 않은 일상에서의 동작을 작품에 그대로 차용하였으며 그 시작으로 보행동작은 비무용수인 공연자들의 보행으로서 일상적인 움직임에 미적 의의를 부여하였다. 팩스톤이 심취한 접촉즉흥의 움직임 역시 자연스러운 에너지의 흐름을 중시하는 것으로 일상적인 측면을 지니며 이후의 작품인 <Bound>에서도 그는 이완된 신체로 평범한 동작들을 선보였다. 작품에 등장한 일상적 움직임의 특성은 반복되는 삶에서의 실천과 특별하지 않은 평범한 것이라는 기준으로서 분석되었다. 그의 작품에 내재된 일상적 움직임은 한 시대의 무용장르의 변화를 비롯하여 전통적으로 유지되어온 무용예술 작품에 관한 인식의 전환을 대변하는 것이다. 파격적인 시도와 실험성으로 점철된 그의 활동은 현대무용이 지녔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보다 높게 평가 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everyday movement showed in performances of Steve Paxton. A work of art has been realized as a special object enjoyed by high class people as high culture for a long time. Therefore, a gap between everyday life and art has been greatly existed, and the emergence of everyday elements in a work of art means that public awareness involving social change is changed. The postmodernism as the period when a boundary between art and everyday life is uncertain was a postwar society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a social situation that rapidly changes into a capitalistic society. Changes in this time made scholars gain access academically concepts related to everyday life, and affected artists as the spirit of the times of pluralistic postmodernism refusing totality. At the same period of the time, modern dance also faced a turning point as post-modern dance. After the Second World War, modern dance started to be evaluated as it reaches the limit, and at this juncture, headed by dancers including the Judson Dance Theatre. Acting as a dancer in a dance company of Merce Cunningham, Steve Paxton, one of founders of the Judson Dance Theatre, had a critical mind of the conditions of dance company with the social structure and the process that movement is made. This thinking is showed in early performances as an at tempt to realize everyday motion it self in performances. His early activity represented by a walking motion attracted attention as a simple motion that excludes all artful elements of existing dance performances and is possible to conduct by a person who is not a dancer. Although starting the use of everyday movement is regarded as an open characteristic of post-modern dance, advanced researches on this were rare, so this study started. In addition, studies related to Steve Paxton are skewed towards Contact Improvisation that he rose as an active practician. As the use of ordinary movement before he focused on Contact Improvisation, this study examines other attempts including Contact Improvisation as attempts after the beginning of his performances. Therefore, the study analyzes Satisfyin' Lover, Contact at 10th & 2nd and Bound that are performances of Steve Paxton, and based on this, draws everyda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related books, academic essays, dance articles and reviews are consulted to consider a concept related to everyday life and understand dance historical movement of post-modern dance. Paxton attracted attention because of his activity starting at critical approach of movement of existing modern dance. As walking of performers who are not dancers, a walking motion showed in Satisfyin' Lover gave esthetic meaning to everyday movement. After that, he was affected by Eastern ideas, so developed Contact Improvisation making a motion through energy of the natural laws. In addition, he had everyday things on his performances, and used a method to deliver various images by using mundane movement and impromptu gestures originating from relaxed body. Everyday movement of his performances represents change in awareness of performances of the art of dancing that are traditionally maintained including change of dance genre of an area. His activity with unprecedented attempt and experimentation should be highly evaluated as efforts to overcome the limit of modern dance.

