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Effects of Cyclobuxine D on the Biosynthesis of Prostaglandins in Vitro, Prostaglandins Production and Leukocyte Migration in Vivo

        이종화,박영현,조병헌,김유재,김종배,김정목,김천숙,차영덕,김영석,Lee, Jong-Hwoa,Park, Young-Hyun,Cho, Byung-Heon,Kim, Yu-Jae,Kim, Jong-Bae,Kim, Chung-Mok,Kim, Chun-Sook,Cha, Young-Deog,Kim, Young-Suk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87 대한약리학잡지 Vol.23 No.1

        Cyclobuxine D was extracted from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The effects of cyclobuxine D on the biosynthesis of prostaglandins from arachidonic acid in guinea pig lung, prostaglandin production and leukocyte migration in carrageenin-induced inflammation was investigated. These effects of cyclobuxine 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spirin and dexamethasone. Cyclobuxine D does not inhibit significantly cyclooxygenase in guinea pig lung but reduces prostaglandin concentration and leukocyte migration in inflammatory exudates. These effects of cyclobuxine D differ from that of aspirin which inhibits biosynthesis of prostaglandin in vitro and has a relative small effect on leukocyte migration. Dexamethasone, which does not inhibit cyclooxygenase in vitro, has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cyclobuxine D on leukocyte migration and prostaglandin production in inflammatory exudates. 본 실험실에서는 회양목(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으로 부터 steroid성 alkaloid인 cyclobuxine D를 분리하였고, 그의 여러 약리작용을 검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yclobuxine D의 guinea pig lung homogenate에서 prostaglandins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과 carrageenin으로 유도한 염증에서 prostaglandin의 합성과 백혈구 유주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다. Cyclobuxine D (up to 100ug/ml)는 guinea pig lung homogenate에 의한 prostaglandins 합성에 대해서는 현저한 영향이 없었으나, 20mg/kg에서 carrageenin으로 유도된 염증에서 prostaglandin의 합성과 백혈구 유주에 대해 현저한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Aspirin은 vivo와 vitro에서 prostaglandin의 합성을 억제하나, 염증 삼출물에서 백혈구 유주에 대해서는 영향이 거의 없다. Dexamethasone은 vitro에서 외인성 arachidcnic acid를 기질로 가했을때는 prostaglandin 합성에 대해 영향이 없었고 carrageenin으로 유도된 염증에서 prostaglandin의 합성과 백혈구 유주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cyclobuxine D의 항염증작용은 phospholipase $A_2$ activity를 저해하여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는 corticosteroid와 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 Effects of Cyclobuxine D on Carrageenin-induced Pleurisy and Croton Oil-induced Granuloma Pouch in Rats

        이종화,박영현,조병헌,김유재,김종배,김정목,김천숙,차영덕,김영석,Lee, Jong-Hwoa,Park, Young-Hyun,Cho, Byung-Heon,Kim, Yu-Jae,Kim, Jong-Bae,Kim, Chung-Mok,Kim, Chun-Sook,Cha, Young-Deog,Kim, Young-Suk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87 대한약리학잡지 Vol.23 No.2

        Steroidal alkaloid인 cyclobuxine D의 carrageenin으로 유발한 늑막염과 croton oil로 유발한 육아종양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고 그 작용을 aspirin, dexamethasone과 hydrocortisone의 작용과 비교하였다. Carrageenin으로 유발한 늑막염에서 혈장 삼출정도는 pontamine sky blue을 정맥으로 투여하여 20분 동안 늑막염 삼출물로 삼출되어 나오는 양으로 측정하였다. Cyclobuxine D는 용량적으로 삼출물의 양과 20분 동안 삼출되는 pontamine sky blue의 양을 감소시켰다. Cyclooxygenase 억제제인 aspirin과 phospholipase $A_2$를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cyclooxygenase와 lipoxygenase의 생성물을 차단하는 dexamethasone은 현저하게 carrageenin으로 나타나는 염증현상을 억제하였다. Cyclobuxine D는 croton oil로 유발한 육아종양에서 종양 부위에 직접 투여하거나 근육내로 투여해도 pouch내 염증물 양과 pouch wall의 무게를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Dexamethasone과 hydrocortisone은 육아종양의 형성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 dexamethasone은 근육내로 투여 하였을 때 육아종양 형성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나타난 cyclobuxine D의 항염증 작용은 prostaglandins의 생성억제 또는 polymorphonuclear cell (PMN)의 유주 억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Cyclobuxine D, a steroidal alkaloid, was extracted from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The effects of cyclobuxine D on carrageenin-induced pleurisy and croton oil-induced granuloma pouch in rat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aspirin, hydrocortisone ana dexamethasone. Intrapleural injection of 2% carrageenin caused the accumulation of exudate. The rate of plasma exudation, measured by the exuded dye amounts for 20 min in the pleural cavity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pontamine sky blue, showed a peak at 5 hr. Cyclobuxine D (5, 20 and 50 mg/kg, i.p.) suppressed dose-dependently the accumulation of the pleural exudate and the exudation of dye. Among several methods used for screening and evaluation anti-inflammatory agents, granuloma pouch technic introduced by Hans Selye (Hans seyle, 1953) is considered as a simple and reliable method. An air pocket was produced in the subcutaneous tissue of the interscapular region by injection of 1 ml of 1% croton oil as irritant. Inflammatory exudate accumulated in the pouch during the succeding 14 days. Cyclobuxine D (5 and 20 mg/kg) decreased fluid volume in pouch and weight of pouch wall in granulomatous inflammation.

