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이 연수의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이경,안지윤,김현정,김지혜,유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1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김이경?박상 완?김성기, 2015).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교수-학습 활동으로 실현시키는 주체로서, 그들이 얼마나 새로운 교육과정의 취지를 이해하고 관심을 가지는지에 따라 교육과정 실행의 정 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김민환, 2009; 박한숙, 2011, 2013). 따라서 정부의 적극적인 주도 하에 개발된 교육과정일지라도 교사들의 관심 수준이 낮으면 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구현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개혁은 교사들의 관심과 실천 의지를 제고시키기 위 한 연수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서도 학교 현장 적용을 앞두고 현직 교원들의 관 심 정도와 이해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교원연수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 KCI등재후보

        국·내외 발레 아카데미 예술교육프로그램의 고찰

        김이경,신현군 한국체육철학회 200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2 No.1

        In These days, technical development has released the time in a labor, and people are able to have much more their own time than ever before. In this condition people have an eager desire to enjoy the cultural benefits. But we can catch a hazard peril in this situation. Because people in the contemporary, who cannot help striving to maintain their social status and accomplish their social purpose, have no time to care themselves and come true their own dream in fact. Education of art has a very long history from the ancient time. Since that time the human being has been educated the others through art for the purpose of succeeding their own knowledge and the culture, and building up their descendants in harmony. As a result, we should organize the educational program in a view of cultivating the harmonious men, and it should be accomplished as a system of a lifelong education step by step. Besides, by developing and diffusing the educational system of ballet, not just as a teaching or training of technique but as an instruction for the cultivation of aesthetic sentiments, we have to make it a footstone for the popularization of ballet and the arrangement of a basis about it. 인간에게는 본성적으로 아름답고 선한 것을 추구하려는 열망이 내재되어 있다. 인류가 존재한 이래 수많은 예술이 행해졌고, 찬란한 문화가 꽃피게 되었다. 그러나 인류의 삶의 방식과 사고가 변화할 때마다 예술 역시 그에 따라 다채롭게 변화, 발전되었다. 이러한 변화발전의 역사를 가능케 한 원동력은 인간에게 내재된 미에 대한 열망이지만, 그것을 유지시켰던 것은 계승과 발전을 위한 교육 덕분이었다. 즉, 인간은 예술을 향유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그것을 제작하고 경험하고 향유하기 위한 교육을 받아왔던 것이다. 그러나 실제적인 삶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식 전수가 아닌 예술교육이 그 중요성을 인정받게 된 것은 예술이 구현하는 조화롭고 아름다운 원리가 인간의 인격을 형성하고 또 조화롭게 고양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예술교육에 대한 기대는 시대적 요청과 함께 현대인의 예술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더욱 증폭되고 있다. 예술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학교에서 행해지는 평준화된 예술 교육에 부족함을 느끼고, 좀 더 다양하고 전문적인 예술교육을 받고자 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장르의 예술 및 문화 단체에서 다양한 교육방법을 고안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 나가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러한 예술교육을 통해 예술적 체험을 해 보는 것뿐만 아니라 그러한 경험을 통해 다양한 감각적 창의력과 독창성 및 사고력과 종합 분석하는 능력도 계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이다. 이러한 능력함양은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체득해야 하는 경쟁력 있는 학습으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가운데에서도 무용에 한정하고, 그 가운데서도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이 행해지고 있는 국.내외 발레 아카데미의 교육 프로그램을 고찰하여 보았다.

      • KCI등재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motional Chang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rough the Agro-Healing Program

        김이경,류자영,윤숙영,최병진 인간식물환경학회 2020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3 No.5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agro-healing program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motional chang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Methods: We sent an official letter to D Office of Education with information and recruitment for the agro-healing program. Then D Office of Education has sent the official letter to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jurisdiction to recruit parent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with their children. The subjects were recruited by order of application, and 27 families participated, but 20 parent-child teams who attended all sessions and ful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ultimately selected. From October 12 to November 16, 2019, a total of 6 sessions of the programs were held once a week at a care farm in Gyeongsangbuk-do. In the morning, they participated in a program that utilizes the resources of plants and animals in the care farm, and later participated in an indoor horticultural program in the afternoon. Results: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test,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agro-healing program (p = .047).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sentence completion tests written by the children, but their potential perception or attitude towards their parents changed more positively than before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sentences. Conclusion: The agro-healing program could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by improv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children’s emotional attitude towards their parent.

      • KCI등재

        교원의 학생지도관(PCI)이 학교폭력 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이경,정시영,김성기,한유경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학생에 대한 교원의 신념과 지도방식이 학생들의 폭력적 행동 여부에 영향을 미 친다는 가정 하에, 교원의 학생지도관(PCI)이 학교폭력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목적으 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원의 학생지도관과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 수준, 이러한 인식의 배경변인별 차이, 두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방법은 설 문조사 방법으로, Willower, Eidell, and Hoy(1967)가 제작한 학생지도관(PCI) 측정도구를 활 용하여 전국 586개 초·중등학교의 교사 5,135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기술통계, t검 증,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원들의 학생지 도관은 전체적으로 인본주의적 성향보다는 보호감독적 성향에 치우쳤으며, 학교폭력의 심각 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그리 높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원의 학생지도관과 학교폭 력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성별과 같은 개인 특성뿐만 아니라 학교 소재지, 유형, 규모 등 학교 특성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원이 보호감독적 학생지도관을 견지할수록 학 교폭력의 심각성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원에 대한 학생지도 전문적 연수를 위시한 학교폭력 예방과 대책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suming that teachers’ belief and attitude in students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on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effect of teachers’ Pupil Control Ideology(PCI) on the level of school violence.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level of teachers’ PCI and the perception on school violenc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effect of PCI on the level of school violence. A survey method utilizing PCI inventory developed by Willower, Eidell and Hoy(1967) was employed. The responses of 5,135 teachers in 586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Korean teachers show custodial tendency towards students rather than humanistic tendency. In addition, teachers’ PCI and the perception on the level of school violence show differences depending upon the teacher and school characteristics. Finally,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CI and the level of school violence.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eacher factor in preventing school violence, and draw a few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teacher in-service education.

      • KCI등재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과 교사만족도 관계에서 교사 및 학교 특성의 조절효과

        김이경,민수빈,김현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과 교사 만족도 수준 및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교사 개인과 학교 특성을 이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로 설정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개발원「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4주기 중학교 데이터(2013년)의 교사 6,496명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구조방정식 모형 및 조절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장의 분산적 지도성에 대한 인식이나 교사 만족도는 모두 양호한 편이었지만 교사의 성별, 학력, 담임 여부, 직위나 학교의 소재지, 설립 유형에 따라 인식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은 교사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학력, 직위, 담임여부와 같은 교사 개인 특성 및 근무학교 소재지, 설립유형과 같은 학교 특성은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과 교사 만족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 발휘가 교사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변수 간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서 교사 개인이나 학교 특성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 역량과 교사 만족도 제고에 필요한 시사점 및 제도적 실행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school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and teachers’ satisfaction level, along with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 and school factors as modera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Utilizing the survey data of 6,442 middle school teachers across South Korea extracted from the 「An Analysis of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Its Actual Condition」 administer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uch methods a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are applied. Data analyses show that the levels of teachers’ perception on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as well as their job satisfaction are relatively higher. Their perceptions, however, show statistical difference depending upon their personal backgrounds as well as school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their exis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ed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teachers’ satisfaction, while those moderator variables such as teachers’ position, education level, school location and type affect the strength of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study reaffirms the importance of school context as well as shared responsibilities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n boosting the level of teachers’ satisfaction toward their jobs and schools.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