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당빌의 「조선왕국전도」와 확대 재생산된 조선전도들의 의미

        김차규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6 No.4

        This article focus on d’Anville’s map and many of maps reproduc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ncluding his map used by other cartographers. Maps produced in 17th century shows Korea as an island or a simple form peninsula. They showed the appearance distorted of Korea to europeans in the same time. D’Anville’s map of Korea is a landmark in the mapping of Korea and the first map to provide a reasonable accurate mapping of the Peninsula. This was the most accurate map of the Korean kingdom to date, not superadded for almost two hundred years. The map shows Dokdo Islets have been “Part of Korean territory” and border line of Korea perched further north than border line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present. The d’Anville map is a signal achievement in the mapping of Korea that combines the work of Jesuit cartographers and Chinese surveyors, no doubt using Korean maps as guides, published in Paris and disseminated widely through Europe in many subsequent editions and copies. For the first time, Western audiences had a fairly accurate map of Korea. The map remained the most important and influential mapping of Korea for the next century or more.

      • KCI우수등재

        La Loi Imperiale et la Deviance Papale : Recherche sur les Relations entre la Cour Imperiale byzantine et la Papaute Romaine ( IVe - XIe si ecles )

        김차규 한국서양사학회 1996 西洋史論 Vol.48 No.1

        본 논문은 1054년에 있었던 미카엘 케룰라리오스 논쟁이 왜 로마 카톨릭과 그리스 정교회를 탄생시켰는지에 관해 그 원인을 4세기에서 11세기에 걸친 동로마 제국정과 로마 교황청간의 관계사 속에서 고찰하였다. 1장은 동로마 제국의 정치원리와 로마 교황청의 사도원리를 비교함으로써 양자간 관념론의 차이점을 부각시키는데 주력하였는데 먼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와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개혁에 따른 동로마 제국의 정치원리와 전통적인 황제관, 동로마제국의 세계보편 관념론, 만국종교회의에 나타난 콘스탄티노플의 위상 등을 고찰하였고 다음으로 로마 교황청이 주장하는 마태복음 16장 18절-19절에 따른 로마 교회의 수위권 문제와 일리리쿰 교회의 관할 문제를 양측의 입장에서 다루었다. 2장은 교황 선출에 관한 동로마 황제의 개입과 승인 문제를 로마인들과 동로마인들이 로마를 지배하던 시대와 게르만 민족들 즉 고트족과 롬바르느족들이 로마를 지배하던 시대로 나누어서 다루었는데, 이 장에서는 특히 동로마 황제의 개입과 승인이 1장에서 다루었던 전통적인 황제관인 케사르 주의의 토대 위에서 시행되고 있음과 이에 대한 반발로 황제의 개입을 배제시키려고 하는 교황들의 노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3장은 동로마 제국의 입법권과 종교회의의 입법권 그리고 교황의 입법권간의 수위권 문제를 중심으로 이들을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밝힘과 아울러 동로마 제국의 사법권과 교회의 사법권을 비교 분석하였다. 4장은 1차에서 6차에 걸친 만국종교회의의 소집령과 개최장소(콘스탄티노플과 콘스탄티노플 근처 도시에서 개최), 주관문제(황제와 황제가 파견한 고위층이 주관) 및 교회 법규를 규정하는 문제에 나타났던 황제권과 교황권간의 논쟁을 다루었다. 5장은 교회의 통합을 중심으로 일어났던 이단(도나투스파, 아리우스파, 마니파, 펠라기우스파, 단성론주의 등)과 이교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황제권과 교황권의 대처 방법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6장은 동로마 제국에 있어 레오 3세 황제의 등극으로 시작된 717년에서 842년에 걸친 성상파괴주의 시대와 8세기에서 10세기에 걸친 헬라적 애국주의 시대에 있었던 동로마 제국과 라틴권간의 적대관계를 다루었다. 성상파괴주의를 보는 양자의 입장차이는 무엇이며. 성상파괴주의는 단순히 종교에 기인하는가? 혹은 정치적 경제적 문제에 기인하는가? 왜 라틴권에서는 동로마 제국민들을 그리스인들이라고 불렀는가? 샤를르마뉴의 등극은 무엇을 뜻하는가? 7장은 포터오스 논쟁을 이그나티오스 문제, 불가리아 선교 문제, 성령발현 문제 등을 중심으로 포티오스와 니콜라스 교황간의 양자의 입장과 동로마 황제의 입장에서 주로 다루고 있다. 포티오스의 목적은 무엇이었는가? 바실레이오스 황제가 교황과 타협한 진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8장은 미카엘 케룰라리오스 논쟁을 무교병 문제, 안식일 문제, 할렐루야 찬양 문제, 성직자 결혼 문제 등을 중심으로 일어났던 로마 교회와 콘스탄티노플 교회간의 갈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케룰라리오스의 최종목적은 무엇이었는가? 레오 9세 황제와 홈베르트 추기경의 행동은 무엇을 뜻하는가? 콘스탄티노스 9세 황제의 뜻은 무엇이었는가?

