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약계층을 위한 정보통신 접근성 정책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김중연(Jung Yeon Kim),박성우(Sung Woo Park),강병권(Byung Gwon Kang),손창용(Chang Yong Son),정봉근(Bong Keun Ju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서방 선진국을 포함한 주요 아시아 국가의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정보통신 접근성 향상 관련 정책들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한민국은 아시아 국가에 비해 법과 표준이 잘 정비되어 실효성이 높은 반면 서방국가들과의 비교에서는 상대적으로 관련 정책들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급변하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새로운 정의들을 관련법이 명확히 반영하는데 한계를 보였으며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이외의 정책 및 표준 제정이 미흡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 법 제·개정 주기를 단축하고 정보통신 접근성 관련 시나리오를 사전에 연구·개발, 필요시 즉시 적용할 수 있도록 정부 산하의 전문연구기관을 설립하는 방법들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사회취약계층은 정보통신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받지 못하고 정보를 잘 활용하는 사람들과 구별되어 사회, 경제, 문화 등 삶의 많은 측면에서 차별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관련 업계의 자발적인 참여 및 국민의 관심이 지속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global policies on ICT accessibility and to suggest possible solutions that help to enhance ICT accessibility for socially disadvantaged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lated laws and standards in Korea are relatively well established than Asian countries’ whereas they need improvements when compared to the US or the UK. Particularly, in spite of rapid development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dustry, incorporating the definition of newly developed technologies into existing laws related to ICT accessibility seemed slow that caused reluctancy of related parties to address accessibility issues the new technologies create. In addition, Korean government seems less effortful to develop policies and standards apart from web and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firstly, the period or process of enacting and amending laws can be shorten. Next, a government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can be established to do research and develop ICT accessibility related to user scenarios so that effective policies and standards could be readily provided. Even though other possible solutions can be suggested, what is more important than that is that any interested parties should sustainably make efforts to provide equal opportunities for the underserved populations.

      • 2개의 3축 관성센서를 이용한 입원환자 보행 모니터링 기반 낙상위험 평가방법 개발 사전연구

        김중연(Jung-Yeon Kim),김초명(Chomyong Kim),전섭(Seob-Jeon),길효욱(Hyo-Wook Gil),유익동(Ik-Dong Yu),류지원(Ji-Won Lyu),정의현(Euy-Hyun Chung),남윤영(Yunyoung Na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12

        각종 센서를 활용하여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웨어러블 센서의 효용성을 파악하려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입원환자들의 보행 및 균형 기능을 단편적으로 평가하여 낙상위험을 가늠해 보는 기존 방법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입원환자들이 병원에서 생활할 때 발생하는 행동데이터를 퇴원 시 까지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보행이 발생된 관성센서 신호를 검출하고 낙상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특징적 지표를 계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There are increasing numbers of studies to identify efficacy of wearable sensors on collecting health-related data. This study proposes a machine-learning based method to detect gait pattern from long-term behavior monitoring data and compute gait parameters, which can be used to investigate patients’ gait and balance, to assess fall risk while they are staying at a hospital. The result of gait patterns detection and gait parameters computed from the part of long-term monitoring data.

      • KCI등재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원격재활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차예린(Ye-Rin Cha)김중연(Jung-Yeon Kim),정봉근(Bong-Keun Ju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4

        본 연구는 자립생활센터 이용 장애인의 원격재활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파악하여 지역사회 장애인의 건강증진 및 효율적인 재활을 위한 원격재활서비스 발전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설문 참여자는 자립생활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인 162명이며, 문항은 34문항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재활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는 전체 응답자 중 74.7%가 ‘들어본 적 없다’ 고 응답하였고, 들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68.3%는 ‘서비스를 이용해보고 싶다’, 78%는 본 서비스에 대해 ‘긍정적이다’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원격재활서비스에 ‘참여 의향이 있다’는 84%, 필요정도를 묻는 문항에서 ‘매우 필요하다’ 및 ‘필요하다’가 87.1%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격 재활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탐색한 결과,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체계 및 구축, 재활종사자의 서비스 제공,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 등의 요구사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수요자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고, 차후 원격재활시스템의 적용 및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장애인 재활의 질적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서비스의 개발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wareness and needs for community based Telerehabilitation(TR) service by carrying out a online survey targeting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By using the survey, we attempt to utilize the results as the basis for the health promotion and effective rehabilitation service to the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Survey was conducted on the 162 target users, who use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are registered as disabled. There are 34 questions in tota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74.7% of respondents said ‘they had never heard of TR service’. 68.3%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want to use the service’ and 78% are positive about the service. Second, 84% of them said ‘they have an intend to participate the service’, 87.1%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needed ‘very necessary’ and ‘necessary’ in the question of necessity. Third, as a results of searching the requirements for TR servic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requirements such as service system and constru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service provision of rehabilitation experts, and various program compos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e development of a differentiated TR system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y considering the reality of rehabilitation treatment of community disabled people and considering the knowledge and needs of TR system.

