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계적 특성에 의한 객체 영상 검출방안

        김지홍,Kim, Ji-h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2 No.7

        본 논문은 영상에 포함된 객체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연구로서, 말레이시아 산림에서 드론으로 항공 촬영된 산림 영상사진을 이용하여 실제로 산림 속에 존재하는 나무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일반적으로 회색조 영상특징 추출방법으로는 LBP 방식과 GLCM 방식, Gabor 필터 방식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으로 촬영된 영상이므로 나뭇잎 질감이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질감 자체보다는 표본으로 채취한 샘플들에 대한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객체 추출 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샘플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샘플영상과 원 영상간의 상호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객체를 검출한다. 각 샘플영상들에 대한 평균치 및 표준편차는 객체 샘플을 분간하고, 판단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RGB 모델과 HSV 모델의 각 신호성분들을 분석하여 객체판단에 유용한 샘플 영상에 대한 통계값을 이용함으로서 객체 추출 확률을 높일 수 있다. As the study of the object feature detection from image, we explain methods to identify the species of the tree in forest using the picture taken from dron. Generally there are three kinds of methods, which are GLCM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and Gabor filters, in order to extract the object features. We proposed the object extraction method using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trees in this research because of the similarity of the leaves. After we extract the sample images from the original images, we detect the objects using cross correlation techniques between the original image and sample images. Through this experiment, we realized the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sample images is very important factor to identify the object. The analysis of the color component of the RGB model and HSV model is also used to identify the object.

      • 도메인 분석정보의 재사용을 위한 처리기의 설계 및 구현

        김지홍,송영재,Kim, Ji-Hong,Song, Yong-Jae 한국정보처리학회 1995 정보처리논문지 Vol.2 No.4

        도메인 분석은 새로운 응용시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유사 시스템의 공통점 을 식별하는 활동이다. 대부분의 도메인 분석의 결과는 통일된 방식이 없이 도식적으 로 표현되고 수작업으로 재사용되고 있어서 분석명세의 재사용성이 작다. 도메인 분석 정보도 수작업 대신에 잘 정의된 구문을 갖는 도메인 분석명세 언어로 표현하여 명세 의 적절성 검사와 재사용의 연산을 통해 도메인 분석명세 재사용의 자동화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메인 분석의 결과를 도메인 분석명세 언어로 표현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도메인 부석명세 재사용 처리기를 설계 구현하고 대여 도메인에 적용하여 새로 운 명세의 인스탄스를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종전의 데이타 흐름도 지원 도구를 통 합 재사용 방식과 분석정보 처리기를 통한 재사용 시간을 비교하였으며 두 가지 방식 은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여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Domain Analysis is an activity to identify commonalities and variabilities which similar application areas in order to reuse analyzed information easily in new software construction. Most of domain analysis output is represented by various diagrams without common standard, and its manual reuses result in low reusability. Domain analysis language can be used to represent domain analysis information and make it possible to automate reuse and test the specifications.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processor to reuse domain analysis information represented by domain analysis language and applied our approach to a rental domain and got new specification instances. In addition, we compared reuse of a data flow diagramming tool with reuse of a domain information processor and found combining and found combining of each approach can increase the reusability of both.

      • KCI등재

        동영상 합성을 위한 혼합 블랜딩

        김지홍,허경용,Kim, Jihong,Heo, Gyeongy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2

        본 논문에서는 포아송 방정식을 기반으로 하는 영상 합성에 있어서 합성된 영상의 자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동영상 혼합 블랜딩 기법을 제안한다. 영상 블랜딩 과정에서는 영상 합성의 목적에 따라 포아송 블랜딩과 알파 브랜딩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혼합 블랜딩 방식은 포아송 블랜딩과 알파 블랜딩의 장점들을 조합함으로써 합성 영상에서 이음매가 없고 또한 객체의 색상 왜곡이 감소되는 특징을 갖는다. 먼저 소스 영상의 객체를 포아송 블랜딩 방법으로 합성한 후, 블랜딩 된 객체와 원래의 객체의 색차를 비교한다. 그리고 색차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소스 영상의 객체에 대해 알파 블랜딩을 수행하고 이를 포아송 블랜딩 된 객체와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한다. 모의실험과 분석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 포아송 블랜딩과 알파 블랜딩에 비해 합성 영역의 자연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요구되는 계산량도 비교적 적다는 것을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vide an efficient hybrid video blending scheme to improve the naturalness of composite video in Poisson equation-based composite methods. In image blending process, various blending methods are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mage composition. The hybrid blending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there is no seam in the composite video and the color distortion of the object is reduced by properl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Poisson blending and alpha blending. First, after blending the source object by the Poisson blending metho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blended object and the original object is compared. If the color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object of source video is alpha blended and is added together with the Poisson blended objec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not only better naturalness than Poisson blending and alpha blending, but also require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computation.

