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전자변형식물의 검정기술 개발 현황

        김재환,김영록,김해영,Kim, Jae-Hwan,Kim, Young-Rok,Kim, Hae-Yeong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1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8 No.2

        1994년 처음으로 GM 토마토인 Flavr Savr가 시장에 나온 이후, 2010년 현재 140여 품목의 GM식물이 전 세계적으로 상업화되었다. GM식물들에 대한 안전성 승인여부의 확인 및 표시제관리를 위하여 이들 GM식물내로 도입된 삽입유전자의 정보를 이용한 검정방법이 도입되었으며, 또한 도입유전자의 발현된 단백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성 및 정량을 위한 면역학적 방법이 도입되었다. 본 총설에서는 국내 외적으로 개발된 콩, 옥수수, 카놀라, 면화 등의 GM식물에 적용된 multiplex PCR, real-time PCR 방법과 최신 개발 중인 microarray, 나노기술 등을 활용한 방법들을 조사하였다. Since the first commercial GM plant, the FlavrSavr tomato, authorized in 1994, more than 140 GM plants were authorized for marketing globally. For the authorization and labelling of GM plants, the detection methods for genes introduced and proteins expressed in GM plants were develop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is review presented the detection methods, conventional PCR, multiplex PCR and real-time PCR, for soybean, maize, canola and cotton as the dominant GM plants. Also, microarray assay and nanotechnology as new approaches for detection methods for GM plants were investigated.

      • KCI등재

        소프트웨어 오류 추정 기법을 활용한 공대지 사격 오류 요인 분석 모델

        김재환,최경희,정기현,Kim, Jae-Hwan,Choi, Kyung-Hee,Chung, Ki-Hyu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1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0 No.3

        This paper proposes a model to analyze the fault factors of air-to-ground weapon delivery utilizing software fault localization methods. In the previous study, to figure out the factors to affect the accuracy of air-to-ground weapon delivery, the FBEL (Factor-based Error Localization) method had been proposed and the fault facto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method. But in the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weapon delivery accuracy and the fault factors could not be revealed because the firing accuracy among several factors was fix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re precise fault analysis model driven through a study of the correlation among the fault factors of weapon delivery, and a method to estimate the possibility of faults with the limited number of test cases utilizing the model.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method is verified through the simulation utilizing real delivery data. and weapons delivery testing in the evaluation of which element affecting the accuracy of analysis that was available to be used successfully. 본 논문에서는 오류 검출을 위해 소프트웨어 오류 추정 기법을 활용하여 항공무장 시스템인 공대지 사격의 오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고 모델을 기반으로 오류 요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공대지 무기체계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오류 요소를 분석하고 결함위치추정 기법인 FBEL(Factor-based Error Localization)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실사격 자료에 적용하여 오류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요인 중 하나의 요인인 정확도를 고정하여 적용하므로 다양한 사격 정확도 변화에 따른 사격 오류 발생 요소와의 상관관계는 밝히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격 오류 요소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보다 세밀한 오류 분석 모델을 제시하고 시간과 비용이 제한적이거나 테스트 케이스가 적은 상태에서 오류 발생 가능 요소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실사격 자료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효용성을 입증하였으며, 무기체계 공대지 시험평가에서 어떤 요소들이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데 성공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멀티웨이블릿 변환영역에서 계수정규화를 이용한 Soft-Threshold 기법의 영상신호 잡음제거

        김재환,우창용,박남천,Kim, Jae-Hwan,Woo, Chang-Yong,Park, Nam-Chun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7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8 No.4

