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에서 이중 접근성과 확장된 현재 시점

        김현아 ( Hyuna B. Kim ) 한말연구학회 2012 한말연구 Vol.- No.31

        본고는 영어의 내포문 시제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이중시점 접근성이 한국어나 일본어에서도 발견되는가의 문제를 다루었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본 현상에 복잡하게 얽힌 요소들을 제거하여 혼란을 없애고 논의의 기반을 닦아, 본고에서는 한국어에 나타나는 이중시점접근 효과가 의미론적 현상이 아닌 화용론적 현상임을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일본어에서 나타나는 이중시점 접근 효과를 시제 이동이라는 통사론적 관점에서 다룬 Ogihara(1996)의 설명의 한계를 보이고, 강화(strengthening)와 확장된 현재시점(extended now)의 개념을 활용하여 이중시점 접근 효과를 설명하는 것이 더 이점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ccount for double accessibility effects found in Korean. Clearing out the interfering factors entangled in the phenomenon, it claims that Korean does not have a double access reading in a semantic sense, unlike English, but double accessibility effects arise as a result of pragmatic repair which is employed in order to interpret a focused indexical element causing a conflict in the interpretation process. The advantages of the pragmatic analysis defended in this paper over the movement based analyses out in the literature will be shown in detai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