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채벌레 천적 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와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의 생물학적 특성 비교

        김정환,김황용,변영웅,김용헌,Kim, Jeong-Hwan,Kim, Hwang-Yong,Byoun, Young-Woong,Kim, Yong-H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국내종인 으뜸애꽃노린재와 유럽종인 미끌애꽃노린재의 알, 약충 발육기간과 성충의 산란수, 수명, 포식량 및 포장밀도에서 증가량을 비교하였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15{\sim}30^{\circ}C$에서 알 부화율은 각각 $46.7{\sim}88.2%$와 $65.0{\sim}89.9%$였고, 알기간은 각각 $3.1{\sim}14.9$일과 $3.1{\sim}13.5$일이었다. 두 종의 약충 발육기간은 각각 $9.4{\sim}42.8$일과 $9.3{\sim}42.0$일이었고, 약충기간 생존율은 각각 $2.4{\sim}96.5%$와 $4.3{\sim}80.6%$였다. 두 종의 산란수는 15, 20, 25, 30, $35^{\circ}C$에서 각각 28.1, 107.9, 123.6, 127.3, 18.1개와 101.8, 218.6, 224.5, 219.5, 15.7개였고, 성충수명은 각각 63.4, 40.1, 22.1, 18.3, 11.0일과 70.6, 66.4, 32.6, 34.5, 7.3일로 으뜸애꽃노린재에 비해 미끌애꽃노린재의 산란수가 많고 성충수명은 길었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온도와 일장에 의한 산란수는 $18^{\circ}C$, 16L:8D에서 각각 105.8개와 109.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1.0개와 63.0개였다. $25^{\circ}C$, 16L:8D에서 각각 142.4개와 191.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31.8개와 198.8개로 으뜸애꽃노린재는 $18^{\circ}C$, 10L:14D에서에 거의 모든 개체가 휴면하지만 미끌에꽃노린재는 휴면하지 않는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꽃노랑총채벌레 2령 하루 포식량은 각각 14.3마리와 10.9마리이다. 겨울작형 시설재배 파프리카에서 으뜸애꽃노린재는 5월 중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상순에는 꽃당 1.8마리로 증가하였다. 미끌애꽃노린재는 3월 중순부터 증가하여 6월 상순에는 꽃당 6.6마리로 증가하는 과밀도 현상을 보였다. With the comparison of native Orius strigicollis (Poppius) to European O. laevigatus (Fieber), we investigated b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al period, fecundity, life span, predation ability, and augmentation after relea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five temperature condition, $15^{\circ}C\;20^{\circ}C,\;25^{\circ}C\;30^{\circ}C$, and $35^{\circ}C$. In the case of O. strigicollis, egg period was $3.1{\sim}14.9$ days (hatchability: $46.7{\sim}88.2%$), and developmental period of nymphs was $9.4{\sim}42.8$ days (survival rate: $2.4{\sim}96.5%$). Fecundity at each temperature was 28.1, 107.9, 123.6, 127.3, and 18.1, respectively. Life span of adults was 63.4, 40.1, 22.1, 18.3, and 11.0 day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O. laevigatus, egg period was $3.1{\sim}13.5$ days (hatchability: $65.0{\sim}89.9%$), and developmental period of nymphs was $9.3{\sim}42.0$ (survival rate: $4.3{\sim}80.6%$) days. Fecundity at each temperature was 101.8, 218.6, 224.5, 219.5, and 15.7. Life span of adults was 70.6, 66.4, 32.6, 34.5, and 7.3 days, respectively. In long-day condition (16L:8D), fecundity of O. strigicollis and O. laevigatus was 105.8 $(18^{\circ}C){\sim}142.4(25^{\circ}C)$ and 109.5 $(18^{\circ}C){\sim}191.5(25^{\circ}C)$, respectively. In short-day condition (10L:14D), fecundity of them was 1.0 $(18^{\circ}C){\sim}31.8(25^{\circ}C)$ and 63.0 $(18^{\circ}C){\sim}198.8(25^{\circ}C)$, respectively. Daily prey consumption of second instar Frankliniella occidentalis was 14.3 and 10.9, respectively. In greenhouse, density of O. strigicollis begins to increase from mid May and peaked about early July (1.8 individual/flower), while that of O. laevigatus begins to increase from mid March and peaked about early June (6.6 individual/flower).

      • KCI등재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의 외부기생봉 굴파리좀벌 (Diglyphus isaea)의 생태적 특성 및 저장 조건 구명

