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성 마케팅 전략에 있어 데카르트 마케팅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김지아나 (Kim Jiana ),설종원 (Seol Jongwon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2

        오늘날 기업들의 기술수준이 점차 보편화되고 평준화 되어가고 있다는 사실은 기능이나 가격으로 경쟁 할 수 있는 것의 한계가 들어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20세기에는 제품의 품질 개선을 위한 기술 분야 또는 제품의 미적 향상을 위한 디자인 분야와 같이 한 분야를 집중적으로 개발하던 시대였다고 한다면 21세기는 이러한 기술과 디자인이 자연스레 통합되어지면서 함께 진화 발 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상품을 만드는 디자이너나 상품의 판매를 기획하는 기획자들은 입맛 까다로운 소비자들을 만족 시킬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하고 더 낳아가 디자인 할 수 있는 멀티플레이어로 요구되어진다. 또한 끊임없이 발전하는 기술력은 더 이상 소비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신비함으로 다가오지 못하는 가운데 같은 가격과 기능을 지닌 제품을 선택할 시 소비자는 보다 감각적으로 이끌리는 제품 또는 美(아름다움)미적 가치를 지닌 상품을 찾는 것이 선호되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소비 시장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이는 감성과 데카르트마케팅의 연관성을 보여 주는 결과이며 점점 삭막해져 가는 사회에서 정신 적으로 위로 받고 싶은 현대인들을 고려한 마케팅으로 해석되어지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선행 연구를 통하여 감성마케팅 전략의 구성요소를 재정리 하고 대표적인 데카르트 마케팅 전략의 한 사례로써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탈을 이용한 아티스트 김지아나의 조형예술 작품을 전면으로 내세운 LG전자의 2008 휘센 에어컨을 통하여 예술적 가치를 이용한 데카르트 마케팅 효용성의 기초연구를 하고자 한다. These days nobody will disagree with the fact that the levels of technology of companies are gradually being generalized and equalized. While the 20th century was a period when companies concentrated on one thing whether technology or design in the 21st century it can be said that the evolution is under process naturally combining technology and design. We can easily find out that customers are prefer to have that products which are more designed or sensual in customers' market. The similarity of sensibility and Descartes seems to be in the aspect of choosing one which attracts by feeling if the prices and functions are same and choosing a beautiful one if functions are same. WHISEN air-conditioner of LG Electronics can be taken as an application example of Descartes marketing through possessing an artistic value by presenting formative arts of Jiana Kim. The components of emotional marketing were rearranged through the research previously performed in this study and we intend to carry out basic research on efficacy of Descartes.

      • KCI등재

        세라믹 엘리먼트 제작에 있어 카오스와 프랙탈 이론을 이용한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김지아나(Kim Jiana),설종원(Seol Jongw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세라믹을 이용한 도자디자인에 있어 효율적인 결과물을 예측 할 수 있는 표현 방법론에 대한 기초연구를 하고자 한다. 작가의 의도와 감성을 기반으로 하는 현대 도자 작품에서 표현 방법은 언제나 풀어야 할 오랜 숙원인 것이다. 도자작품 제작과정은 3단계의 생성-소성-적용으로 구분된다. 3단계를 구체적으로 구분하면 생성단계에는 제판-건조-자연균열로 소성단계는 소성 적용단계로는 분류-배치-적용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제작과정에 카오스 이론과 프랙탈 기하학을 통해 세라믹 엘리먼트의 표현 방법을 모듈화 하여 효율적인 아이디어 스케치과정에 적용하고자 한다. 기획된 조형물을 제작하기 위해 카오스의 형태전개 과정과 프랙탈 기하학 이론으로 디자인 문제 해결 방법을 찾고자 한다. 선택-생성-성장-성숙이라는 자기조직발전시스템을 연구모델로 설정하고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실험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현대 실용도자는 제품개발 기간의 단축과 다품종 소량생산체계를 선호 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의 수작업으로 일관되고 있는 실용도자 디자인의 개발과정을 콘셉트 스케치로부터의 형태 모델링 발전과정을 본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고 아이디어의 검토 메터리얼의 적용을 통한 적용한 이미지 시퀀스 렌더링과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카오스 이론과 프랙탈 기하학을 기반으로 오브제의 형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3D CG로 다양한 발전된 모델을 구현하고자 한다. This paper discus about basic research for presentation method that can predict efficient results in ceramist design using ceramic. The presentation method of modern ceramic art based on the artist's intention and sensibility. We are going to apply modulization of presentation method of ceramic element through chaos theorem and fractal geometry to idea sketch process. We are going to solve the design issue with form development of Chaos and fractal geometry theorem to turn out planed sculpture. Various test will be done with 3D computer graphics established self-organize development system as select-creation-growth-maturity. Modern practical ceramic ware prefer to curtail the manufacturing period and many species and small production.