      • KCI등재후보

        알포트증후군 환자에서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유전자 다형성의 의의

        김지홍,이재승,김병길,Kim Ji-Hong,Lee Jae-Seung,Kim Pyung-Kil 대한소아신장학회 2004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8 No.1

        목 적 : 알포트 증후군은 감각신경성 난청을 동반하는 만성 진행성 유전성 신질환으로, 질환의 경과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진행성의 예후인자에 특히 유전학적인 역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진행성 신질환에서 신부전으로의 진행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유전자 다형성의 발현빈도 및 병의 진행경과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신부전으로의 진행을 억제하는 치료제로서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임상양상 및 신조직검사상 알포트 증후군으로 진단된 12명의 환아와 발병하지 않은 12명의 가족들에서 안지오텐신전환효소 다형성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대상 환아를 신염의 발생 후 10세 이후까지 정상적인 신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신기능 유지군과, 발병 후 10세 이전에 만성신부전으로 진행을 시작한(신기능 유지기간 5년 이하) 조기 신부전 진행군으로 구분하여 신기능 감소의 진행시기와 다형성과의 관계를 비교하였고, 발병이 없는 가족에서 다형성의 빈도 및 양상을 관찰하였다. 정상 대조군으로 고혈압, 신장 혹은 심장질환이 없고, 신질환의 가족력,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 혹은 다른 항고혈압제의 사용경력이 없는 소아환자 35명을 정상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1) 발병연령은 신기능 유지군이 평균 $3.45{\pm}2.4$세였고, 조기 신부전 진행군이 평균 $4.4{\pm}1.2$세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남녀비는 각각 5:3, 2:1이었다. 2) 12례의 환아 중 4례(33%)는 10세 이전에 평균 8.9세 이전에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하여 발병에서부터 평균 4.5년 안에 신부전으로 빠를 진행을 보여주는 조기 신부전 진행군이었고, 8례(67%)는 10세 이후까지 이상 신기능이 유지되는 신기능 유지군으로 발병 이후 평균 10.6년(최소 8년, 최대 15년 이상) 이상 신기능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두 군간의 발병 당시 신기능 및 임상양상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3) 알포트 환자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유전자형태는 II type이 3례(25.0%), ID type이 5례(41.7%). DD type이 4례(33.3%)로 정상대조군의 IItype 44.3%, ID type 40.9%, DD type 14.8%와 비교하여 DD type이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두 군사이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4) 조기 신부전 진행군 4례 중 3례(75%)에서 DD type을 보였고, 신기능 유지군 8례 중 1례(12.5%)에서 DD type을 보여 두 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5) 신질환을 나타내지 않은 가족을 대상으로한 조사에서는 총 12례 중 II type 5례(41.7%), ID type 5례(41.7%), DD type 2례(16.6%)로 역시 정상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신기능 유지여부와 가족내의 DD발현 빈도는 의미있는 관계가 없었다. 결 론 : 소아 알포트 증후군에서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유전자의 다형성의 빈도는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조기에 신부전으로 진행한 환아에서의 DD genotype의 발현율이 의미있게 높게 나타나, 예후인자로서 가능성을 시사하였으며, 따라서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 치료가 신부전으로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Purpose : Alport syndrome is clinically characterized by hereditary progressive nephritis causing ESRD with irregular thickening of the GBM and sensory neural hearing loss. The mutations of type IV collagen gene(COL4A5) located on the long arm of X chromosome is considered responsible for most of the structural abnormalities in the GBM of Alport patients. Since no definite clinical prognostic predictor has been reported in the disease yet, we design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genetic polymorphism of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 children with Alport syndrome as a prognostic factor for disease progression. Methods : ACE I/D genotype were examined by PCR amplification of the genomic DNA in 12 patients with Alport syndrome and 12 of their family members. Alport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servative group, those who had preserved renal function for more than 10 years of age, the early CRF group, those who had progressed to CRF within 10 years of age. Results : The mean age of onset was $3.45{\pm}2.4$ years in the conservative group, $4.4{\pm}1.2$ years in the early CRF group. Sex ratios were 5:3 and 2:1 in each group. Among 12 cases of patients, 4 cases were in early CRF group and their mean duration of onset to CRF was 4.5 yews(8.9 years of age). Eight patients(67%) were in the conservative group and they had normal renal function for more than 10 years of age(mean duration of renal preservation was 10.6 years). The incidence of II type ACE gene were in 25.0%(3 cases), ID type in 41.7%(5 cases), DD type in 33.3%(4 cas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port patient and normal control(II type 44.3%, ID type 40.9%, DD type 14.8%). The incidence of DD type of early CRF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servative group(75% vs 12.5%)(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E gene polymorphism between normal Alport family members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CE polymorphism between Alport patients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incidence of DD type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early CRF group which means DD type of ACE polymorphism has a possibility of being a predictor for early progression to CRF in Alport patients.

