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 토양중의 Cu, Pb, Zn, Cd, Mn의 지구화학적 분산

        김진섭,박맹언,윤일,Kim, Jin-Seop,Park, Maeng-Eon,Yun, Il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7 자원환경지질 Vol.30 No.2

        Soils collected from pusan metropolitan city were analysed for Cu, Pb, Zn, Cd, Mn to determine their dispersion patterns, mode of occurrences and to investigate the pollution level of heavy metals by urbanization. Element couples of Zn-Cu and Pb-Cd showed good correlation respectively and pollution sources of Zn-Cu, and Pb-Cd were similar. Pb was highly enhanced in dense traffic areas. Soil chemistry around mineralized areas originating from basic host rocks are characterized by high content of Pb, Zn, Cu, Cd, Mn and As.

      • Texturization을 이용한 Al-MIS 태양 전지의 효율 개선

        김진섭,이우일,김기완,정호선,Kim, Jin-Seop,Lee, U-Il,Kim, Gi-Wan,Jeong, Ho-Seon 대한전자공학회 1982 전자공학회지 Vol.19 No.5

        태양 전지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중 실리콘 표면을 이방성 부식하여 태양광의 수광 효율을 증대시켜 태양 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texturization방법을 Al-MIS 태양 전지에 적용하였다. MIS 태양 전지를 제조하기 위해 질소 분위기에서 행한 산화 조건은 500℃에서 20분간이 가장 좋았으며, 알루미늄 장벽금속(barrier metal)의 두께는 약 100Å이 적합하였다. Texturization 용액으로서 hydratinehydrate와 pyrocathecol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리콘 표면을 texturization함으로써 texturization하지 않은 MIS태양 전지에 비해 100mW/㎠의 조명하에서 1.2∼1.6%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었다. Texturization technique has been employ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l-MIS solar cells. The best condition for the formation of insulating layer was 50$0^{\circ}C$ in N2 ambient for 20 minutes, and the appropriate thickness of the Al barrier metal layer was about 100$\AA$ For the texturization of the face a mixture of hydrazinehydrate and pyrocathecol was used.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the texturized cells ranged from 1.2 to 1.6% under 100mW/$\textrm{cm}^2$ illumination.

      • KCI등재

        부산광역시 일대의 토양 내 라돈 농도 변화 특성

        김진섭,김선웅,이효민,최정윤,문기훈,Kim, Jin-Seop,Kim, Sun-Woong,Lee, Hyo-Min,Choi, Jeong-Yun,Moon, Ki-Ho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2 자원환경지질 Vol.45 No.3

        부산의 지역의 암석 종류에 따른 토양 내 라돈 농도의 시 공간적 변화 특성과 변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토양 내 라돈($^{222}Rn$)농도와 암석 및 토양의 모원소($^{226}Ra$,$^{228}Ra$ U, Th)의 농도를 부산지역 24개 지점에서 측정하였다. 모암과 토양 내 이들 모원소들의 분포와 거동 특징을 분석하고 라돈과의 상관성을 상세히 규명하였으며, 지형에 대한 영향도 평가하였다. 토양 내 라돈 농도 측정에는 두 가지 in-situ 방법(soil probe 방법과 지중매설튜브 방법)을 적용하여 측정의 정확성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토양 내 라돈의 공간적 분포는 모암의 암석 종류에 따른 U의 농도를 전반적으로 반영하여, 화산암에 비해 심성암에 높고, 산성암>중성암>염기성암 순으로 높은 변화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동일한 모암에서 유래된 토양내의 라돈 농도에서 큰 폭의 변화가 나타나며, 이는 라돈의 모원소인 U와 $^{226}Ra$의 암석과 토양에서의 현저한 방사능 비평형 결과이다. 따라서 토양 내 라돈 농도는 이들 모원소의 암석과 토양 내 농도와의 상관성은 매우 낮게 나타나며, 암석 내 농도에 비해 토양 내 농도와 더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Th과 $^{228}Ra$은 풍화작용과 토양 발달 특성에 따라 U와 지구화학적 거동 및 부하 특징을 달리하기 때문에, 동일한 모암에서 유래된 토양에서도 토양 특징에 따라 U와 현저히 다른 복잡한 농도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지형구배를 이루는 경사지의 동일 심도의 토양 내 라돈농도는 위치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며, 모암을 같이하는 잔류토양(부산대 내 19개 지점)내에서는 소규모 지형 변화에 의해 토양 내 라돈 농도가 6.8~29.8Bq/L 범위로 변화하였다. 토양 내 라돈 농도는 토양 특성에 따라, 정반대의 계절적 변화 양상을 보인다. 지중매설튜브 방법이 soil probe 방법에 비해 더욱 정확히 토양 내 라돈농도를 측정할 수 있어, 토양 내 라돈의 시 공간적 변화 특성에 대한 분석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l spacial radon variation in soil according to parent rock type and affecting factors were studied in Busan, Korea. The concentration of $^{222}Rn$ in soils and their parent elements ($^{226}Ra$,$^{228}Ra$, U and Th) in rocks and soils were measured at 24 sites in Busan area. The distribution and transportation behavior of these parent elements were analyzed and their correlations to radon concentration in soil were determined. Topographic effects were also evaluated. Two in-situ radon measurement (soil probe and buried tube) methods were applied to measure radon concentration in soil and their accuracies were evaluated. The spatial variation of radon in soil generally reflected U concentration in the parent rock. Average radon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plutonic rocks than in volcanic rocks and were decreased in the order of felsic>intermediate>mafic rock. However, the rado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varied in soils developed from same parent rocks due to the disequilibrium of U and $^{226}Ra$ between rock and soil. As results, the correlation of these element concentrations between rocks and soils was very low and radon concentrations in soils had highly co-related to the concentrations of these elements in soils. Th and $^{228}Ra$ show complex enrichment characteristics, differing significantly with U, in soils developed from same parent rock because the geochemical behavior of these elements during weathering and soil developing process was different with U. The radon concentrations in the same depth of soil in slope area we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positions. The radon concentrations in soils developed from same parent rocks (19 sites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varied 6.8~29.8Bq/L range because of small scale topographic variation. The opposite seasonal variation pattern of radon were observed according to soil properties. It was determined that buried tube method is more accurate method than soil probe method and was very advantageous application for the analysi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l spacial radon variation in soil.