      • KCI등재

        이미지 시퀀스제작에 관한 3차원 그래픽 툴의 표현 방법론에 관한 연구

        김지아나(Kim Jiana),설종원(Seol Jongw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3

        도자작품 제작과정은 3단계의 생성-소성-적용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생성단계에서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여 절대적인 물리적 시간과 재작업을 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도작작품 제작에 있어 디지털 표현 방법론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표현 방법을 찾고자 함을 연구의 근본적인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도자의 디자인은 제작과정에서 다양한 변수를 내재하고 있는 제작물을 수년간에 걸쳐 db를 분석하여 디지털화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 연구된 결과를 갖고 디지털 표현 방법론을 통한 도자작품에 다양한 기획과 적용에 대한 결과물을 얻고자 한다. 도자작품에서 세라믹 엘리먼트들을 LED 조명을 통한 작가의 의도나 작가의 감성으로 다양한 시각적 표현방법을 찾는 작품이다. 관람자가 인지하는 시간 동안 시각적 감성에 주목한다는 사실을 갖고 대상물에 대한 빛의 조건을 변화시켜 대상물과 대상물을 관람하는 시각적인 감성을 평가하도록 한다. 실험대상은 Moon이라는 테마를 갖고 제작한 작품으로 제한 한다. 또한 빛의 조건을 시간의 축하여 연출되는 것을 이미지 시퀀스라 정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관람자의 감성을 기반으로 한 작품을 3차원 그래픽스(3DC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자 이미지 표현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ore efficient ways to express in the process of the design of ceramic ware. It is difficult to visually predict the final product to which a variety of plans and applications may contribute with preciseness due to the multifarious variables inherent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esign of ceramic ware to be applied in this study. I will take a methodological approach for expression of object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light among several visual methods for expression that are based on the intention or sensitivity of the creator. I evaluated the objects and the visual sensitivity with which the audience views the objects by controlling the condition of the light on the objects with the fact that the audience focuses on the visual sensitivity during the time the audience perceives the objects. The experimental object will be confined to a work created under the theme of the moon. And image sequence is defined as what is presented by setting the conditions of the light on the time axis. On these assumptions I will make a proposal as to the way to present the images of ceramic ware using prior three dimension graphic (3DCG) program with the work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I will examine the effectiveness thereof by comparing the final product of the ceramic ware against the real product with digitized database on the computer using the factor of the directions of the light.

      • KCI등재

        ZMET 분석을 이용한 작품'호수에 비친 달' 의 감성이미지 평가 분석

        김지아나(Kim Jian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일반 대중이 다양한 예술작품을 접할시 작품을 제작한 작가의 의도 컨셉을 얼마나 이해하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일반인이 작품'호수에 비친 달' 시리즈를 관람 시 작품 이미지에 대하여 느끼는 정성적인 감성이미지들을 정량적 평가분석으로 수치화하고 더 나아가 자연스럽게 인지하는 것을 분석하여 얼마나 정확하게 작가의 의도가 의도한 대로 관람자에게 전달되어지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대상인 작가가 제시하는 작품 컨셉과 관람자가 작품을 통해 인지하는 감성이미지와의 관계 형성을 ZMET를 이용한 은유기법을 활용하고자한다. 이는 작품을 감상할시 관람자가 무의식적으로 작품의 감성이미지에 대해 인식한다는 점을 중점에 두고 있다. 분석기법인 ZMET SD MDS를 이용하여 이러한 점에 있어서의 정량적인 데이터를 얻어내고 그 데이터로'호수에 비친 달' 작품이미지에 대한 관람자 인식과 작품의 감성이미지에 대한 포지션을 분석하고 Keyword를 확보 하는 것이다. 첫째 선정된 작가의 작품 이미지 분석 한 후 SD 설문을 하고 MDS 분석을 통해 포지션을 작성한다. 둘째 선정된 작가의 작품 이미지에 대해 관람자가 가지고 있는 잠재된 생각을 알아내기 위한 방법으로 이미지를 이용한 ZMET 설문을 이용한다. 소비자 설문은 SD 분석을 통해 나온 문항(이미지)을 통해 MDS 분석을 하여 포지션과 Keyword를 확보 한다. 그 결과 이 두 가지의 포지션을 작성한 후 두 가지의 결과물들의 일관성에 대해서 알아보는 기초연구로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question to what extent general public understands the artists' intention when evaluating various art works. By employing quantitative analysis of emotional images and natural cognitive process going through in people when they face the series of the art work The Moon Reflected on the Lake the goal of the study is to analyze how exactly the artist's intention is delivered to the audience. In the study we use metaphoric technique based on Zaltman Metaphor Elicitation Technique (ZMET)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artwork suggested by the artist and the emotional image recognized by the audience. This method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audiences recognize the artwork's emotional image when they face an artwork. Therefore we want to acquire quantitative data of emotional image using ZMET SD and MDS technique which will be used in position analysis and gaining of keyword on the image of The Moon Reflected on the Lake. Two objectives of the study are following. First after the image analysis of the selected artist's work we would like to do SD survey followed by positioning through MDS analysis. Second as a method of finding out audience's unconscious cognition we will use ZMET survey which uses image. In terms of consumer survey we will acquire position and keyword through MDS analysis based on items (images) yielded through SD analysis. As a result we hope this study can be a foundation study to explore the consistency of the two positions.