      • KCI등재

        손목·손가락 관절가동범위 측정에 관한 3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의 신뢰도 연구

        박선하(Sun Ha Park),박지혁(Ji-Hyuk Park),김종배(Jong Bae Kim),정영진(Young Jin Jung),이주현(Joo Hyun Lee),박혜연(Hae Yean Par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1

        목적 : 본 연구는 손목과 손가락 관절가동범위 측정에 대한 3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정상인으로 손목과 손가락의 움직임에 제한이 없는 자,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각기와 3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총 11항목의 손목과 손가락 관절가동범위를 각각 1회씩 측정하였다. 3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값의 일치도와 불일치 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 측정값의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44개의 항목 중 38개 측정항목에서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측정값의 불일치 양상을 분석한 결과 3가지 항목에서 불일치 양상이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3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관절가동범위 측정이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3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의 측정의 편리성, 정확성의 장점을 기반으로다양한 임상 분야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a three-dimensional (3D) motion analysis program for measuring the range of motion (ROM) of wrist and finger joints. Methods : The study recruited 50 people who had no restrictions on wrist and finger movements,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Using a goniometer and a 3D motion analysis program, a total of 11 wrist and finger ROM were measured once each.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the 3D motion analysis program, the degree of agreement and inconsistency of the measured values were compared. Results : Analysis of the degree of agreement of the measured values revealed that 38 out of 44 items showed a very high degree of agreement. Regarding analysis of inconsistency in the measured values, inconsistencies were found in three item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ROM of the joint could be measured using the 3D motion analysis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might be expected that the 3D motion analysis program would be used in various clinical fields owing to the advantages of measurement convenience and accuracy.

      • The Effects of Majarol on the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Rats and Isolated Frog Heart

        이종화,박영현,조병헌,김유재,김종배,김천숙,차영덕,김영석,Lee Jong-Hwoa,Park Young-Hyun,Cho Byung-Heon,Kim Yu-Jae,Kim Jong-Bae,Kim Chun-Sook,Cha Young-Deog,Kim Young-Suk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86 대한약리학잡지 Vol.22 No.1

