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Schutt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의 타당화 연구

        김지근,우영지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2 人間理解 Vol.43 No.2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hutt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ith a Korean college sample. In Study 1, with an undergraduate sample(n=342), EFA of the K-SEIS revealed a five-factor solution with 21 items: Appraisal of Emotions in Others(AEO), Emotional Regulation of the Self(ERS), Utilization of Emotions(UE), Emotional Regulation of Others(ERO) and Appraisal of Emotions in the Self(AES). In Study 2, CFA was performed with an independent sample(n=363).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Higher-order model with three reversed items loading onto the reverse factor alongside the other five factors showed the best model fit. The validity of the K-SEIS was verified with Trait Meta-Mood Scal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depression, and college adjustment.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지능을 측정하기에 가장 효용성이 높다고 판단한 정서지능 척도(Schutt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SEIS, Schutte 등, 1998)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생 34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고 5개의 요인(타인정서인식, 자기정서조절, 정서활용, 타인정서조절, 자기정서인식), 총 21문항을 도출해냈다. 다음으로는 전국 4년제 대학교에서 363명을 대상으로자료를 수집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시행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네 개의 비교모델 중 부정형 요인 문항을 추가한 고차요인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어 한국판 SEIS의 신뢰도 검증 및 다양한 변인들(메타기분기질, 성격 5요인, 우울, 대학생활적응)간의 관련성을 통해 수렴, 변별, 공존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한국판 SEIS 의 신뢰도가 양호한 수준임을 확인하였으며, 원척도 개발 과정에서 나타난 것과 일관된 양상으로 변인들과의 관련성이 확인되어, 한국판 SEIS가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지능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판 SEIS 척도의 의의 및 한계점을 기술하고 본 척도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 진학 시 대학 및 학과 선호도 타협 유형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김지근,이지원,이기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2 No.2

        This study aimed to inquire into differences of students’ college adjustment by compromise types between preferred university and major. This study employed a national sample of 2147 freshmen students using the Seventh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the present study, compromise types of preferred university and major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by applying Gottfredson's theory. As the results of MANOVA, the students of choosing the preferred university and major got the higher score in the total score of college adjustment. For the differences of college adjustment level by compromise types, ‘preferred university–preferred major’ group and ‘less preferred university-preferred majo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total score of college adjustment, and the students of choosing the preferred university and ‘preferred university-less preferred major’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 in the GPA.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진학 시 대학 및 학과에 대한 선호도와 선호도 타협 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승인을 받아 한국교육종단연구 7차 년도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 1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2147명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ottfredson(1981)의 진로타협이론에 근거하여 대학 및 학과 선호도를 바탕으로 선호도 타협 유형을 4개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대학 및 학과 선호도 및 각 타협 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적응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 진학 시 선호하는 대학 및 학과로 진학한 집단은 대학생활적응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선호도 타협 유형에 있어서는 ‘대학 선호-학과 선호’, ‘대학 타협-학과 선호’ 유형이 높은 대학생활적응 점수를 나타냈다. 반면, 선호 대학에 진학한 경우 수업 및 과제를 어렵게 느끼고, 학점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고하였으며, 타협 유형 중 ‘대학 선호-학과 타협’ 집단이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낮은 학점을 보고했다. 이러한 결과의 함의와 진학시점의 대학 및 학과 선호도가 대학생활적응에 주는 시사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대학-직장 이행을 위한 대처자원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김지근,이진구,이기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ping Resources Improvement Program’ designed for emerging adults experiencing psychosocial difficulties during college to work transition. Based on transition model of Scholossberg(1995),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intervene in 4S (Situation, Self, Support, Strategy) required in the transition. Participants included 31 job applicants who are senior or above and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10), comparison group (N=10), and control group (N=11). Data to verify effectiveness were collected pre-, mid-, and post treatment.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coping resources and psychosocial difficulties in the transition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and those changes were still maintained after a month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n job-search burnout and career-adaptability in all group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직장 이행과정에서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개입할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chlossberg(1995)의 이행 모형을 기반으로 대학-직장 이행과정에서 요구되는 대처자원인 4S(상황지각, 자기지각, 지지자원, 전략)에 개입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학교 4학년 이상의 취업준비생 1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이행대처자원, 대학-직장 이행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취업소진, 진로적응성의 수준을 프로그램 전, 후, 그리고 종결 1개월 후 시점에 수집하여, 취업준비행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비교집단 10명, 무처치 통제집단 11명과 그 수준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직장 이행을 위한 대처자원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이행대처자원과 대학-직장 이행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의 수준이 프로그램 전후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종결 1개월 후 시점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경험적으로 입증되었다. 반면, 취업소진과 진로적응성에서는 실험, 비교, 통제집단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직장 이행을 위한 대처자원 향상 프로그램’이 지니는 의의를 논의하였으며, 연구가 지니는 제한점과 더불어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의미평가와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김지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9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 appraisal of college-to-work trans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str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43 colleg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PSS 25.0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rect effect of negative meaning appraisal of college-to-work tran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stress was significant. Second, career adaptabil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stress. Third, there wer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 appraisal of college-to-work trans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stres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긍정적 의미평가 및 부정적 의미평가, 진로적응성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의미평가와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443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하고,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부정적 의미평가의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긍정적 의미평가 및 부정적 의미평가와 진로적응성은 순차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확실하고 모호한 상황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개인의 경향은 대학-직장 이행 과업에 대한 긍정적 의미평가 및 부정적 의미평가를 통해 진로적응성 자원의 활용을 방해하여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진로결정에의 몰입의 모형 검증:자기성장주도성과 환경에 대한 진로탐색행동 및 자신에 대한 진로탐색행동을 매개변인으로

