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급성장염으로 인한 탈수 환아에서 혈청 요산의 염상적 유용성

        송준호,장명완,유황재,김철흥,Song, Jun Ho,Jang, Myung Wan,Yoo, Hwang Jae,Kim, Cheol Ho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6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9 No.1

        목 적: 급성 장염은 소아의 유병률과 사망률의 중요한 원인이기 때문에, 탈수 정도를 정확하게 평가하여 교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탈수평가에서 임상적 척도들과 검사실 지표들의 효용성이 비교 연구되어 왔고, 검사실 지표들의 효용성이 비교 연구되어 왔고, 검사실 지표들 중 BUN, creatinine, 중탄산엽, 혈당, 요비중 등이 쉽게 검체를 얻을 수 있고 신속하게 결과를 알 수 있어 많이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검사실 지표들과 함께 요산을 체중 변화에 의한 탈수의 정도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6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관동대학교 명지병원에 장염으로 인한 탈수증세로 입원한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액치료를 하기 전에 각각의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였고, 퇴원 전에 다시 체중을 측정하여, ([최종 체중-초기 체중/최종체중]${\times}100$)으로 환아의 체중 감소량을 측정하여 각각 경증, 중등도, 중증 탈수군으로 분류하여, BUN, creatinine, 혈청 중탄산염, 혈당, 혈청 요산, 요비중과 비교하였다. 결 과: 경증 탈수군은 54명으로 전체의 60%, 중등도 탈수군은 24명으로 전체의 26%, 중증 탈수군 12명으로 전체의 14%에 해당하여 경증 탈수군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BUN, creatinine, 혈청 중탄산염, 혈당, 요비중은 탈수 정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요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혈청 요산 7 mg/dL을 기준으로 중등도 이상의 탈수 예측치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조사한 결과 민감도는 66.6%, 특이도는 87.1%, 양성 예측도는 77.4%, 음성 예측도는 79.6%이었다. 결 론: 본 연구에 혈청 요산이 탈수 정도와 연관이 있었다. 따라서 임상적 지표와 함께 혈청 요산을 탈수 판단의 지표로 사용했을 경우 소아장염 환아에서 조기에 탈수 정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에 대해서는 좀 더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estimation of fluid deficit is crucial to the proper management of dehydrated children. Without well-documented serial weights on the same scale, the estimation of any given child's fluid deficit is imprecise and dependent largely on subjective clinical criteria. Despite the abundance of literature on clinical and laboratory evaluation of dehydration, few studies have focused on serum uric acid. So, we examined the usefulness of scrum uric acid in gastroenteritis patients with dehydration. Methods: Medical records of 90 gastroenteritis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y the body weight loss, we classified patients with mild, moderate, and severe dehydration groups. We studied the relevance of laboratory data (BUN, creatinine, serum bicarbonate, glucose, urine specific gravity, and uric acid) with dehydration. Results: 54 children (60%) were dehydrated mildly, 24 (26%) dehydrated and moderately, and 12 (14%) dehydrated sever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N, creatinine, serum bicarbonate, glucose, and urine specific gravity could not be observed. But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uric acid and the degree of dehydration. Data analysis suggested that the level of 7.0 mg/dL is the best cut-off value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moderate or severe dehydration. At this cut-off valu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66.6% and 87.1%. Conclusion: Our study supports that the measurement of serum uric acid with traditional scale is useful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dehydration. But, in order 10 be used as the indicator for proper treatment at an earlier stage, further validation about serum uric acid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