        본 실험실에서는 한국 특산인 매자나무 (Berberis koreana Palibin)의 뿌리에서 majarine(isoquinoline alkaloid)을 분리하여 여러 가지의 약리작용을 검토한 바 있다. 현재는 majarine의 화학적 구조를 변화시켜 그 유도체의 약리작용을 검색하고 있으며, 그 중 majarine의 isoquinoline ring에 치환되어 있는 두 methoxy group 중 하나를 hydroxy기로 치환된 majarol을 합성하였다. Majarol을 흰쥐 정맥내로 투여하여 혈압 및 심박동수의 변화와 epinephrine, phentolamine, isoproterenol, propranolol, atropine, diphenhydramine과 hexamethonium 등에 대한 약물 상호작용을 관찰하였으며 또 적출 개구리 심장에 대한 작용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Majarine을 저용량(0.5-2 mg/kg)에서 용량의존적으로 현저하고 일시적인 혈압 강하와 약간의 심박동수 감소를 나타냈으며, 고용량(>5mg/kg)에서는 이차적으로 지속적인 혈압강하와 심박동수 감소를 나타냈다. 일시적인 혈압강하작용은 atropine sulfate, diphenhydramine과 hexamethonium에 의해 억제되지 않았고, epinephrine의 혈압 상승작용은 majarol의 전처치로 현저하게 차단되었으며, majarol 투여시 나타나는 지속적인 혈압 강하는 심박동수 감소에 수반되어 나타났고 이는 propranolol에 의해 억제되지 않았으며, isoproterenol의 positive chronotropic effect는 majarol 전처치로 차단되지 않았다. majarol은 저용량에서 적출개구리 심장의 수축기 장력을 증가시켰으며 고용량에서는 개구리 적출심장에 대해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majarol의 일시적이고 현저한 혈압강하작용은 ${\alpha}$-adrenoceptor 차단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고, 이차적으로 나타나는 지속적인 혈압강하작용은 심박동수의 감소와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심장에 대한 작용인 것으로 추정되며, majarol의 심장에 대한 작용을 ${\beta}$-adrenoceptor에 대한 작용보다는 심근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인 것으로 추정된다. In our previous studies, we had clarified many pharmacological effects of majarine: the bacteriostatic effect in vitro; the potentiation of hypnotic action of alcohol; hypotensive effect in rats and hypothermic effect in mic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earch for a new antihypertensive drug. Red crystalline was obtained from majarine (which was extracted from Berberis koreana Palibin) by chemical methods. And this crystalline was identified as $C_{19}H_{16}NO_4$ contained one hydroxy group instead of methoxy group of majarine in isoquinoline ring and named 'Majarol' (5,6-Dihydro-9-hydroxy, 10-methoxybenzo-[g]-1,3-benzodioxolo [5,6-a] quinolizinium).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jarol o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urethane ancsthetized rats and the rate and amplitude of contraction of isolated frog heart. Several drugs: atropine sulfate, diphenhydramine chloride, hexamethonium bromide, phentolamine, epinephrine, propranolol and isoproterenol were used to clarify the mechanism of the hypotensive action of majarol. The results of experimints were as follows; 1. In low dose (0.5-2mg/kg, i.v.), majarol showed a typical transient hypotensive effect and slight decrease in heart rate. In high dose (5-10 mg/kg, i.v.), majarol showed a typical transient and a subsequent prolonged hypotensive effect and a significant prolonged decrease in heart rate was followed. 2. The hypotensive effects of majarol was not abolished by the pretreatments with atropine sulfate, hexamethonium bromide and diphenhydramine. The pretreatment with phentolamine inhibited significantly the hypotensive effects of majarol and the pretreatment wtih majarol blocked markedly the hypertensive effect of epinephrine. The positive chronotropic effect of isoproterenol was not blocked by the pretreatment with majarol. 3. In low dose, majarol increased the amplitude and decreased rate of contraction, but in high dose, majarol inhibited the amplitude and rate of contraction of isolated frog heart.

      • Effects of Cyclobuxine D on the Electrocardiogram (ECG) and Heart Rate in Anesthetized Rats and Isolated Frog Heart

        이종화,박영현,조병헌,김유재,김종배,김천숙,차영덕,김영석,Lee, Jong-Hwoa,Park, Young-Hyun,Cho, Byung-Heon,Kim, Yu-Jae,Kim, Jong-Bae,Kim, Chun-Sook,Cha, Young-Dong,Kim, Young-Suk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86 대한약리학잡지 Vol.22 No.2

