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래 연구 담론의 편향에 관한 시론적 연구

        김헌식(Hern Sik Kim) 미래학회 2021 미래연구 Vol.6 No.1

        본 고에서는 그동안 잘 다뤄지지 않았던 미래 연구의 편향에 대해 다룬다. 편향은 대개 대상과 상황을 인지하고 판단 결정하는 과정에서 일어난다. 이런의사결정과정만이 아니라 나아가 연구대상과 연구자 사이에서도 일어난다. 또한, 판단 선택 과정이 불확실한 상황이거나 이에 대한 연구에서도 빈번하다. 불확실한 상황을 연구하는 미래학에서도 편향은 자유로울 수 없다. 행태 심리학에서 따르면 인지적 편향은 의식적으로 일어나기보다는 무의식적으로 발생한다. 하지만 경험과 학습 여기에 목적성이 가해지는 편향은 강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미래학 연구에서도 이런 현상은 일정하게 같은 양상을 보인다. 특히 미래연구는 어떤 주체들의 목적에 따라 유도되어온 면이 크기 때문에 편향의 발생은 물론 묵과가 배태할 수 있다. 많은 인지적 편향 개념이 있고 계속 새로운 개념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편향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행태에 적용할 수 있는 편향 개념을 살피고 함의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biases of future research that have not been well dealt with. Bias usually occurs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making decisions about objects and situations. This decision-making process takes place not only between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researcher. In addition, the decision-selection process is uncertain or is frequent in research on it. Even in futurology that studies uncertain situations, bias cannot be free. According to behavioral psychology, cognitive biases occur unconsciously rather than consciously. However, the bias that puts purposefulness on experience and learning can be reinforced. Likewise, in futurology research, these phenomena consistently show the same pattern. In particular, since future research has a large aspect that has been guid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ertain subjects, the occurrence of bias as well as contemplation may be impregnated. There are many cognitive bias concepts and new ones are constantly being studied.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bia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esearch behavior is examined based on the existing bias research and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 KCI등재

        다크 투어리즘의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적용 방안 연구

        김헌식(Hern-sik Kim),양정호(Jeong-ho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9

        Tour is cultural method that makes educational effects smoothly, metaphorically. In a context, dark tour have a function that sustains memorial of accidents and with social meaning, ethic valu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ractical solutions of Sewol-Ho memorial on focusing Dark Tourism. This paper considers fascination with this subject and examines explored for good decision. It means that we examines a construction of tour contents within the dark tourism. This article evaluates an dark tourism in a contents program various country, for considering in a case at a Sewol-Ho accident. As a result, we comment some variety choice of strategy effectiveness for a sustainability of ethic value and education memorial. 세월호 참사 이후 희생의 가치와 의미를 오랜 동안 되새기려는 여러 방안들이 제기되었다. 이 가운데 문화 콘텐츠 관점에서도 세월호 참사의 가치를 기리고자 본 논문에서는 다크 투어리즘을 통해 교훈과 깨달음의 관광 여행 관점에서 세월호 참사를 다루었다. 여기에서는 다크 투어리즘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투어콘텐츠 공급과 그 투어 행태들은 유형에 기초하여 세계의 여러 사례를 비교하며 세월호 참사를 다크 투어리즘의 관점에서 교육과 정책 학습을 체계화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현재 논의 중인 방안들을 비교 검토하고 다크 투어리즘을 전제하고 각 각 세월호 참사 관련 콘텐츠들의 유기적 시스템화를 탐색했다.

      • 미래세대를 위한 문화적 정책(cultural policy)과 기획의 연구

        김헌식(Kim Hern sik) 미래학회 2019 미래연구 Vol.4 No.1

        사회는 주축 구성원이 그 활동을 통해 유지 발전시켜나간다. 그렇게 때문에 미래연구의 관점에서 현재가 아닌 미래 사회 주축 구성원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지만 소홀하게 다뤄진 면이 있다. 사회는 자연발생적으로 형성 진화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이뤄진다. 미래를 만들어가는 것은 미래 세대에 기성 시대가 의도와 목적을 가지고 생성해 나가는 것이다. 그 수단이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이 백년지대계라는 말은 미래 기획의 본질을 말하며 교육이 새로운 사회 주축 구성원을 역설하는 미래지향적 방법의 영역임을 말한다. 그러나 과거와 같은 교육 관점이나 세계관으로는 현실과 다른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변화속에 있다. 단선적 이고 일방향적인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과 시행은 한계에 이르렀다. 기성세대의 기획은 미래에 이미 과거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더욱 농후해졌으며, 주체들의 다양한 의도와 목적 그리고 이상, 지향점을 반영해야하는 상황이다. 이는 문화적 기획과도 부합한다. 그들은 단지 훈육의 대상이 아니며, 폭넓게 이미 스스로 문화를 만들어 진화하고 있다. 이런 시대에 맞는 정책적 기획이 필요해졌다. 이른바 문화적 정책 기회의 수립과 실천이다. 이 논문은 미래 사회 구성원을 문화적 기획 관점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과 방법론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혼선이 빚어지는 문화 개념을 분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적 기획의 개념을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점이 미래 교육은 물론 공공적 정책 기획에서 미래 세대와 어떤 관계성을 가지며, 미래세대를 주체화하기 위한 연구 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The planning of the old generation has become more enabled in the possibility of being a past in the future,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various intentions, purposes, ideals, and points of the subjects with new generation. This is in line with cultural planning of new generation. They are not merely disciplined, but are already evolving to create a culture of their own. In this age, policy planning was needed. Establishing and practicing so-called cultural policy opportunities This paper explores the necessity and methodology for approaching the members of the future society from a cultural planning point of view. To this end, the concept of culture in which confusion arises is classified and organized, and the concept of cultural planning is presented based on thi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research methodology that is related to the future generations in the future as well as the public policy plan, and the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스마트 시대의 <스토리텔링 콘서트>의 한국적 의미 탐색을 위한 서설