      • KCI등재

        瑞隱 全新民의『瑞隱實紀』考察

        김현희(Kim, Hyunhe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4

        전신민은 본관은 천안이며 호는 서은으로 고려 공민왕 때 북도안무사 겸 병마 원수를 거쳐 우왕 때 병부상서를 역임한 고려 후기 무신이다. 전신민은 병부에 있으면서 포은 정몽주와 나라 형세를 걱정하였다. 정몽주가 선죽교에서 살해되고 고려가 망하자 벼슬을 버리고 가족들과 함께 전남 담양군 남면 연천리 산음동으로 내려와 종적을 감추었다. 전신민은 ‘두문동 72현’과 뜻을 함께하며 ‘백이 숙제는 어떤 사람이었기에 홀로 서산에서 굶주림을 지켰는가.’라는 뜻으로 ‘독수’라고 편액한 작은 누정을 짓고 죽지 못하고 은둔하며 지낸 절의의 신하이다. 『서은실기』는 서은 전신민의 시문과 관련 글, 후인들의 차운시 등을 모아 편집한 5권 1책의 문집이다. 독수정 관련 자료로는『서은실기』가 유일하며, 전신민의 지행과 충절을 보여주고 독수정을 중건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전신민은 독수정의 주인으로 이전 왕조에 대한 충절을 지키며, 국파군망의 한을 품고 자연을 벗 삼아 시문으로 한을 달랬다. 『서은실기』의 구성은 ‘두문동 72현’의 명단을 최초로 기록한 『기우집』과 유사하며, 「부조현언지록」을 싣고 있는 최초의 문집인 『철감록』과는 인물 선정에서 차이점이 있다. 『서은실기』는 ‘두문동 72현’과 뜻을 같이한 절의를 지킨 선조인 전신민을 추숭하기 위해 후손들이 노력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Jeon, SinMin, family clan is Cheonan, was nicknamed SeoEun, and was a warrior in the late Goryeo Dynasty who served as a military commander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Min and King Wu of Goryeo. Jeon, SinMin was along with Jeong, Mongju, he was worried about the state of the country while he was commander of the army. When PoEun Jeong, MongJu was murdered at Seonjuk Bridge and Goryeo fell, he abandoned his post and came down with his family to Saneum-dong, Yeoncheon-ri, Nam-myeon, Damyang-gun, Jeollanam-do and hid. Together with the Dumundong 72Hyun ’s same will, he built Doksu-jeong to mean ‘what kind of person Baek-yi and Sukje, so they died of starvation in Seosan.’ and could not die and lived in seclusion. SeoEunsilgi is a collection of five volumes, one book. It is compiled by collecting and editing poems and related articles by Jeon, SinMin, as well as the poems of his descendants. The only material related to Doksujeong is SeoEunsilgi, which shows the wisdom and loyalty of the former people, and the process of rebuilding Doksujeong can be confirmed. As the owner of Doksujeong, he kept the integrity of the military and immortality, embraced the resentment of the nationalist military network, and made friends with nature to comfort him with poetry. The composition of SeoEunsilgi is similar to Giwoojip, which first recorded the list of Dumundong 72Hyun , and the character selection is different from Cheolgamnok, the first collection of literature to contain Bujohyeoneonjirok is showing. SeoEunsilgi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the efforts of descendants to honor the ancestors, Jeon, SinMin, who kept the ceremonial spirit that shared the meaning of Dumundong 72Hyun .

      • KCI등재

        논문 : 북트레일러의 유형에 대한 연구

        김현희(주저자) ( Hyunhee Kim ),김현희(교신저자) ( Hyunhee Kim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2

        문화 산업과 다양한 정보 기술의 발달로, 영상을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이 활성화 되면서, 과거 인쇄 광고에 의지해 오던 출판 업계는 영화 트레일러와 유사한 북트레일러(Book Trailer)를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더욱 활성화 될 것이라 예상되는 북트레일러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부족하여, 체계적인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북트레일러가 발전할 기초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북트레일러에 대한 기초개념을 확립하는 동시에 북트레일러의 유형을 분류 해 보았다. 유형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형 분류에 있어 가장기본이 되는 내용적 유형과 외형적 유형을 기준으로 유형을 구분하였다. 내용적 유형은 북트레일러의 내용에 따라, 그리고 외형적 유형은 북트레일러의 이미지 조합에 따라 유형을 나누었다. 결과적으로 내용적 유형은 스토리의 구성 요소를 토대로 메시지 활용형, 갈등 활용형, 인물 활용형으로 분류 할 수 있었고, 형식적 유형은 북트레일러를 구성하는 이미지의 조합에 따라 스틸 사진 활용형, 모션 타이포그라피 형, 인터뷰형, 영화 스토리 촬영형, 애니메이션형으로 유형을 분류 할 수 있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and technology, digital video marketing has grown immensely and ``Book Trailer`` are now one of the main methods of promoting a title in publishing industry. The demands are growing, but the development lacks basic theoretical foundation and systematic structure. At this crucial moment, basic theoretical research on Book Trailer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lid foundation for the medium to expand. In this study, I have focused on defining the basic concepts of Book Trailers and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of Book Trailers. In sorting the type of Book Trailers, content and formal appearance were used as standards. As a result, I was able to classify the content genre into message type, conflict type, character type using the elements of story. The formal appearance genre was classified into still photography type, motion typography type, interview type, story movie type and animation type.