        본 실험실에서는 민간요법으로 말라리아와 성병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온 회양목(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에서 steroid성 alkaloid인 cyclobuxine D와 nonalkaloid인 buxuletin을 분리하였다. Buxuletin의 가토에 있어서 이뇨작용에 대해서는 본 실험실에서 보고한바 있으며 cyclobuxine D의 약리작용에 대한 보고는 지금까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실험에서는 새로운 항부정맥 약물의 밭견의 일환으로 cyclobuxine D의 적출 개구리 심장에 대한 작용과 마취시킨 흰쥐의 ECG와 심박동수에 대한 작용을 관찰하였다. Cyclobuxine D는 적출 개구리 심장에 대해 용량의존적 심근 수축력 감소를 나타냈으며 흰쥐에 있어서 현저한 심박동수 감소를 나타냈다. Cyclobuxine D는 흰쥐의 ECG에 있어서 PR interval과 P ${\alpha}T$ interval을 연장시키며, QRS complex와 PR interval의 심박동수에 대한 보상치인 PRc에 대해서는 고용량에서는 연장시키나 그 작용이 현저하지 않다. 이 결과로 보아 cyclobuxine D는 흰쥐의 ECG에서 A-V conduction과 ventricular depolarization에 주로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 되며 이는 기존의 antiarrhythmic drugs과 비교해 볼 때 quinidine sulfate와 유사성이 있다고 추정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earch for a new antiarrhythmic agent in natural plants. Extracts of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have been used as folk remedies of several diseases, including malaria and venereal disease, but any study on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this plant has not yet been carried out and its active ingredients have not been identified. In our laboratory, we isolated buxuletin (nonalkaloid) and cyclobuxine D (steroidal alkaloid) from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and reported their pharmacological actions: diuretic effects of buxuletin in rabbits and hypotensive effect of cyclobuxine D in rat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yclobuxine D on isolated frog heart and heart rate in urethane anesthetized rats. In order to clarify the mechanism of bradycardic effect of cyclobuxine D, we examined the changes of the ECG parameters (PR, QRS and R ${\alpha}$ T interval) produc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cyclobuxine D in anesthetized rats. Cyclobuxine D depressed the contractile force in isolated frog heart and exerted a dose-dependent bradycardic effect in anesthetized rats.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cyclobuxine D caused a fall in blood pressure and an increase in heart rate, but thos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Cyclobuxine D prolonged the PR interval and RaT interval (${\alpha}$ Tindicates the apex of T), but was without significant effects on the duration of the QRS complex and PRc in urethane anesthetized rats.

      • Cyclobuxine D의 흰쥐에 있어서 ECG와 심박동수에 패한 작용과 적출 개구리 심장에 대한 작용

        이종화(Jong-Hwoa Lee),박영현(Young-Hyun Park),조병헌(Byung-Heon Cho),김유재(Yu-Jae Kim),김종배(Jong-Bae Kim),김천숙(Chun-Sook Kim),차영덕(Young-Dong Cha),김영석(Young-Suk Kim) 대한약리학회 1986 대한약리학잡지 Vol.22 No.2

        본 실험실에서는 민간요법으로 말라리아와 성병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온 회양목(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에서 steroid성 alkaloid인 cyclobuxine D와 nonalkaloid인 buxuletin을 분리하였다. Buxuletin의 가토에 있어서 이뇨작용에 대해서는 본 실험실에서 보고한바 있으며 cyclobuxine D의 약리작용에 대한 보고는 지금까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실험에서는 새로운 항부정맥 약물의 밭견의 일환으로 cyclobuxine D의 적출 개구리 심장에 대한 작용과 마취시킨 흰쥐의 ECG와 심박동수에 대한 작용을 관찰하였다. Cyclobuxine D는 적출 개구리 심장에 대해 용량의존적 심근 수축력 감소를 나타냈으며 흰쥐에 있어서 현저한 심박동수 감소를 나타냈다. Cyclobuxine D는 흰쥐의 ECG에 있어서 PR interval과 R αT interval을 연장시키며, QRS complex와 PR interval의 심박동수에 대한 보상치인 PRc에 대해서는 고용량에서는 연장시키나 그 작용이 현저하지 않다. 이 결과로 보아 cyclobuxine D는 흰쥐의 ECG에서 A-V conduction과 ventricular depolarization에 주로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 되며 이는 기존의 antiarrhythmic drugs과 비교해 볼 때 quinidine sulfate와 유사성이 있다고 추정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earch for a new antiarrhythmic agent in natural plants. Extracts of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have been used as folk remedies of several diseases, including malaria and venereal disease, but any study on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this plant has not yet been carried out and its active ingredients have not been identified. In our laboratory, we isolated buxuletin (nonalkaloid) and cyclobuxine D (steroidal alkaloid) from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and reported their pharmacological actions: diuretic effects of buxuletin in rabbits and hypotensive effect of cyclobuxine D in rat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yclobuxine D on isolated frog heart and heart rate in urethane anesthetized rats. In order to clarify the mechanism of bradycardic effect of cyclobuxine D, we examined the changes of the ECG parameters (PR, QRS and R α T interval) produc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cyclobuxine D in anesthetized rats. Cyclobuxine D depressed the contractile force in isolated frog heart and exerted a dose-dependent bradycardic effect in anesthetized rats.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cyclobuxine D caused a fall in blood pressure and an increase in heart rate, but thos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Cyclobuxine D prolonged the PR interval and RaT interval (α Tindicates the apex of T), but was without significant effects on the duration of the QRS complex and PRc in urethane anesthetized 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