      • KCI등재

        A Case Study on Fault Tolerant Control System for Power Plant Boiler Controller

        김지홍,조현용,정명진,변증남,Kim, Jee Hong,Cho, Hyun Yong,Chung, Myung Jin,Bien, Zeungnam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1987 전자공학회논문지 Vol.24 No.1

        As a means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 process control system, a FTCS(Fault Tolerant Control System) is designed and applied to the boiler controller of a thermal power plant. The proposed FTCS has capabilities of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as well as back-up control and bumpless switching. A prototype of FTCS is implemented on an IBM PC as an add-on system and it is experimentally verified by using a boiler process simulator together with simplified analog controllers and a switching unit that an one-fold fault is detected in real time and back-up controller takes over the role of the original controller, controlling the faulty loop.

      • KCI등재
      • GIS 정보유통을 위한 보안방안

        김지홍,이상무,Kim, Ji-Hong,Lee, Sang-Moo 한국공간정보학회 2000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Open Geogr Vol.2 No.1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GIS 관련 연구분야도 지금까지의 GIS 정보구축분야에서 구축된 정보에 대한 활용을 위한 정보유통분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GIS 유통구조에 대한 표준화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GIS 분야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들을 분류하여 GIS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별 보안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에서 진행중인 암호 및 인증을 위한 공개키기반 구축사업과 연계하여 GIS 정보의 안전한 전송과 접근제어를 위한 보안방안을 제시한다.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system recently, we focused in GIS data distribution and applications via internet rather than GIS data construc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necessity of security policy on GTS data. So we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GIS data through expert poll. We classify all of data used in GIS with the three security level : high level, middle level, low level. Finally we propose the proper security method on GIS data transfer and on GIS database access in accordance with progree of PKI project.

      • KCI등재

        잣나무의 낙엽송림에 있어서 수형과 (樹型) 재적간의 (材積間) 관계 비교

        김지홍,이종구 ( Ji Hong Kim,Chong Koo Lee ) 한국산림과학회 198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74 No.1

        Noticed that large number of the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S. et Z.) has lost its typical excurrent tree from by removal of apical shoot in the process of cone harvesting,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for the species were made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DBH, total height, merchantable height, and merchantable volume, compared with normally grown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Gordon). One hundred sample trees for each species were selected in the same aged stands for the study. Results have indicated that the pine has shown abnormal height growth pattern mainly by the disturbance of external artificial force. The pine`s forked and/or crooked stems by the reason lave led the result of less merchantable volume in the same DBH classes. Consequently, the pine would have undesirable tree form in terms of timber production, unless free from apical shoot disturbances. Considered to the merit of the Korean white pine that can produce timber and pine nuts, management alternatives for the pine stand were suggested to achieve maximum rate of return for the silvicultural inve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