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시공학 설계 개념을 이용한 자동차 현가장치의 최적 설계

        김정욱(Junguk Kim),이종원(Chongwon Lee),이희각(Heegak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02 한국자동차공학회 Symposium Vol.2002 No.11

        Concurrent engineering design methods can be applied to meet the demand for the quality product with lower<br/> production cost and time. In this paper, the optimal design of the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using concurrent<br/> engineering design concept is studied. The optimal design process of the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using<br/> concurrent engineering design concept is composed of a pre-processing design stage, an analysis stage and a postprocessing<br/> stage. In this paper, a method for kinematic design sensitivity analysis of a McPherson strut suspension<br/> system which is widely used for a front wheel suspension is proposed and then an optimal design based on the<br/> sensitivity analysis through this optimal design process is performed.

      • KCI등재

        키워드기반 특허 네트워크 진화에 따른 동종성 분석

        최진호 ( Jinho Choi ),김정욱 ( Junguk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3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6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는 다양한 네트워크들이 발견된다. 특히, 기술 및 학문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지식 네트워크는 지식이 생산되는 방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큰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중요성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지식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한 많은 네트워크 분석들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 그 중에서 동종성 계수는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이 비슷한 성향을 가진 노드들과 연결을 맺으려는 경향 수치로 나타낸다. 동종성 계수가 가지는 이러한 특성은 지식 네트워크로 간주 될 수 있는 키워드기반 특허네트워크에서 기술이 어떻게 진화하는지 확인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왜냐하면 지식 내트워크내 노드로 표현되는 키워드들 간의 관계들이 기술이 만들어지는 구조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에는 핵심 노드가 존재한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두 가지 가설을 세우고 이에 대한 검증으로 동종성 분석을 수행 하였다. 첫 번째 가설은 키워드 기반 특허 네트워크는 시간 흐름에 따라 비동종성을 띌 것으로 예측 하며, 동종성 분석을 통해 특허 네트워크가 진화함에 따라 비동종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하였다. 다음으로, 키워드 기반 특허 네트워크가 비동종성을 보일수록 클러스터링 계수 또한 낮아 질 것으로 예측하는 두 번째 가설에 대한 동종성 분석 결과, 네트워크의 동종성 계수가 낮아질수록 클러스터링 계수 또한 낮아진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두 번째 가설의 검증과정에서 확인 한 흥미로웠던 결과로써, 동종성 계수가 감소함에 따라 클러스터링 계수가 낮아지는 정도는 네트워크가 동종성을 보일 때 보다 비동종성을 보일 때가 훨씬 높았다. Various networks can be observed in the world. Knowledge networks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technology and research are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these networks help us understand how knowledge is produced. Therefore, many studies regarding knowledge networks have been conducted. The assortativity coefficient represents the tendency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having a similar property as figures.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of the assortativity coefficient help us understand how corresponding technologies have evolved in the keyword-based patent network which is considered to be a knowledge network. The relationships of keywords in a knowledge network where a node is depicted as a keyword show the structure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cess. In this paper, we suggest two hypotheses basedon the previous research indicating that there exist core nodes in the keyword network and we conduct assortativity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es. First, the patents network based on the keyword represents disassortativity over time. Through our assortativity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the knowledge network shows disassortativity as the network evolves. Second, as the keyword-based patents network becomes disassortavie, clustering coefficients become lower. As the result of this hypothesis, weconfirm the clustering coefficient also becomes lower as the assortative coefficient of the network gets lower. Another interesting result concerning the second hypothesis is that, when the knowledge network is disassorativie, the tendency of decreasing of the clustering coefficient is much higher than when the network is assortative.

      • UAV를 이용한 간사지 수심측량의 적용성 연구

        정세한(Sae-han, Jeong),권재현(Jay Hyoun, Kwon),김정욱(Junguk, Kim) 한국측량학회 2019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9 No.4

        서남해안은 해안선이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간사지가 넓게 발달되어 있다. 수심은 선박의 항행 안전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간사지의 수심을 측량하는 여러 방법 중 항공사진을 이용하는 방법은 소규모 지역에는 경제성이 떨어지고, 위성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은 최신성이 떨어지고, 에코사운드를 이용하는 방법은 선박이 접근하기 어려워 정밀한 측량이 어렵다. 본 연구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간사지 수심측량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 수심 측량방법으로 어려웠던 간사지 및 저수심 지역을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측량하고, 싱글빔을 사용한 기존 성과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선는 간사지가 넓게 발달한 전라남도 해남군 서흥리 일원에 고정익 무인항공기에 2,400만 화소의 카메라를 탑재하여 110~150m에서 중복율 60~80%를 주었고, GCP 간격은 500m, 검사점은 한 도엽에 3점을 설치하였고, 지상기준점의 위치는 Network-RTK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촬영된 사진은 각 장마다 촬영정보를 입력하여 자동영상 정합하였고, GCP와 검사점을 매칭하여 1m×1m 간격의 DSM을 생성하여 정사영상을 제작하였다. 정합된 정사영상의 지상기준점 RMSE는 X=0.0105m, Y=0.0091m, Z=0.0103m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대상지의 중첩부를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수심성과와 싱글 빔을 이용한 수심성과를 비교한 결과 평균 0 ~ 0.1m의 수심오차를 확인 할 수 있었고, 이는 수로측량 특 등급 수심별 허용오차 기준을 만족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무인항공기를 이용해 접근이 어려운 간사지 구간에 수심측량한 성과의 적용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정사영상과 수심에 조석값을 보정함으로써 해안선을 작도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존 해안선과 비교하여 해안선의 변화여부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