        김지근,이기학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1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role of personal growth initiative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environment and sel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s. A total of 240 undergraduate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provided support for the hypothesized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 growth initiative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environment and self) and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environment and self) between personal growth initiative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s. This study ends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대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부·모가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정도와 진로결정에의 몰입 과정에서 자신의 성장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인 자기성장주도성, 진로를 선택하거나 결정하기 위한 환경 및 자신에 대한 진로탐색행동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진로결정에의 몰입 과정에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환경 및 자신에 대한 진로탐색행동과의 관계에 있어 자기성장주도성이 완전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성장주도성과 진로결정에의 몰입과의 관계에서 환경 및 자신에 대한 진로탐색 행동이 완전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에 있어 모든 경로가 유의미하였으나, 자신에 대한 진로탐색행동에서 진로결정 몰입으로의 경로가 부적으로 나타나면서 가설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후기 청소년의 환경 및 자신에 대한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스스로 성장하고자 하는 내적 동기를 향상시켜 줌으로써 환경 및 자신에 대한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환경 및 자신에 대한 진로탐색행동이 진로결정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환경에 대한 진로탐색행동과 자신에 대한 진로탐색행동이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진로 상담의 효과적인 개입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조합패턴과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김지근,이기학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3

        This study intended to inquire into differ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perceived parenting styles. The participants were 421 male and female students in all grades from 2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In the present study, authoritarian and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s of parents occurred in similar frequencies, and frequency of the group where both father and mother’s parenting styles coincided either authoritarian or authoritative was high. As the results of MANOVA to inquire into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mor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the higher score students got in the total score of school adaptation. For the differences of adaptation level to school life by combinational patterns of parenting styles, ‘authoritative father–authoritative mothe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total score of school life adaptation, schoolmate relationship, and school’s rule compared to ‘authoritarian father–authoritarian mother’ group, and ‘authoritarian father–authoritative mothe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otal score of school life adaptation compared to ‘authoritarian father–authoritarian mother’ group. At last,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the sex of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binational pattern of parenting styles and school adaptation level of student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경기도에 소재한 2개 중학교의 1, 2, 3학년 남여 학생 총 421이며, 성별 분포는 남학생 257명, 여학생 164명이다. 본 연구에서 부모의 권위적, 민주적 양육태도 유형은 비슷한 빈도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양육태도 조합패턴에서는 한 가정 내에서 부와 모의 양육태도가 권위적 또는 민주적으로 일치하는 집단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 목적에 따라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과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한 결과, 지각된 부와 모의 양육태도가 민주적일 수록 학교생활적응 총점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조합패턴 유형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수준의 차이 결과는, ‘부민주적-모민주적’ 집단이 ‘부권위적-모권위적’ 집단과 비교하여 학교생활적응 총점과 교우관계, 학교규칙 적응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부권위적-모민주적’ 집단이 ‘부권위적-모권위적’ 집단과 비교하여 학교생활적응 총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양육태도 조합패턴 유형과 자녀의 학교적응수준 간의 관계에서 자녀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의 함의와 부모 양육태도에의 시사점 그리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진로결정자율성이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김지근,이기학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3