      • 국내 수은 함유 제품과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물질흐름분석

        김현희 ( Hyunhee Kim ),장용철 ( Yong-chul Ja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심포지움 Vol.2016 No.2

        수은은 온도계, 혈압계, 치과용 아말감, 전지, 형광등과 의약품 등 많이 사용되고 산업적으로도 전기 스위치, 촉매 등으로 중요하게 사용된다. 수은은 증기 흡입 시 폐렴을 유발하고 중추신경계와 신장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위험하여 수은과 수은 화합물의 사용이 금지되거나 제한을 받고 있으며, 대체물질과 대체 공정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최근 연이은 병원, 학교 등의 혈압계, 온도계의 수은 누출사고와 형광등 생산시설인 (주)남영전구 광주공장의 해체 및 철거 중 수은 누출로 인한 근로자의 수은 중독 및 환경오염 사고와 비철금속업체의 수은 폐기물 처리문제가 대두되었다. 전국 병원 2,500개소 설문조사 결과, 143개 병원에서 혈압 및 체온계의 약 4천여개(수은량 : 약 140 kg)가 회수와 폐기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미나마타 협약에서 요구되는 수은 수출·입, 공급원 파악, 임시보관 및 유통·보관, 회수, 처리 등 단계별 수은의 회수, 유통, 관리에 대한 체계 구축이 미흡하다. 수은폐기물은 미나마타협약에 의하여 ‘수은 구성 폐기물’, ‘수은 함유 폐기물’, ‘수은 오염 폐기물’로 나눠지고 본 연구에서는 ‘수은 함유 폐기물과 오염 폐기물’의 수입, 유통, 회수, 폐기 등 전과정 단계별 흐름 분석을 통하여 수은의 국내 흐름을 파악하고 관련 법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수은 관련 유통량을 조사하고 폐기물의 처리 공정을 파악하여 대상 물질, 원료 사용량, 시스템 경계 설정,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계산과 검증 등의 절차를 걸쳐 물질수지에 근거하여 ‘물질흐름도’를 작성하여 도출하였다. 물질흐름분석을 보다 쉽게 활용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물질흐름분석 소프트웨어(STAN 2.5)를 활용하여 공정 내의 데이터 유입과 유출을 Shankey diagram 형태로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 원자재 수은의 국내 유통량은 2014년 기준 국내 유입량은 약 3톤(제조량: 1 ton, 수입량: 2 ton)으로 집계되고 수입된 수은은 대부분 형광램프 제조(2.01 ton), 시약(0.76 ton), 촉매(0.12 ton) 등의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회수량은 문헌 조사 결과 수은 함유 부산물 및 폐기물 관리를 위해 도입되는 시나리오별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회수 가능량을 추정하였다. 시나리오에 따라 27.3 ton/yr, 25.4 ton/yr으로 예측하였다. 원자재 수은의 국내 재고량은 대략 0.5 ton/yr으로 보인다.

      • 국내 수은 함유 제품과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물질흐름분석

        김현희 ( Hyunhee Kim ),장용철 ( Yong-chul Ja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수은은 온도계, 혈압계, 치과용 아말감, 전지, 형광등과 의약품 등 많이 사용되고 산업적으로도 전기 스위치, 촉매 등으로 중요하게 사용된다. 수은은 증기 흡입 시 폐렴을 유발하고 중추신경계와 신장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위험하여 수은과 수은 화합물의 사용이 금지되거나 제한을 받고 있으며, 대체물질과 대체 공정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최근 연이은 병원, 학교 등의 혈압계, 온도계의 수은 누출사고와 형광등 생산시설인 (주)남영전구 광주공장의 해체 및 철거 중 수은 누출로 인한 근로자의 수은 중독 및 환경오염 사고와 비철금속업체의 수은 폐기물 처리문제가 대두되었다. 전국 병원 2,500개소 설문조사 결과, 143개 병원에서 혈압 및 체온계의 약 4천여개(수은량 : 약 140 kg)가 회수와 폐기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미나마타 협약에서 요구되는 수은 수출·입, 공급원 파악, 임시보관 및 유통·보관, 회수, 처리 등 단계별 수은의 회수, 유통, 관리에 대한 체계 구축이 미흡하다. 수은폐기물은 미나마타협약에 의하여 ‘수은 구성 폐기물’, ‘수은 함유 폐기물’, ‘수은 오염 폐기물’로 나눠지고 본 연구에서는 ‘수은 함유 폐기물과 오염 폐기물’의 수입, 유통, 회수, 폐기 등 전과정 단계별 흐름 분석을 통하여 수은의 국내 흐름을 파악하고 관련 법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수은 관련 유통량을 조사하고 폐기물의 처리 공정을 파악하여 대상 물질, 원료 사용량, 시스템 경계 설정,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계산과 검증 등의 절차를 걸쳐 물질수지에 근거하여 ‘물질흐름도’를 작성하여 도출하였다. 물질흐름분석을 보다 쉽게 활용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물질흐름분석 소프트웨어(STAN 2.5)를 활용하여 공정 내의 데이터 유입과 유출을 Shankey diagram 형태로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 원자재 수은의 국내 유통량은 2014년 기준 국내 유입량은 약 3톤(제조량: 1 ton, 수입량: 2 ton)으로 집계되고 수입된 수은은 대부분 형광램프 제조(2.01 ton), 시약(0.76 ton), 촉매(0.12 ton) 등의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회수량은 문헌 조사 결과 수은 함유 부산물 및 폐기물 관리를 위해 도입되는 시나리오 별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회수 가능량을 추정하였다. 시나리오에 따라 27.3 ton/yr, 25.4 ton/yr으로 예측하였다. 원자재 수은의 국내 재고량은 대략 0.5 ton/yr으로 보인다.