      • 새로운 GNPTAB 유전자 돌연변이로 진단된 뮤코지방증 2형 1례를 포함한 국내 뮤코지방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대한 분석

        김진섭,양미선,양아람,조은혜,박형두,손영배,조성윤,진동규,Kim, Jinsup,Yang, Misun,Yang, Aram,Cho, Eun Hye,Park, Hyung-Doo,Sohn, Young Bae,Cho, Sung Yoon,Jin, Dong-Kyu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7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7 No.3

        뮤코지방증 2형과 3형은 GlcNAc-1-phosphotransferase 효소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이다. GlcNAc-1-phosphotransferase 효소의 기능 이상은 리소좀 효소의 세포 내 이동에 관여하는mannose-6-phosphate와 리소좀 효소간의 결합을 저해하여 리소좀 효소들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리소좀 효소의 부족으로 인해 리소좀 기능 이상 및 뮤코지질의 축적으로 인해 다양한 임상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는 새롭게 진단된 뮤코지방증 환자의 임상 및 생화학, 분자유전학적 양상을 기술하고 본원에서 치료받은 11명의 뮤코지방증 2, 3형 환자들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저자들은 17개월에 특징적 얼굴 모양 및 관절 구축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효소 검사를 통해 리조솜 효소의 혈장 내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GNPTAB 유전자의 직접염기 서열분석을 통해 복합이형접합자 돌연변이 (c.3428 dupA [pAsn1143Lysfs*3], c.673C>T [p.Gln225*])를 발견하였다. 새로 진단된 환자를 포함하여 총 11명의 환자(뮤코지방증 2형: 7명, 3형: 4명)들을 대상으로 임상 양상을 분석하였고 진단 시 나이는 뮤코지방증 2형은 2세 1개월, 3형은 6세 9개월이었으며 진단 시 신장 표준편차지수는 각각 -3.2 (${\pm}1.5$), -1.3 (${\pm}1.1$)였다. 심초음파 결과에서 뮤코지방증 3형 환자들은 심장 판막의 이상만을 보였으나 2형 환자들에서는 비후성 심근증(n=3), 좌심비대(n=1)이 동반되었다. 간비비대(n=4)는 뮤코지방증 2형 환자에서만 확인되었다. 뮤코지방증 2형의 경우, 3명의 환자가 호흡 곤란으로 기관 절개 및 호흡기 보조를 받았으며 2 명의 환자가 호흡기 문제로 사망하였다. Pamidronate 치료는 4명의 뮤코지방증 3형 환자와 4명의 2형 환자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유효성 및 안정성에 대한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features as well as the molecular analysis of a newly diagnosed illustrative case with ML II and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11 Korean patients with ML II/III. Method: Including a newly diagnosed patient, total 11 patients in 10 families were diagnosed as ML II (n=7) or ML III (n=4) were enrolled in the study. A diagnosis of ML II or III was made by demonstrating increased lysosomal enzyme activities in the plasma and sequence analysis of GNPTAB with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Result: A illustrative case of ML II patient was a 17 month-old boy showing characteristic facial appearance, multiple joint contractures with cardiac involvements. The enzyme assay showed increased lysosomal enzyme activities in the plasma. We identified compound heterozygous mutations in GNPTAB sequence analysis, including a frameshift (c.3428dupA [pAsn1143Lysfs*3]) and a nonsense variant c.673C>T (p.Gln225*). In total 11 patients with ML II/III, the patients with ML II showed severe growth retardation (h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 -3.2 [${\pm}1.5$]), compare to patients with ML III. Furthermore, patients with ML II patients had serious cardiac problem (n=4), hepatomegaly (n=3) and underwent tracheostomy (n=3) with further respiratory support due to respiratory distress. To improve osteoporosis and bone pain, all patients with ML III and four of 7 patients with ML II treated with intravenous pamidronate. Conclusion: Here we showed a newly diagnosed case of ML II and clinical features of 11 Korean patients with ML II or III. These data could be helpful for further diagnosis of mucolipidosis, a rare inherited metabolic disease, in Korea.