      • 간호간병통합병동 EMR 데이터를 활용한 낙상 위험 사정 도구 개발

        김초명(Chomyong Kim),김중연(Jung-Yeon Kim),전섭(Seob Jeon),길효욱(Hyo-Wook Gil),유익동(Ik-Dong Yu),류지원(Ji-Won Lyu),정의현(Euy Hyun Chung),남윤영(Yunyoung Na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12

        환자 낙상은 병원에서 쉽게 발생하는 일종의 사고로써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부작용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의료비 및 재원일 수 증가를 넘어 의료사고 및 법정소송을 발생시킬 수 있어 사전예방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 낙상 위험군 환자를 분리하기 위해 Morse Fall Scale(MFS), Hendrick Ⅱ, STRATIFY 및 다양한 낙상 위험 사정 도구를 사용하지만 낮은 예측률을 보이며, 주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MFS의 경우 순천향대학교 부속병원을 기준으로 약 73%의 예측률을 보인다. 본 연구는 이미 사용하고 있는 MFS 사정 도구의 변수와 간호간병 통합병동에서 EMR로 관리하는 여러 도구의 변수를 모아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분류모델을 개발함과 동시에 표준화된 가중치를 구해 새로운 점수를 산출한다. 본 연구의 예측률은 83%로 증가했으며, 가중치를 활용해 낙상 위험도를 재산출한 결과 낙상 중간위험군으로 분류된 환자가 낙상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면서 낙상 예방 교육 및 집중 간호를 받을 수 있게 한다. Patient falls are a type of accident that easily occurs in hospitals, and not only cause physical and mental side effects to the patient but also cause medical accidents and legal litigation beyond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and hospital stays. Morse Fall Scale (MFS), Hendrick II, STRATIFY, and various fall risk assessment tools are used to isolate patients at risk for falls, but with low predictive rates. MFS, which is mainly used frequently, shows a prediction rate of about 73% based on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classification model through logistic regression by collecting the variables of the MFS assessment tool already used and the variables of various tools managed by EMR(Electric Medical Record) in the nursing care integrated ward, and at the same time obtaining standardized weights to obtain new Calculate the sco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ediction rate for falls of this research model increased to 83%, and as a result of recalculating the fall risk using weights, patients classified as the intermediate risk for falls are classified as high risk for falls, allowing them to receive fall prevention education and intensive care.

      • KCI등재

        음성 기반 상담의 품질 평가를 위한 자동화 기법

        이건수 ( Keonsoo Lee ),김중연 ( Jung-yeon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1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2 No.2

        언택트 시대의 시작으로, 온라인 산업의 성장 속도는 점차 빨라지고 있다. 온라인 산업이 성장할수록, 고객 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높아지며, 그 접점에 존재하는 컨택센터 시장 역시 성장하고 있다. 언택트 시대의 주요 서비스 분야인 컨택센터의 업무가 노동 집약적이라는 아이러니를 극복하고 컨택센터 업무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업무 자동화 기술 개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업무 자체는 정형적이지만, 그 중요성이 높아 업무 자동화의 효율이 높은 대표적인 컨택센터의 업무 중 하나인 품질 평가 업무의 자동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채널 분리된 상담 내용 녹취 내용을 토대로, 음성 인식 결과를 획득한 뒤, 문장 단위 발화 내용을 분석하여, 정량 평가 항목인 도입부 평가, 응대 중 경청과 침묵 평가, 그리고 마무리 평가를 수행한 후 수행 결과를 평가표에 맞춰 출력하는 단계를 따른다. 제안 방법은 전문가의 평가 결과 대비 92.7% 일치율을 보였다. 불일치 케이스의 경우, 주로 음성 인식의 오류에 기인한 경우였다. 따라서 음성 인식 결과의 신뢰도가 보장된다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통해 자동화된 품질평가로 해당 업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a contact-free society, online servic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classic offline services. At the same time, the role of a contact center, which executes customer relation management (CRM), is increasingly essential. For supporting the CRM tasks and their effectiveness, techniques of process automation need to be applied. Quality assurance (QA) is one of the time and resource consuming, and typical processes that are suitable for automation. In this paper, a method of automatic quality evaluation for voice based consultations is proposed. Firstly, the speech in consultations is transformed into a text by speech recognition. Then quantitative evaluation based on the QA metrics, including checking the elements in opening and closing mention, the existence of asking the mandatory information, the attitude of listening and speaking, is executed. 92.7% of the automated evaluations are the same to the result done by human experts. It was found that the non matching cases of the automated evaluations were mainly caused from the mistranslated Speech-to-Text (STT) result. With the confidence of STT result, this proposed method can be employed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QA process in contact centers.