      • KCI등재

        아프리카 공동체 법정의 역사적 변화와 지역적 정의 : 코틀라(Kgotla)와 가챠챠(Gacaca)에 대한 법인류학적 고찰

        김현희 ( Kim Hyunh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3

        이 논문은 아프리카의 지역 공동체 법정인 코틀라(kgotla)와 가챠챠(gacaca)를 중심으로 이들 지역 공동체적 사법활동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본다. 코틀라 또는 가챠챠와 같은 지역적 분쟁해결제도는 지역 공동체와 함께 발전되어 왔으나 항상 공동체 성원들의 정의관념을 구현하지만은 않는다. 코틀라와 가챠챠는 식민지 시대에는 식민정부의 간접통치에 이용되었으며, 독립 후에는 국가의 정치적 목적에 의해 동원의 대상이 되거나 배제되었다. 역사적으로 코틀라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보츠와나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코틀라는 진실화해위원회에 대조적으로 보복과 처벌을 중시하는 지역적 정의를 실현하는 장치였으며, 이에 비해 보츠와나에서 코틀라는 이원적 법체계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국가 사법제도에 편입되어 국가법질서유지에 기여한다. 가챠챠는 르완다의 전통적, 문화적 모델로서 동원되어 제노사이드 사건의 진실 규명, 가해자 처벌, 사회통합을 위한 국가적 수단으로 재정의되었다. 아프리카 공동체 법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지역적 정의는 국가와 지역 공동체, 공식적 제도와 비공식적 제도, 국가법과 관습법 등의 경계가 정의되고 타협되는 과정을 반영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local justice in African societies, focusing on community courts like kgotla and gacaca. Local dispute resolution mechanisms such as kgotla and gacaca originate in local communities, but they do not always realize the sense of justice shared by local residents. Both kgotla and gacaca were utilized for indirect rule by colonial governments, and since independence they have been mobilized or excluded by the states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purposes. One easily finds different paths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kgotla in South Africa and Botswana. In South Africa, kgolta is characterized as the mechanism for local justice in the pursuit of restitution and punishment, diverging from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supported by the South African government. In contrast, Botswana constitutionalizes a dual legal system which incorporates kgotla as the lowest court in the state justice system. In Rwanda, a traditional cultural model of gacaca has been redefined as the national court to pursue the truth of the 1994 genocide and to punish the criminals of the genocide. Diverse forms of local justice in community courts reveal the dynamic process of defining and negotiat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state and the local community, formal and informal institutions, and the state and customary laws.

      • KCI등재
      • KCI등재

        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Audio-VisualDiscourse Tasks (KOPLAC)