      • 이탈리아 방위산업의 현주소(1)

        김진섭,Kim, Jin-Seop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90 國防과 技術 Vol.- No.138

        수출물량의 감소는 이탈리아 방위산업체를 계혹 취약하게 만들고 있다. 1985년도 신규 해외수주량은 6천4백억 리라, 1986년에는 3천5백억 리라, 그리고 1987년에는 1천5백억 리라로 각각 감소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탈리아의 Melara 클럽 관계자는 이러한 상황 변화에 대한 이유에 대해 언급하면서, 특히 몇년전 까지만 해도 서방 방위산업체의 주된 고객이던 신생국가들의 능역이 증대되어, 이제는 자체적으로 조선산업의 기반을 구축한 것을 꼽고 있다.

      • KCI등재

        충주지역 계명산층 내에 산출하는 알카리 화강암의 지구화학적 연구

        김진섭,박맹언,김근수,Kim, Jin-Seop,Park, Meong-Eon,Kim, Gun-S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8 자원환경지질 Vol.31 No.4

        The alkali granite occurred as small stock and dyke is distributed in the Kyeomyeongsan Formation in the vicinity of the Chungju city. Geochemical characteristics in major and trace element of alkali granite in the Kyeomyeongsan Formation indicate that the alkali granites are peralkaline and have similar geochemical features to the A-type alkali granite. The rock enriched in HFSE such as Zr, Nb, Y, REE etc.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diagram the alkali granites mostly belong to the within-plate granite field, and to the $A_1$ group of A-type granite. This suggests that they might be emplaced in a extentional rift environment. The alkali granites are characterized by remarkably high total REE content, and enriched, relatively flat to somewhat HREE-depleted patterns with large negative Eu anomaly. The Sm-Nd age of the alkali granite is $338{\pm}30Ma$ with ${\varepsilon}_{Nd(t)}$ beings -7.3 to -8.5. On the basis of the geochemical studies the source magma was derived from a enriched mantle-like source and had a few or clearly interaction with sialic continental crust. In conclusion, the alkali granitic rock of the Kyeomyeongsan Formation might be formed from the high F peralkaline magma that was emplaced in continental rift environment, and generated at the early Carboniferous.

      • KCI등재

        고준위폐기물처분장 내 공학규모의 균질 완충재 블록 성형특성 및 현장적용성 분석

        김진섭,윤석,조원진,최영철,김건영,Kim, Jin-Seop,Yoon, Seok,Cho, Won-Jin,Choi, Young-Chul,Kim, Geon-Young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8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6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methodology to fabricate a reliable engineering-scale buffer block, which shows homogeneous and uniform distribution in buffer block density, for in-situ experiments. In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floating die press and CIP (Cold Isostatic Press) are applied for the manufacture of an engineering-scale bentonite buffer. The optimized condition and field applicability are also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ffer blocks. It is found tha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densities obtained decreases noticeably and that the average dry density increases slightly. In addition, buffer size is reduced by about 5%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test production, it is indicated that the stress release phenomenon decrease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IP method, which leads to a reduction in crack generation on the surface of the buffer blocks over time.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of homogeneous buffer blocks on industrial scale is possible using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and that the produced blocks also meet the design conditions for dry density of buffer blocks in the AKRS (Advanced Korea Reference Disposal System of HLW).

