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출력 2.85 GHz TE<SUB>10</SUB>-TEM 모드 변환기 시뮬레이션 및 분석

        김동우(Dong-Woo Kim),김택헌(Taek-Heon Kim),오순수(Soon-Soo Oh) 한국전자파학회 2019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0 No.7

        고출력마이크로웨이브(HPM)는 넓은 영역에서 응용되어지고 있지만, 높은 출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별한 요구규격을 만족해야한다. 특히 고출력 시스템을 설계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 중 하나는 절연파괴 현상이다. 본 논문은 고출력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드변환기를 여러 구조에서 분석하였고, 진공 장치가 필요하지 않는 구조를 설계하였다. 최종 제안된 모델은 구형도파관에서 TE10 모드로 고전력을 인가하여 TEM 모드로 출력되는 TE10-TE11-TEM 모드변환기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모드변환기의 반사계수, S11은 −20 dB 이하를 만족하고, 절연파괴 현상이 발생되는 최대 임계 전압을 초과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 분석된 모드변환기 구조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고출력마이크 웨이브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High-power microwaves are used in several applications, but require special systems because of their high power. When designing such systems, the phenomenon of breakdown i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is study, the structures of two mode converters used in high-power systems are analyzed, and a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vacuum equipment is designed. The designed structure is a TE10-TEM mode converter that outputs TEM from the incident TE10 with high power. The reflection coefficient, S11, of the proposed model is satisfied below −20 dB and does not exceed the maximum threshold voltage. The proposed mode converter can be applied to high-power microwave systems in various industries.

      • KCI등재

        학교자율과정 적용 양상에 따른 교육과정 정책 방향 논의 : 경기도교육청을 중심으로

        임재일 ( Lim Jae-ill ),박은영 ( Park Eun-young ),박주훈 ( Park Joo-hoon ),김택헌 ( Kim Taek-h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에서 고시한 2021 경기도교육과정의 학교자율과정 정책이 지난 1년 동안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그 양상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교육과정의 위상을 갖는 2021 경기도교육과정 관련 정책 문헌을 분석하고, 학교자율과정의 네 가지 특성을 도출하여 존엄주의, 민주적 학교자치, 공동체성, 행위주체성 등으로 구성된 분석 틀에 기초하여 내용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자율과정의 구현원리는 공동체성>존엄주의>행위주체성>민주적 학교자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장면에서는 첫째, ‘학생의 삶을 반영하는 철학’과 ‘지속가능한 학생의 배움과 성장의 교육과정’이 존엄주의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둘째, ‘교사들 간의 학습조직’이 공동체성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셋째, 행위주체성 관련 교육장면은 고루 유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민주적 학교자치 관련 교육장면은 전반적으로 실현 정도가 현저히 낮은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자율과정 정책은 절반의 성공과 절반의 도전 과제라는 측면에서 첫째, 민주적으로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는 ‘교육과정 자치’에 대한 정책연구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둘째, 학교자율과정에서 나타난 ‘행위주체성(agency)’의 개념을 공고히해야 하며, 셋째, 교사 중심의 공동체성을 넘어 모든 교육주체가 함께 행위주체성을 발휘하는 ‘교육과정 거버넌스’에 초점을 두고 학교자율과정의 공동체성(co-agency)은 ‘모두의 교육과정 개발’이 펼쳐져야 한다는 후속 연구를 주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how the school autonomy course policy was applied over the past year in the 2021 Gyeonggi-do curriculum announced by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and discussed future curriculum policy direc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2021 Gyeonggi-do curriculum policy literature with the status of the reg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and and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with an analysis framework consisting of Dignocracy, Democratic school autonomy, Co-agency, and Agen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inciples of implementing the School autonomy course appeared in the order of Co-agency > Dignocracy > Agency > Democratic school autonomy. In the educational scene, first, “philosophy reflecting student life” and “sustainable student learning and growth curriculum” were high in the area of Dignocracy. Second, “learning organizations among teachers” were high in the area of “Co-agency.” Third, the educational scenes related to “Agency” were evenly similar. Finally, the overall degree of realization of the educational scene related to “Democratic school autonomy” was significantly low. Based on the results, in terms of the fact that School autonomy course policy is half a success and half a challenge, first, it raised the need for policy research on ‘Curriculum autonomy’, which democratically participates in curriculum develop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solidify the concept of ‘Agency’ that appeared in the School autonomy course. And third, it is to focus on ‘Curriculum governance’ in which all educational subjects exercise agency together, beyond teacher-centered community, to create a community of autonomous school processes. The co-agency ordered a follow-up study in which ‘everyone’s curriculum development’ unfol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