        Hyunhee Kim(김현희),Young Tae Kim(김영태),Jung A Kim(김정아),Seungha Song(송승하)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do so, this study examined general pragmatic competence and its sub-domains of pragmatic language. Methods: Thirty-six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2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group), 12 age-matched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CA-TD), and 12 vocabulary age-matched children (LA-TD). The Korean Meta-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 (KOPLAC) was used for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It consists of three sub-domains: communication regulation, discourse and story information inferences, and meta-linguistic awareness. Results: CA-T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s than ID and LA-TD in communication regulations (conversation partner and communication context regulation) and the irony/metaphor task.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D and LA-TD.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on indirect expression tasks and reference language among the three groups. I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CA-TD and LA-TD in the storytelling task. However,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A-TD and LA-TD in the storytelling task. Conclusion: The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pragmatic competence and the sub-domains of pragmatic language. These results imply that school-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weaker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ay need more support to improve their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may need to be considered when assessing and intervening with school-aged ID children.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화용언어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대화 및 이야기 화면으로 제시되는 시청각적 담화과제를 포함한 한국아동 메타-화용언어검사(KOPLAC)를 실시하여 총 정반응률과 하위영역에 따른 세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경도 지적장애, 언어연령일치 일반, 생활연령일치 일반 총 3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아동 메타-화용언어검사(KOPLAC)를 통해 의사소통 조율 과제, 담화 및 이야기정보 추론 과제, 상위언어인식 과제를 실시하였다. 세 연령 집단이 화용언어평가의 하위과제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을 이용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세부영역 및 집단을 살펴보았다. 결과: 세 집단 간 화용언어 평가 총 정반응률 및 세부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적장애 아동이 가장 낮은 수행력을 보였는데, 이는 생활연령이 같은 일반아동 집단뿐만 아니라 언어연령이 같은 일반아동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경도지적장애 아동은 화용언어 발달에 지연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화용언어의 발달은 또래상호작용, 성인기 이후의 사회적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하고 중재를 계획할 때 화용언어능력과 발달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불법과 합법 사이의 경계에서: 미국 이민법제의 변동과 한인 미등록 청년의 삶

        김현희(Kim, Hyunhee)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25 No.1

        이 논문은 불법체류자를 사면 또는 합법화하는 이민법제의 변동과 미등록 이주자들이 미국 시민권을 추구하면서 겪는 내적 갈등을 연관시켜 살펴본다. 미등록 이주자들은 때때로 시도되는 사면 또는 합법화 법안에 큰 기대를 걸고 이민법 변화에 민감하며 그들의 삶에 대한 이해는 이민법안이 제시되고 운용되는 정치사회적 상황 속에서 구성된다. 이 논문은 미등록 이주자들의 미국 시민권에 대한 열망 및 기회가 상황에 따라 불법과 합법 사이의 경계를 결정하는 이민법제의 역동성 및 정치적 분위기에 따라 조성되고 강화된다는 점을 주목한다. 미등록 이주자에 대한 사면법안과 추방유예 행정명령(DACA)은 특정 시점에서 이들을 불법에서 합법으로 전환하여 새로운 삶의 기회들을 열어준다. 그러나 사면의 기회를 붙잡지 못한 사람들에게도 실패의 흔적을 남김으로써 합법적 신분과 시민권에 대한 기대와 바람을 부채질한다. 근래에 있었던 드림법안 운동이나 추방유예명령과 같은 이민법제 변화는 미등록 이민자의 불법성 영역의 재정의 및 이민자와 시민권 관계에 대한 재조정을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는 2000년대 이후 이민법제와 정책의 역동성이 한인 미등록 이주자들의 삶의 이해 및 행보의 틀을 구성한 측면을 조명한다. 한인 미등록 이주자의 사례로서 한인 청년활동가들의 이야기를 살펴보고 이들의 삶이 위치한 공간과 이민법에 의해 규정되는 삶의 명암을 제시한다. 이들은 미국에 있을 권리를 주장하게 되면서 오히려 패권적 미국 시민권의 의미를 확인시켜 주기도 하며 미등록 이주자에게 발생하는 미국 시민권의 특별함을 역설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fact that undocumented immigrants prove and elevate the values of U.S. citizenship. Their aspirations towards US citizenship or opportunities to acquire it are affected by the dynamic of immigration laws and political climates which define the boundary between the legal and the illegal. The amnesty program for undocumented immigrants or DACA(Deferred Action for Childhood Arrivals) opens up the paths to new opportunities for many recipients at certain points of their lives by relocating them from the illegal domain to the legal. However, immigration law changes affect non-recipients as well by leaving traces of a failure in their lives and by furthering their expectations and aspiration for legal status. The recent debates on the DREAM Act and DACA program result in the redefinition of illegality and legality, and the readjustment of the relations between immigrants and citizenship. The article focuses on Korean undocumented youths who struggle to acquire legal status while they assert their rights to stay in the United States, and analyzes the connection between their lived experiences of illegality and legality and fluctuating immigration laws and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