        기덕(Kim, Ki Duk),김헌식(Kim, Hern Sik)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1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

        스토리텔링 콘서트의 직접적 공간성과 상호작용성은 간접적 미디어 매개의 영역과 분리되어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들은 적대적 관계가 아니라 상호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야할 상호보완적 관계이다. 이점은 스마트환경이 되면서 더욱 도드라지고 있다. 민주성, 소통성, 치유성, 교육과 문화계발효과가 큰 스토리텔링 콘서트의 특성은 한국의 대중문화 관점에서 방송콘텐츠에 다수 산재되어 연속적으로 지속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디지털환경에 맞게 진화되어 왔다. 이런 맥락에서 방송제작 현장은 스토리텔링 콘서트 현장이며, 그것은 미디어 매개와 전파 확산을 염두하고 제작되며 그 긍정적 결과로 더욱 현장은 강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와 현재에 걸친 방송 토크쇼의 진화적 궤적을 통해 스마트환경에 맞춰 스토리텔링 콘서트의 방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한국의 방송 토크쇼를 각 사례들을 분석한다. 각 방송프로의 특징과 장점을 스토리텔링 콘서트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함의를 추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casting media system contents and storytelling concert creativity by analyzing talk show programs in the korea. This paper draws attention to the fact that in the broadcasting programs talk show contents examination as storytelling concert view. This conception differs fundamentally from storytelling concert view of direct speech, listening to. This paper urges the restoration of the storytelling concert to reinforce media contents in more sophisticated ways. In this paper, we give a description of the a practical alternative of solutions to an create opportunities of storytelling concert on smart spaces for adapt to the environmental change in the beginning stages. Further study is needed to elaborate precisely the mechanisms by which the talk contents of storytelling concert view is expanded, and its role in media dynamics.

      • KCI등재

        문화 예술인 산재적용확대의 보완에 관한 연구

        심희철(Hee-Chul Shim),양정호(Jeong-Ho Yang),김헌식(Hern-Si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 근로자가 아닌 예술인에게 부여된 산재보험 확대적용의 의미와 그 개선방안에 대한 탐색이다. 연구 목적 상 두 가지 사례를 분석한다. 첫 번째 사례는 방송 보조출연자가 보조출연 60년 역사상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소송 없이 바로 산재보상 승인결정을 받았고, 반면에 뮤지컬 무대 지원기술자는 근로자라기보다는 개인사업자라는 이유로 산재보상 불승인결정을 받았다. 이 두 사례를 통하여 예술인에 대한 산재보험 확대적용은 양날의 검과 같은 측면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보조출연자는 향후 산재보상적용이 보다 쉬워졌다는 점이다. 둘째, 뮤지컬 무대 지원기술자의 사례처럼, 보조출연자의 고용형태와 비슷하지만 근로자성 검토 보다는 산재보험 예술인 가입신청을 하지 않은 이유로 산재보상 적용이 어렵게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결국, 제도가 산재보상의 문호를 폐쇄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된다. 단역보조출연자부터 인지도 높은 연예인까지 예술인은 그 개념과 고용형태가 일반근로자와 비교하면 매우 다양하다. 이는 그 만큼 예술인이라는 폭넓은 범주 안에 넣어 개별 구체적으로 검토하지 않음은 산재보상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음을 함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meaning of extended application of workers’ compensation for artists. This study explains by giving specific two examples. The first case is about broadcasting extra who is permitted to receive compensation from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without filing a suit. Whereas, The second case is about musical stage crew who is not permitted to obtain compensation for accident during work. The reason why he could not receive compensation is not because he is regarded as worker, but because he is regarded as individual businessman. Extended application of workers’ compensation for artists could be a double-edged sword for workers through two cases. Firstly, Broadcasting extras could become much easier to receive workers’ compensation according to precedent. Secondly, It is more difficult to get the workers’ compensation by the reason of not applying for workers’ compensation admission like the second case, even though the second case of forms of employment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In other words, New compensation development could generate another obstacles to enter compensation systems. Extended application of workers’ compensation should be operated with covering artists’ compensation case by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