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p-nitrosalicylic acid의 전해환원에 의한 PAS의 합성과 Polarograph연구
김준용 대한약학회 1973 약학회지 Vol.17 No.4
Although a considerable amount of work has ben carried out, on the reduction of p-nitrosalicylic acid with Pb, Ni, Cu and Hg cathodes, published results do not proceeded the synthesis of p-aminosalicylic acid. In order to get the reduction potential and the mechanism of reduction, therefore, the electrode reactions occurring during "polarographic reduction" have been studied more fully. As a result, the author found that p-aminosalicylic acid (PAS) can be only produced in a HCl-ethanol solution using Sn cathode with the current density of 4.0A/$dm^{2}$, at 40-$50^{\circ}$.
김준용,Kim, Joon-Yong Korean Chemical Society 1970 대한화학회지 Vol.14 No.1
非水溶液 Ethylenediamine 中에서 水銀電極의 標準電位 및 水銀鹽化物, $HgCl_2,\;HgBr_2,\;HgI_2$의 Ion-Pair 形成恒數를, Hg電極/$HgX_2$ 또는 $HgX_2$+NaX//亞鉛아마르감 參照電極과 같은 Cell의 構成으로서 電位差法에 依하여 測定하였다.
Studies on Methanol Fuel Cells
김준용,Kim, Joon-Yong Korean Chemical Society 1970 대한화학회지 Vol.14 No.1
Methanol 燃料電池는 安價인 液體燃料의 使用, 低溫에서의 可動, 特히 電氣化學的 反應性 等에서 볼 때, 可搬型動力電源으로 有望한 燃料電池系라고 본다. 本 論文은 再現性이 크고, 低過電壓인 同時에 높은 電流密度에서 動作할 수 있는 多孔性인 活性化 電極의 製作 및 燃料電極의 分極特性을 檢討하였다.
김준용,김진태 한국도로학회 2015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3
국내에서는 19990년대 초반 혼잡, 비혼잡 등 으로 표현 가능한 접근로별 교통조건에 따라 신호현시를 동적으로 조정 가능한 실시간신호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실시간신호제어시스템 내에서 주기결정 및 신호현시 배분을 위한 핵심 분석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변수가 포화도(DS, Degree of Saturation)이다. 포화도는 전체 녹색시간 중 차량 통행에 사용된 시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포화도에 대해 일반적으로 교통 조건이 혼잡해 짐에 따라 포화도도 비례하여 증가할 것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으나 현장자료를 바탕으로 한 정량적인 분석은 현재까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조건에 따른 포화도 변화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포화차두시간의 변동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신호제어시스템 COSMOS(Cycle, Offset, Split Model of Seoul)의 운영결과자료를 활용하였다. COSMOS가 운영되었던 포스코사거리의 2 개월에 걸친 운영 결과자료를 사용하였으며(2006.9~2006.10) 해당 자료는 신호주기별/접근로별 자료로 구분되어 있다. 수집자료에 포함된 지표들 중 포화차두시간의 변동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V/g(교통량/녹 색시간)과 DS(Degree of Saturation)의 관계를 분석 하였다. V/g(교통량/녹색시간)은 주어진 신호조건 과 교통조건을 반영한 지표이며, DS는 COSMOS 내부에서 포화교통류율을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 표로서 유효녹색시간당 손실시간을 제외한 실점유시간의 합으로 설명할 수 있다. V/g-DS 관계를 회귀분 석 의하여 선형, 2차, 파워, 대수 형태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