        김정환,변영웅,김용헌,김황용,Kim, Jeong-Hwan,Byoun, Young-Woong,Kim, Yong-Heon,Kim, Hwang-Y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아메리카잎굴파리 외부기생봉인 굴파리좀벌의 온도별 알, 유충, 번데기 발육기간과 성충의 산란수, 기주체액 흡즙수, 성충수명, 저온 저장력 등을 조사하였다. 굴파리좀벌의 알기간, 유충기간, 번데기 기간은 $25^{\circ}C$에서 각각 1.3일, 4.5일, 6.3일이었다. 성충의 산란수, 기주체액 흡즙수, 성충수명은 $25^{\circ}C$에서 각각 305.3마리, 657.0마리, 25.1일이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영기별 굴파리좀벌의 산란선호성과 흡즙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각각 90.2%와 82.8%가 3령 유충에 집중되었다. 굴파리좀벌의 저온저장에 따른 50% 생존기간은 꿀물 20%희석 용액을 제공할 경우 $5^{\circ}C,\; 10^{\circ}C,\;15^{\circ}C$에서 각각 180일, 150일, 90일이었다. 굴파리좀벌 저온저장 후 산란수는 저장기간 30일, 70일, 140일에서 각각 190.8개, 104.0개, 89.4개였다.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glyphus isaea (Walker), an ectoparasite of Liriomyza trifolii (Burgess). At $25^{\circ}C$, development time of D. isaea was estimated as 1.3 days for eggs, 4.5 days for larvae and 6.3 days for pupae. Adult longevity was 25.1 days, and a female adult could lay 305.3 eggs throughout its lifetime. Number of L. trifolii parasitized or killed by the wasp was 962.2 individuals/adult. Most of all parasitized or killed larvae were identified as third instar. With 20% honeyed water as food source, half of the adults could survive 180 days at $5^{\circ}C$, 150 days at $10^{\circ}C$, and 90 days at $15^{\circ}C$. After storing at $10^{\circ}C$ with absolute honey for 30 days, 70 days and 140 days, a female adult in room temperature laid eggs 190.8 individuals, 104.0 individuals and 89.4 individuals, respectively.

      • KCI등재

        굴파리좀벌(Diglyphus isaea)을 이용한 시설재배 토마토 작형별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 밀도억제 효과

        김정환,변영웅,이관석,김황용,Kim, Jeong-Hwan,Byoun, Young-Woong,Lee, Gwan-Seok,Kim, Hwang-Y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서로 다른 세 가지 시설재배 토마토 포장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기생천적인 굴파리좀벌의 인위적방사에 의한 밀도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봄 작형(3-7월)은 4월 하순부터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밀도가 주당 1마리일 때부터 굴파리좀벌을 $m^2$당 0.5-1.7마리씩 6회(총 5.8 마리$/m^2$) 방사한 결과, 조사 시작기인 5월 17일에 비해 조사 종료기인 7월 6일의 아메리카잎굴파리 방제가는 97.6%였다. 방사종인 굴파리좀벌의 점유율은 88.9%로 우점 하였다. 여름 작형(6-10월)은 7월 상순부터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밀도가 주당 0.4마리일 때부터 굴파리좀벌을 $m^2$당 0.3-0.4마리씩 5회(총 1.8 마리$/m^2$) 방사한 결과, 천적의 효과가 나타나는 7원 22일부터 11월 3일까지의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평균 치사율은 84.4%였다. 그러나 방사종인 굴파리좀벌의 점유율은 13.8%로 매우 낮은 반면, 나머지 86.2%는 외부에서 유입된 자생 잎굴파리 기생봉들이 점유하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굴파리민좀벌(Chrysocharis penthus)이 58.5%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가을 작형(7-12월)은 9월 중순부터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밀도가 주당 0.7마리일 때부터 굴파리좀벌을 $m^2$당 0.4-1.3마리씩 4회(총 2.7마리$/m^2$방사한 결과, 조사시작기 인 9월 22일 대배 조사 종료기인 12월 16일의 아메리카잎굴파리 방제가는 85.7%였다. 방사종인 굴파리좀벌의 점유율은 83.4%로 우점 하였다. Biological control of Liriomyza trifolii (Burgess) using Diglyphus isaea (Walker) has been evaluated in tomato greenhouse, for three seasonal culture types: spring type (March-July), summer type (June-October) and autumn type (July-December). For spring type, totally 5.8 $individuals/m^2$ of D. isaea has been released at six times from late April, when the density of L. trifolii was about 1.0 individuals/plant. Corrected mortality of Liriomyza trifolii caused by parasitoids was 97.6% at early July, and the proportion of D. isaea was 88.9% of all parasitoids collected in the greenhouse. In the case of summer type, totally 1.8 $individuals/m^2$ of D. isaea has been released at five times from early July, when the density of 1. trifolii was about 0.4 individuals/plant. Corrected mortality of L. trifolii caused by parasitoids was 84.4% during the whole season, but the proportion of D. isaea was very low (only 13.8%). Immigrating parasitoids such as Chrysocharis penthus were synchronized to control the leafminer in the greenhouse. For autumn type, totally 2.7$individuals/m^2$ of D. isaea has been released at four times from mid September, when the density of L. trifolii was about 0.7 individuals/plant. Corrected mortality of f. trifolii caused by parasitoids was 85.7% at mid December, and the proportion of the D. isaea was 83.4%.

      • 양자화 왜곡에 대한 음성품질 평가

        김정환,Kim, Jeong-Hwa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5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0 No.4

        본 고에서는, 음성을 디지털로 부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발생되는 신호 대 양자화왜곡 비(Q)의 개념 및 CODEC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MNRU를 디지털 회로로 구현하는데 필요한 입력음성 신호레벨, 잡음의 통계적 성질 및 진폭제한이 음성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구현한 MNRU의 성능에 대해 주관평가 실험을 실시하여, 다른 나라의 주관평가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