        Savickas(1997, 2005) proposed the career adaptation model which explains that motivation and resources to adapt in a changing environment will lead to adaptive behaviors in career construction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valuate the theoretical model of career adaptation process, which denote a sequence raging acros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s adaptive readiness, career adaptability as resources to adapt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s adapting response, including the interaction role of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The results from the survey of 274 university students are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was found. Seco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moderated the mediated relation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with high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may need to have low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in order to have high career adaptability which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Savickas(1997, 2005)는 진로구성이론에서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자 하는 동기와 더불어 적응에 필요한 자원의 활용이 수반될 때 적응적인 행동이 나타난다는 진로적응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진로적응모형을 바탕으로 개인의 동기 수준인 진로결정자율성, 적응에 필요한 자원 수준인 진로적응성, 환경에 대처하는 행동 수준인 진로관여행동 변인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 변인의 상호작용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진로적응모형의 이해와 해석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74명(남 109명, 여 165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와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이 모두 검증되었다. 특히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성, 진로관여행동으로 이어지는 진로적응모형이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이 낮은 집단에서만 타당하게 나타남으로써, 진로적응 향상을 위한 개입에 있어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이론적 의의 및 진로 상담의 효과적인 개입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성인도래기의 대학-직장 이행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김지근,허경민,허다연,이기학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도래기 청년들이 대학에서 직장으로의 이행과정에서 어떤 주관적 경험을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대학교 4학년 이상 재학생 및 휴학생 15명을 성별, 전공, 지역 등의 특성이 고루 포함될 수 있도록 이론적 표본추출을 실시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는 Van Kaam(1969)이 제안한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의미 있는 진술문을 추출하고, 이를 공통된 속성으로 묶는 범주화 작업을 통해 부주제, 주제, 범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1125개의 의미 있는 진술문이 추출되었으며, 61개의 부주제, 19개의 주제,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는 ‘이행과업을 인식하고 헤쳐나감’, ‘이행과정 중 부정적 경험으로 인한 내적 고통’, ‘사회지원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충족되지 못함’, ‘이행과업에의 미성숙한 태도가 나타남’, ‘이행을 준비하며 기존 자원과 여건상에 새로운 어려움이 발생함’순의 빈도로 나타났다. 즉, 대학에서 직장으로의 이행 경험 속에는 어려움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대처 행동, 부정적 정서와 태도의 심화, 사회구조와 시스템으로 인한 어려움, 어려움 속에서도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감을 가지며 성장하고자 하는 욕구 등의 경험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와 제언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merging adults experience the college to work trans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15 undergraduates selected by theoretical sampling, and data was analyzed utiliz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Van Kaam (1969). As a result, 1125 significant statements, 61 subthemes, 19 themes, and 5 categories were constructed. The five categories, listed in order of highest frequency, are as follows: recognize the transition and get through it, inner suffering due to the negative experience, unfulfilled needs for social support, Maladaptive reaction to the transition, and new difficulties in terms of resource and circumst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merging adults have mixed experiences during the transition as evidenced by their utilization of various coping strategies, varying negative emotions and attitudes, fluctuating social structure difficulties, and inconsistent levels of hopefulness and desire to grow.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학생설계 도전과제에 기반한 진로탐색수업의 효과 분석: 진로적응성, 진로구성행동, 진로정체감을 중심으로

        김지근,김준희,노준희,이경운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3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6 No.2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newly introduced 'Career Exploration Class' in addressing limitations of existing career education and adapting to changing job environments. The study included 55 'Career Exploration Class' course students(experimental group) and 58 non-participants(control group)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3 at a four-year university in Daegu. To examine Career Exploration Class's effect, we measured career adaptability(CA), career construction behavior(CCB), and vocational identity(VI) based on Savickas' career construct theory(2013) before and after the semester, comparing both groups.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improvement in CA and CCB for the experimental group, especially in CA's concern factor and CCB's preparation factor. After the class,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between groups in CCB's exploring occupations and VI's in-breadth career explor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A's control, CCB's crystallizing self-concept and deciding on occupational choice, and VI's in-depth career exploration, career commitment, and reconsider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the effective oper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Career Exploration Class.

      • KCI등재

        부모의 성취압력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평가에의 두려움과 진로정체감의 이중 매개효과

        김지근,김나래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0 人間理解 Vol.41 No.1

        The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career identity between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and job-seeking str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26 colleg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Doubl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Process Macro of Hayes (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irect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etween parental pressure on achievement and job-seeking stress was not significant. Second, career ident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ressure on achievement and job-seeking stress. Third,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ressure on achievement and job-seeking stress had double-mediated effect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