      • KCI등재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상담 대응 효율 개선을 위한 AI기반 상담 분류 기법

        이건수(Keonsoo Lee),김중연(Jung-Yeon Kim),강병권(Byeong-Gwon Ka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8

        Online shopping has various advantages over offline shopping. In order to utilize such potential, it is important to realize customers’ intention in the process of shopping. Once the request is categorized, a proper agent, who responds to the request, can be easily assign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categorizing types of customers’ counseling requests asked by active or potential users of an online shopping website. The proposed method is composed of two sub-classifiers which are naive Bayes classifier and Gated Recurrent Unit(GRU) based classifier. These two sub-classifiers are trained using the document-term matrix and word embeddings generated from a dataset collected from an online shopping website. Predictions of these two classifiers are combined using ensemble method. We obtained 87.05% and 88.94% accuracy for naive Bayes and GRU based classifier, respectively, and the performance was improved by ensembling the two weak classifiers achieving up to 95.29% accuracy.

      • KCI등재

        음성 기반 도로명 주소 인식 및 주소 검증 기법

        이건수 ( Keonsoo Lee ),김중연 ( Jung-yeon Kim ),강병권 ( Byeong-gwon Ka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1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2 No.1

        TV홈쇼핑을 통한 상품 구매 과정에서, 전화망을 통한 배송지 정보의 확보는 필수적인 과정이며 동시에, 서비스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한 주요한 자동화 적용 대상 과정이다. 본 연구는 음성으로 기록된 배송지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 및 검증하려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제안 방법은 음성 기반의 주소 정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다음의 세 가지 기능을 포함한다. 첫 번째 기능은 한글 발화문으로 부터 원래 주소의 표기 형태로 올바르게 변환하는 것이고, 두 번째 기능은 음성 녹취 과정에서 주소의 구성 요소별 순서 변화 혹은 동일 구성 요소의 중복 발화 같은 주소 잡음을 처리하는 것이며, 마지막 기능은 띄어쓰기 처리를 통한 최종 주소의 가독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능이다. 제안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우정사업본부 주소 DB와 행정안전부의 주소 DB를 사용하였으며, 통화에서 획득한 주소 발화로부터 도로명 주소를 도출하고, 도출된 주소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제안 방법의 구현 결과물은 STT를 통한 발화 인식 결과뿐만 아니라, 키보드를 이용한 표준 입출력으로도 입력 채널을 확장하여, 주소 검증이 필요한 비음성 기반의 서비스에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 방법은 주소 구성 요소의 위치 변화 잡음에 강건하게 동작했지만, 요소 생략의 경우 오작동 경향이 존재했다. 이는 생략된 요소에 의해 하위 요소의 지역을 명시하지 못하는 경우 처리하지 못한 모호함 때문이었다. Obtaining delivery addresses from call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in TV home shopping business. By automating this proces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V home shopping can be increased. In this paper, a method of recognizing and validating road name address, which is the address system of South Korea, from speech oriented text is proposed. The speech oriented text has three challenges. The first is that the numbers are represented in the form of pronunciation. The second is that the recorded address has noises that are made from repeated pronunciation of the same address, or unordered address. The third is that the readability of the resulted address. For resolving these problems, the proposed method enhances the existing address databases provided by the Korea Post and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Various types of pronouncing address are added, and heuristic rules for dividing ambiguous pronunciations are employed. And the processed address is validated by checking the existence in the official address database. Even though, this proposed method is for the STT result of the address pronunciation, this also can be used for any 3<sup>rd</sup> party services that need to validate road name address. The proposed method works robustly on noises such as positions change or omission of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