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데이터의 의미적 연계를 위한 행정구역 지식 그래프 구축

        김학래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2

        Open data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around the world.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making efforts to open government data. However, despite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public data, the lack of data is still pointed out.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improve data sharing and utilization by semantically linking public data. First, we propose a knowledge model for expressing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ir semantic relationships in Korea. An administrative district is an administrative unit that divides the territory of a nation, which is a unit of politic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ate administration. The knowledge model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defines the structur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syst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units based on the Local Autonomy Act. Second, a knowledge graph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is introduced. As a reference information to link public open data at a semantic level, some characteristics of a knowledge graph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methods for linking heterogeneous public open data and improving data quality are addressed. Finally, some use cases are addressed for interlinking between the knowledge graph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public open data. In particular, national administrative organisations are interlinked with the knowledge graph, and it demonstrates how the knowledge graph can be utilised for improving data identification and data quality. 오픈 데이터는 전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데이터 개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공공 데이터의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에 대한 부족함이 여전히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은 공공 데이터를 의미적으로 연결해 데이터 공유 및 활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대한민국 행정구역의 정의와 행정구역 사이의 관계를 의미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지식 모델을 제안한다. 행정구역은 국가의 영역을 국가 행정상의 목적에 따라 구분한 단위이다. 행정구역 지식모델은 지방자치법을 기준으로 행정구역체계의 구조, 행정단위별 관계를 정의한다. 둘째, 대한민국 행정구역 데이터에 대한 지식그래프를 소개한다. 공공 데이터를 의미적 수준에서 연결시키는 기준정보로써 행정구역 지식그래프의 특징과 이기종 공공데이터 연계 및 데이터 품질 개선을 위한 방법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행정기관 데이터의 연계 결과를 통해 행정구역 지식그래프의 응용 방법을 살펴본다. 행정기관 명칭은 기관별로 상이하게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행정구역 그래프를 통한 데이터 식별 및 정제와 더불어 데이터 품질 개선에 효과적인 접근 방안으로 고려할 수 있다.

      • KCI등재

        해군 병사들의 직무소진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직무열의와 스마트폰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학래,설정훈,이기학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6 No.4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South Korean soldiers in the Navy force by applying the Job Demands-Resource Model and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through the work engagement and smartphone us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via smartphone use were examined in the relation between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 combine the mediation effect model and the moderation effect model and test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To perform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navy soldier on duty, and total of 324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work engagement in the relation of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verified, social capital via smartphone use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job burnout and work engagement,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capital via smartphone use in the relation between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work engagement was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물리치료학과 재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 및 전공만족도, 진로스트레스의 관계

        김학래,심재훈,신아름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 2022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지 Vol.12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identify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on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career stress, 2)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tress, and 3) to confirm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tress in physical therapy department student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40 questions, answering general characteristics,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tr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cheffe's post hoc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s a result of the study,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ade point average and the entrance process of college.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tress.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tr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arious waysrequires to increase students'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and satisfaction in their major in various ways. And it is possible to be better physical therapists who develop higher major knowledge, so that they will be able to provide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to patients.

      • KCI등재

        기록관리 분야에서 한국어 자연어 처리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김학래 한국기록관리학회 2022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2 No.4