        웨이블릿 축소 기법으로 영상신호의 잡음을 제거할 때, 웨이블릿 계수들이 상관관계를 갖는 경우 잡음제거 효과가 저하된다. 멀티웨이블릿 변환된 계수 들은 사전 필터의 영향으로 상관관계를 갖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V Sterela에 의해 Universal 경계 값 적용을 위한 사전 필터를 새로 설계하거나 가중 값을 적용하는 기법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웨이블릿 변환 영역에서 웨이블릿 축소 기법의 잡음제거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역의 계수를 추정된 잡음편차로 나누는 계수 정규화기법을 Universal, SURE 및 GCV 경계 값에 적용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시도를 하였다. 각 경계 값들에 대한 PSNR을 비교하여 이 기법의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In case of wavelet coefficients have correlation, in image signal denoising using wavelet shrinkage denoising method, the denoising effect for the image signal is reduced when the wavelet shrinkage denoising method is used. The coefficients of multiwavelet transform have correlation by pre-filters. To solve the degradation problem in multiwavelet transform, V Sterela suggested a new pre-filter for the Universal threshold or weighting factors to the threshold.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denoising effect in the multiwavelet transform, the coefficient normalizing method that the coefficient are divided by estimated noise deviation is adopted to the transformed multiwavelet coefficients in the course of wavelet shrinkage technique. And the thresholds of universal, SURE and GCV are estimated using normalized coefficients and tried to denoise by the wavelet shrinkage technique. We compared PSNRs of denoised images for each thresholds and confirmed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 Tongue Cancer 환자에서 PET/CT 검사 시 Open Mouth 촬영법의 유용성 평가

        김재환,윤종준,정지욱,김정욱,황주원,지혜인,Kim, Jae Hwan,Yun, Jong Jun,Jung, Ji Wook,Kim, Jung Wook,Hwang, Ju Won,Ji, Hye I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6 핵의학 기술 Vol.20 No.2

        Tongue cancer는 혀에 생기는 악성종양으로 전체 암의 1.8%, oral cancer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기 진단, 전이유무, 병기설정 등을 위해 PET/CT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Tongue cancer 환자의 PET/CT 검사 시 close mouth 상태로 Torso를 촬영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겹침이나 인공물의 영향으로 병소부위가 명확히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이에 open mouth로 PET/CT 검사 시 발생되는 변화와 그에 따른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한다. 20명의 환자(남 15명, 여 5명)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먼저 close mouth 상태로 Torso 촬영 후 open mouth 상태로 1bed 추가 촬영하였다. Tumor(T), Normal Tongue(NT), Lymph Node(LN)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표준화섭취계수(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SUV_{mean}$, $SUV_{max}$를 측정하여 Background(Carotid artery) SUV를 빼주었다. Tumor size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육안적 영상 해상도 평가는 blind test를 진행하였다. 비모수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통해 통계 분석하였다. Tumor에서 SUV는 open mouth 검사 시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normal tongue과 lymph node에서는 소폭의 변화가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umor size 변화와 blind test를 통해 전체적으로 비슷하거나 높은 영상 해상도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pen mouth PET/CT 검사가 close mouth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완벽한 대안법이 될 수는 없지만 open mouth를 통해 구강 내 다른 구조물과의 겹침이나 tumor의 경계면을 조금 더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ngue cancer is 1.8% of all cancer tumors occur in the tongue, it is known that the high incidence enough to account for 75% of oral cancer conducted a PET / CT examination for early diagnosis, metastasis, staging, etc. and. Tongue when PET / CT scan of a cancer patient and a Torso taken to close mouth lesions if the condition was caused due to the overlapping or corresponding artifacts are not clearly obser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s that occur during PET / CT scan with open mouth and its usefulness und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15 to March 2016 complained of herein by May 21 had received a diagnosis of tongue cancer underwent PET / CT sca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target (16 males, 5 female). The first was taken to close mouth Torso state, it was taken to add 1 bed open mouth condition. Tumor (T), measuring the Normal Tongue (NT), Lymph Node (LN) standard intake coefficient by setting a region of interest in the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SUVmean, the average value was measured SUVmax, drawn to each region of interest 3 times and Background (Carotid artery) was out of the SUV. In Chapter 3 of the slice to the tumor clearly visible by setting the region of interest to measure the change Tumor size was calculated average value. Gross Image resolution assessment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were divided into 1-5 points by the Radiation 7 people in 2, more than five years worked in specialized nuclear medicine compare to proceed with the blind test nonparametric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SPSS ver.18) Results $SUV_{mean}$ T's were in close mouth $5.01{\pm}2.70$ with open mouth $5.48{\pm}2.88$ (P<0.05), $SUV_{max}$ were respectively $8.78{\pm}5.55$ and $9.70{\pm}5.99$ (P<0.05). $SUV_{mean}$ in the NT were respectively $0.43{\pm}0.30$ and $0.34{\pm}0.24$ (P=0.20), $SUV_{max}$ was $0.56{\pm}0.34$ and $0.45{\pm}0.25$ (P=0.204). LN $SUV_{mean}$ were respectively $1.62{\pm}1.43$ and $1.69{\pm}1.49$ (P=0.161), $SUV_{mean}$ was $2.09{\pm}1.88$ and $1.99{\pm}1.74$ (P=0.131). Tumor size change is close mouth $4.96{\pm}4.66cm^2$ $5.33{\pm}4.64cm^2$ with 7.45% increase was (P<0.05), gross image resolution evaluation is $2.87{\pm}0.73$, $3.77{\pm}0.68$ with open mouth examinations 30.5% increase was (P<0.05). Conclusion Tumor SUV on the changes that had an increase in open mouth during inspection, the normal tongue and lymph nod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slightly. It is also one open mouth PET / CT scan will provide improved image to all patients with tongue cancer, but it could be confirmed that similar overall through the blind test, or tumor size changes and showing a high resolution image. It can be the perfect alternative method for problems that occur when the close mouth Open mouth PET / CT scan, but is believed to be through the open mouth to observe the boundary of overlapping or tumor of the oral cavity other structures a little more clearly. Tongue cancer patients how to recommend that the shooting further open mouth PET / CT.