      • KCI등재

        여성향 제품군 개발에 있어 감성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김지아나 (Kim Jiana ),설종원 (Seol Jongwon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2

        현시대의 여성은 적극적인 사회활동과 막강한 경제력으로 시장의 매출을 주도하며 시장의 트렌드 리더로서 급 부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혼 여성은 가정소비의 주 된 주체로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남성중심의 소비문화 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여성중심의 소비문화로 진화되면서 여성 니즈에 맞는 적극적인 마케팅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IT제품들은 남성을 메인 타깃으로 디자인 개발과 마케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 19~28 세 여성들은 어렸을 때부터 PC와 게임기를 자유롭게 다뤄왔으며 인터넷 문화와도 친숙하다. 남성들이 디지털 기기의 최신 기술과 성능 등 실용성을 중시한다면 테크파탈은 제품 기능보다 외양으로 보여 지는 디자인이나 브랜드 등의 감성적인 부분을 더욱 중시한다. 휴대전화 뿐 아니라 노트북도 가방에 넣고 다니지 않고 액세서리 처럼 들고 다닌다. 이는 단순히 디지털기기가 아닌 나만 의 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패션 액세서리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전자 정보기술(IT) 기기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고 실제 구매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여성들이 늘어나면서 테크파탈이란 신조어가 생겨났다. 테크파탈은 기술(tech)과 팜므파탈(femme fatale·치명적 영향력을 가진 여자)을 합친 말로 마크 펜 키니 잴리슨의 마케팅 서적인'마이크로트렌드'에 처음 등장했다. 제품 기획부터 디자인 색채계획 광고 전략까지 여성을 위한 제품을 출시하는 시장 형성으로 여성향 제품군 개발에 있어 감성 마케팅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여성향 제품의 사례를 분석하고 보다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구축의 기초연구로 하고자 한다. Women in current age are leading the sales in the market and rapidly rising as a trend leader group through active social activities and mighty economic power. It verifies that elite women such as alpha girls gold misses swans etc. are rapidly rising as the major consumption subjects in the market as the educational level of women gets higher. While men emphasize on practicality of digital devices such as the latest technology and function tech fatales more value sensible part such as design or brand externally visible than function of products. Women hold in their hands not only mobile phones but also notebook computers like accessories without putting them in the bags. That is because they consider each of these devices not as a simple digital device but as a fashion accessory through which they can express their styles. As the number of women who have positive interest in IT devices and actually exert purchasing power increases the new terminology "tech fatale" was created. Tech fatale is a compound of technology and femme fatale (women with fatal influence).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analyze such examples of products for women and use it as the basic research for establishment of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 KCI등재

        전통도자의 캐릭터라인을 통한 고유 디자인 아이덴티티 형상구현

        김지아나(Kim,Jian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새로운 주체적 관점에 의한 한국적인 미학이 글로벌리즘에 점차적으로 통용되는 하나의 키워드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시작한다. 한국적이라는 키워드로 도자디자인을 개발함에 있어 기획부터 제시되는 화두는'과연 이것이 한국적인 것인가?'라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적인 도자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면 전통도자의 고유디자인 아이덴티티를 확보하여 이를 바탕으로 도자디자인 개발프로세스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연구를 하고자 한다. 전통도자의 대상선정은 제작방식에 관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선정하였다. 보물급 문화재인 청자와 백자를 대상으로 전통도자의 고유디자인의 절대적 비례감에 대한 캐릭터라인 요소를 추출하여 각 형상 별 스탠다드 캐릭터라인을 확정한다. 이와 같이 전통도자에서 추출한 캐 릭터라인을 통해 아이덴티티 형상구현과정에 적용한다. 전통도자 제작과정에서 물레를 이용한 제작방식에서'빗다'라는 표현을 찾을 수 있었고 이 표현은 제작자의 의도한대로 형상화되는 의미와 상통된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러한 비례감에 대한 고유디자인 요소를 추출하기위해 베지어 곡선(Bezier-Curve)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데이터를 확보한다. 따라서 전통도자의 캐릭터라인을 이루는 과정에서 요소(Factor)를 형상에 따라 최소값으로 추출한다. 이러한 요소(Factor) 값을 전통도자 형상별 베지어 곡선을 레이어 스택(Layer-Stack)에 따라 아이덴티티를 갖게 됨을 분석한 결과로 추출해낼 수 있었다. 따라서 전통적인 도자를 통한 디자인개발에 있어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전통도자의 고유디자인 아이덴티티를 확보하여 형상구현 결과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We want to study the design process methodology which enables the effective forecast of the product in terms of pottery desig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image. The selection of the target's traditional production method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basic research. Celadon and white porcelain cultural asset of the traditional party destination of the unique design of the absolute sense of proportion about the string to extract the elements of each image is determined by the standard string. Thus the characters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identity through a string is applied to shape the implementation process. From the previously addressed traditional pottery production process using potter's wheel we could find the expression "to make" which parallels with the meaning of configuration process as intended by the porcelain producer. Based on such analysis we extracted the minimum number of factors for each configuration. Such factor was acquired by analysis of identity based on layer-stack. As discussed we want this study to be a basic study for the effective design process for desig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pottery design which can generate the product of identity configuration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