        Records have tempo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past and present; linguistic characteristics not limited to a specific language; and various types categorized in a complex way. Processing records such as text, video, and audio in the life cycle of records’ creati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entails exhaustive effort and cost. Primary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technologies, such as machine translation, document summarization, named-entity recognition, and image recogni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electronic records and analog digitization. In particular, Korean deep learning–based NLP technologies effectively recognize various record types and generate record management metadata.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Korean NLP technologies and discusses considerations for applying NLP technology in records management. The process of using NLP technologies, such as machine translation an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for digital conversion of records, is introduced as an example implemented in the Python environment. In contrast, a plan to improve environmental factors and record digitization guidelines for applying NLP technology in the records management field is proposed for utilizing NLP technology. 기록물은 과거와 현재를 포함하는 시간적 특성, 특정 언어에 제한되지 않는 언어적 특성, 기록물이 갖고 있는 다양한 유형을 복합적으로 갖고 있다. 기록물의 생성, 보존, 활용에 이르는 생애주기에서 텍스트, 영상, 음성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처리는 많은 노력과 비용을 수반한다. 기계번역, 문서요약, 개체명 인식, 이미지 인식 등 자연어 처리 분야의 주요 기술은 전자기록과 아날로그 형태의 디지털화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딥러닝 기술이 적용된 한국어 자연어 처리 분야는 다양한 형식의 기록물을 인식하고, 기록관리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논문은 한국어 자연어 처리를 기술을 소개하고, 기록 관리 분야에서 자연어 처리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논의한다. 기계번역, 광학문자인식과 같은 자연어 처리 기술이 기록물의 디지털 변환에 적용되는 과정은 파이썬 환경에서 구현한 사례로 소개한다. 한편, 자연어 처리 기술의 활용을 위해 기록관리 분야에서 자연어 처리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환경적 요소와 기록물의 디지털화 지침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 녹색건축인증제(G-SEED) 평가기준과 전통한옥의 친환경 요소의 비교연구

        김학래 한국농촌건축학회 2018 한국농촌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18 No.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age of eco-friendly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o compare with G-SEED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sulation of Korean roof, and Heat storage of traditional mud wall are not satisfied with Evaluation items in energy category. And eco-friendly materials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re satisfied with Evaluation items in Material category. Garden and pond and rainfall infiltration through yard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re satisfied with Evaluation items in ecological environment category. But the eco-friendly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such as windows and doors made by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and Ondol, Korean floor heating system, indirect lighting by korean yard can not be estimated by G-SEED Criteria.

      • [발표논문] 시맨틱 웹/온톨로지 기술을 이용한 개인용 문서 관리 시스템

        김학래,김홍기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4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전자 문서의 관리와 검색을 위해 개발한 ONTALK 시스템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br/> ONTALK 은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시맨틱웹 (Semantic Web) 과 온톨로지 (Ontology) 기술을 문서 관리 영역에 적용하고 있다. ONTALK 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자 문서를 온톨로지로 생성하고, 추론 엔진 (inference engine) 을 이용하여 의미적 (semantics) 정보 검색을 지원한다.

      • KCI등재

        “코로나-19:우리의 기억”: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과 사회변화에 대한 디지털 아카이브

        김학래 한국기록관리학회 2020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0 No.4

        In light of SARS-CoV-2’s significant impact, human society has experienced rapid changes in lifestyle that it has not yet experienced before. One way this virus has influenced people’s lives is the emergence of the zero-contact society, an initiative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s can be seen, the social impact of COVID-19 is widespread. Various issues, such as those about government policy,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health care, are affecting society as a whole. At the same time, factual information is difficult to track and record because of the rapid and transient nature of related events and issues. As such, a method of effectively describing COVID-19 and real-time information is necessary. The “COVID-19: Our Memory” project is an attempt to record the sociocultural impact of the coronavirus infection. This project collects major events and issues classified into several subjects, records those events from a neutral point of view, and develops a digital archive so that all records are accessible. All the data collected and built through the project,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source code and visualization, are all published to bring about new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은 인류사회가 경험하지 못한 커다란 충격과 생활양식의 급속한 변화를 만들고 있다. 비대면 사회는 감염병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과정에서 보편화된 사례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은 광범위하다. 정부의 정책, 개인정보보호, 정보기술 등 다양한 이슈가 사회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동시에 관련 사건과 이슈가 신속하고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사실 정보를 추적하고 기록하는 것이 어렵다. 코로나-19와 실시간성 정보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 “코로나-19:우리의 기억” 프로젝트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을 가치중립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시도이다. 주요 사건과 이슈를 분야별로 수집하고, 중립적인 관점으로 핵심이벤트를 기록하며, 모든 기록을 탐색할 수 있도록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한다. 프로젝트를 통해 수집, 구축한 모든 데이터, 소스코드, 시각화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모두 공개하여 새로운 협업을 이끌어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