      • KCI등재

        천연기념물 제415호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의 사면안정성 평가 및 낙석 위험 범위 설정

        김재환,강무환,공달용,좌용주,Kim, Jae Hwan,Kang, Mu Hwan,Kong, Dal-Yong,Jwa, Yong-Joo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5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천연기념물 제415호, 이하 주상절리)에 대한 사면안정성 평가 및 낙석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낙석의 최대 에너지, 도약높이, 이동거리를 산출하였으며, 낙석 위험 범위를 설정하였다. 주상절리가 분포하는 사면의 경우 왼쪽(SW)에서 오른쪽(NE)에 이르기까지 93.79°, 131.99°, 165.54°, 259.84°의 경사방향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부채꼴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면의 경사방향을 따라 4구간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구간별 노출되어 있는 주상절리의 단면에서 개별적인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측정한 결과 1구간은 125개, 2구간은 261개, 3구간은 262개, 4구간은 43개로 확인된다. 평사투영법을 이용한 각 구간별 사면 안정성 평가 결과, 평면 및 전도파괴 영역에 해당되나 이는 노출된 주상절리면의 개별 방향성에 대한 해석 결과로 주상절리에 대하여 평면 및 전도파괴의 가능성을 진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재에도 발생되고 있는 낙석으로부터 위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낙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측정된 낙석의 최대 이동거리는 약 66 m이며, 낙석 위험 범위는 사면 아래 전 영역이 해당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낙석의 거동은 지형학적 요인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굴러떨어져 낙하지점을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에 낙석으로부터 안정성 확보를 위한 낙석 방지시설 설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lope stability of the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 (Natural Monuments # 415) and calculated the maximum energy, jumping height and moving distance of rockfalls using a simul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established the range of rockfall risk. The slopes of the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 have dip directions of 93.79°, 131.99°, 165.54° and 259.84° from left (SW) to right (NE). Furthermore, they have a fan-like shape. The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s are divided into four sections depending on the dip directi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discontinuous face show that zone 1 is 125, zone 2 is 261, zone 3 is 262, zone 4 is 43. The results of slope stability analyses for each section using a stereographic projection method correspond to the range of planar and toppling failur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iagnose the type of failure, risk evaluation of currently falling rocks requires further focus. The maximum movement distance of a rockfall in the simulation was approximately 66 m and the rockfall risk range was the entire area under slop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forecast where a rock will fall as it rolls in various directions due to topographic factors. Thus, the installation of measures to prevent falling is suggested to secure the st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ockfall simulations and its probabilistic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