      • KCI등재
      • 콘스탄티노플 창건의 의미

        金次奎 明知史學會 2004 明知史論 Vol.14.15 No.

        콘스탄티누스에 대해 연구한 많은 학자들은 그들의 논문이나 저서에서 콘스탄티노플의 창건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플의 창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연구한 학자는 거의 없다. 그런데 우리들은 콘스탄티노플의 창건에 대해 언급한 학자들의 견해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한다. 예를 들어 오스트로고르스키는 "이 장소(비잔티움)는 천재적인 혜안(慧眼)으로 선택되었다."라고 말하는 반면, 워렌 트레드골드는 "(콘스탄티누스가) 비잔티움을 재건설한 것은 그에게 분별력이나 선견지명이 있어서라기보다는 오히려 행운이었다."라고 말한다. 이처럼 학자들간에는 서로 다른 의견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럼 이러한 의견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필자는 이점이 궁금점으로 떠올랐다. 그래서 콘스탄티노플의 창건의 의미를 다시 재조명하기로 결심하고 그 의미를 정치ㆍ지리적 중요성, 교역의 중요성, 동ㆍ서화합의 중요성을 나누어 살펴보려고 한다.

      • KCI등재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의 의미

        김차규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11 중동문제연구 Vol.10 No.1

        The article is a writing of study about the meaning of the Battle of Manzikert 1071. The Battle of Manzikert was fought between the Byzantine Empire and Seljuq Turks forces led by Alp Arslan on August 26, 1071 near Manzikert. The decisive defeat of the Byzantine army and the capture of the Emperor Romanos IV Diogen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undermining Byzantine authority in Anatolia and Armenia. Two main problems confronted the meaning of the Battle of Manzikert 1071 : Military Disaster or Political Failure? ; the Battle of Manzikert was foreseen or was not foreseen? My purpose will be to test these assump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s we have to first investigate the military system in the eleventh century, the byzantine aristocracy and its military function in the eleventh century, the byzantine budgetary system in the eleventh century and geomorphological observations. I examined them in this paper. Firstly, the military system in the eleventh century had problems. Military of the Byzantine Empire in 1025 was approximately 247,800 people. Constantine IX disbanded the army of the Iberian theme consisted of about 50,000 troops. Secondly, there was a conflict between the byzantine bureaucratic aristocracy and its military aristocracy. Most emperors strove to preserve a balance within the state between the common and private interest, but in the course of the eleventh century this became more and more difficult to do, until the state became prey to faction. Thirdly the byzantine budgetary system had problems. Financial considerations were not likely to have been uppermost in Constantine IX's mind. He was a by-word for his generosity and indulgence in the early part of his reign. In the last two years of his reign Constantine IX adopted a brutal fiscal policy. Fourthly, I had geomorphological observations. Manzikert located in Armenia which is surrounded by high mountains. Therefore Turks could easily attack from Armenia to Anatolia's plateau. So most of Asia Minor was conquered for 10 years by Turks. I presume that the defeat of the battle of Manzikert was predicted due to problems of military system, conflict between the byzantine bureaucratic aristocracy and its military aristocracy and budgetary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