      • KCI우수등재

        모더니즘 이전 조경에 나타난 촉지적 지각 양상 - 역사적 전개 과정을 중심으로 -

        김진섭,김진선,Kim, Jin-Seob,Kim, Jin-Seo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4

        서구에서는 인체의 오감 중 시각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나, 시각중심주의적 사고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시각중심주의는 주체를 특권화하며, 다른 감각들과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면서 세계에 대한 경험을 시각 영역에 한정한다. 그러나 경험은 다양한 양식의 '만짐'으로써 이해될 수 있으며, 감촉성과 관련이 있다. 현대조경에서는 시각중심주의에 반하여 신체의 다감각적 측면에 관심이 고조되면서 외부공간에서 신체의 개입이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본 연구는 주체의 능동적 체험을 촉발하는 촉지적 지각 체제에 대한 가능성을 탐구한다. 촉지적 지각은 주체의 능동적 체험을 이끄는 촉매적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촉지적 지각을 통해 주체는 장소성을 체험한다. 촉지적 지각은 다양한 감각의 동시성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촉각을 통해 알고 있던 것을 드러냄으로써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낸다. 촉지적 지각 체제는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었으나, 조경 분야에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모더니즘 이전에 나타난 조경에 한하여 촉지적 지각의 양상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촉지적 지각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서는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하여 촉지적 지각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촉지적 지각의 특성을 도출한 연후, 시각중심주의 체제의 문제점과 촉지적 지각의 필요성을 논하다. 촉지적 지각의 역사적 전개 과정에서는 시각 체제의 변화 과정을 시대순으로 살펴보며, 시각중심적 사고와 반-시각중심적 사고가 각 시대의 건축과 조경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를 문헌 및 사례를 통하여 고찰한다. 이후, 시대적 변화 과정에서 시각 체제가 조경 분야에 미친 영향을 고찰한다. In the West, of the body's five senses sight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but Ocular-centralistic thinking contains many issues. Privileging the subject and inhibiting interaction with the other senses, Ocular-centrism limits the experience of the world to the visual area. However, experiences can be understood as 'touching' various forms and are related to touch. With the heightened interest in the multi-sensuous side of the body contrary to Ocular-centrism, the intervention of the body in the external space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the haptic perception system that causes the active experience of a subject. Haptic perception plays a catalytic role leading an active experience of the subject and the subject experiences a sense of place through such haptic perception. By revealing what was known through the sense of touch through the concurrency and interaction of the various senses, haptic perception draws active participation The haptic perception system has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s but has not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Thus, this study discusses the aspect of haptic perception limited to landscape architecture shown before modernism. In a discussion on haptic perception, the concept of haptic perception is clarified through previous study reviews and litera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haptic perception are derived. Then, the problems of the Ocular-centrism system and the need for haptic perception are discussed.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haptic perception, the change process of the scopic regime is examined chronologically and the ways in which Ocular-centralistic thinking and anti-Ocular-centralistic thinking have been projected on the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of each age are studied via literature and cases studies. The impact of the scopic regime on the landscape architecture field in the historical change process is examined.

      • KCI등재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 콘크리트의 고열과 방사선으로 인한 주요 열화거동 분석

        김진섭,국동학,최종원,김건영,Kim, Jin-Seop,Kook, Donghak,Choi, Jong-Won,Kim, Geon-Young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8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6 No.2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 시스템과 관련하여 고온 및 방사선으로 인한 콘크리트 손상과 열화특성에 대해 포괄적으로 문헌분석을 수행하였다. 고온에 의한 장기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임계온도는 일반적으로 $95^{\circ}C$이며, 온도경사는 콘크리트 균열방지를 위해 $60^{\circ}C$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열화정도는 노출온도와 노출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압축강도에 비해 인장강도가 고온에 보다 민감한 특성을 보인다. 한편 방사선의 에너지가 $10^{10}MeV{\cdot}cm^{-2}{\cdot}s^{-1}$ 이하일 경우에는 핵반응으로 인한 가열을 무시할 수 있다. 하지만 콘크리트가 $10^{19}n{\cdot}cm^{-2}$ 이상의 중성자에 혹은 $10^{10}$ rad를 초과하는 감마선량에 노출된다면 콘크리트의 역학적 물성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그 손상정도는 콘크리트 구성재료의 특성에 의존적이다. 콘크리트에 대한 방사선 조사시 재료의 역학적 물성변화는 주로 온도상승으로 인한 콘크리트 내부 함수량의 변화 및 재료간의 열적물성 차이로 인한 체적증가와 균열발생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건식저장과 관련된 기술의 조속한 확보 및 인 허가를 위해서는 그 간의 선행연구 결과를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향후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 콘크리트 캐스크 관련 국내 자체기술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