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周易』의 生生之理와 서예의 생명정신에 관한 연구

        김응학(Kim Eung-hak) 한국서예학회 2005 서예학연구 Vol.6 No.-

        In China, artistic spirit and the idea of aesthetics were greatly affected by the thinking in the science of divination, in particular, by the vital spirit in 'the aspect of the infinitely changing way of Heaven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continue to be generated and circulated' and 'infinite generation', which are dealt with by the Book of Changes. I have the view that Chinese works of art can become living and fine ones only if they basically contain Chinese vital sentiment and aesthetic sense. The works ar! e underlain by an aesthetic sense based on the natural principle that all living things are generated and spread, which is dealt with by the Book of Changes. The book is characterized by man understanding the attribute of heaven and earth as ‘repeated generation’, that is, the creativity of vital power. The thinking which became the core of Chinese aesthetics was also applied as it was to calligraphy. In the history of Chinese aesthetics the question of beauty is closely related to that of life. From the viewpoint of life, beauty affirms or expresses its development and creation. Thus, no life means no beauty. In essence, calligraphy is not only linear art but also dynamic art. Calligraphy can be said to have formalized thinking about changes as one dot, one stroke and one letter. It realizes repeated generation in the process in which heaven sympathizes with earth. The generation is basically performed by means of the equal relation between yin and yang. In conclusion, changes refer to 'the natural principle that all living things are generated and spread' according to the sympathy of heaven with earth and that of yin with yang. The! principle was applied as it was to calligraphy, which could contain vitality and which could function as a character and other art. Calligraphy starting from the vital spirit of repeated generation by the motional changes of one yin and one yang is basically not a dead thing but a living thing. Correct and living calligraphy requires understanding the natural principle that all living things are generated and spread by one yin and one yang in nature. A calligrapher changes the experience of motionality about cosmic life into the pursuit of vital phenomena in the creation of calligraphic forms. Like this, calligraphy was conceived by the cosmic spirit based on the natural principle that all living things are generated and spread in the Book of Changes. From the angle of art classification science it is spatial art. For this reason, its forms make their appreciators feel their motion and change even though they seem stopped and fixed. That is, even one small dot in it is full of vigor and taste in motion and change. Such thinking is just by means of the principle. 중국에서 역학적 사유는 중국예술정신과 미학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周易』에서 말하는 生生之道와 生生不已의 생명정신이 많은 영향을 주었다. 중국의 예술작품은 기본적으로 중국인의 생명정조와 미감을 담아야만 살아있는 작품이 되고 명품이 될 수 있다고 보는데, 그런작품의 밑바탕에 깔린 사유는 『周易』에서 말하는 生生之理라고 하는 주역적 미의식이다. 『周易』의 특징은 人間이 天地의 속성을 ‘生生’ 즉 생명력의 창조력으로 파악하는 것에 있으며, 『周易』의 이러한 사유는 중국미학의 핵심이 되었고, 서예에도 그대로 적용이 되었다. 중국미학사에서 美의 문제는 생명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생명의 관점에서 보면 美는 즉 생명의 발전과 창조를 긍정하거나 표현한다. 그러므로 생명이 없으면 美도 없는 것이다. 서예는 본질적으로 線의 예술일 뿐만 아니라 動的인 예술이다. 서예는 易의 사유를 하나의 점․획․글자로 형상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천지가 교감하는 과정 속에서 生生을 실현한다. 이 같은 生生은 기본적으로 陰陽의 對待관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易에서는 천지와 음양의 감응에 따른 生生之理를 말한다. 이 생생지리가 서예에 그대로 적용되어 서예가 생명성을 담아 낼 수 있게 되었고, 문자와 다른 예술로서 기능하게 될 수 있었다. 一陰一陽의 운동변화에 의한 生生의 생명정신에서 출발한 서예란 기본적으로 死物이 아니라 活物이다. 올바른 서예, 살아있는 서예가 되려면 자연의 一陰一陽의 生生之理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서예가의 우주 생명에 관한 운동성의 체득은 서예 형상의 창조 중에서 생명 현상에 대한 추구로 바뀌게 된다. 이처럼 周易의 生生之理에 바탕한 우주정신은 서예를 배태하였다. 예술분류학의 각도에서 말하자면 서예는 공간예술이다. 이 때문에 서예의 形이 비록 정지되고 고정된 것처럼 보이더라도 오히려 사람들에게 운동과 변화를 느끼게 한다. 즉 서예에 있어서 하나의 작은 점이라 할지라도, 운동과 변화의 생기와 趣味가 충만한 것이다. 이런 사유는 바로 『周易』의 生生之理에 의한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素菴 玄中和 ‘遊筆’의 審美自由

        김응학(Kim Eung hak) 한국서예학회 2018 서예학연구 Vol.32 No.-

        素菴 玄中和가 은거한 서귀포의 공간은 권력이나 名利 등, 外物에 얽매인 욕망의 공간이 아니다. 한가롭게 자연의 변화에 따라 소요하고 자연이 제공하여주는 넓은 바다의 즐거움을 누리면서 심성을 도야하고, 교육과 예술을 실현하는 공간이다. 제주도 서귀포는 소암 이전에도 많은 사람들이 살다간 공간이다. 하지만 서예술의 공간으로서 의미가 부여된 된 것은 소암이 그 곳에서 태어나 자리를 잡고 난 이후 부터이다. 소암의 서예미학세계는 物我合-하여 자연에 회귀하고자하는 심미적 즐거움의 세계이다. 따라서 소암의 ‘人天合-’사상은 서예미와 관련하여 일관되게 즐거움의 자유세계로 나타난다. 소암은 사람의 품격을 귀하게 여기면서 자연과의 자유로운 조화를 중시한다. 소암의 ‘遊筆’的 삶은 자신의 본성과 합치된 삶이었다. 그는 고향 서귀포에서 書作을 하면서 道를 즐겼다. 소암은 당시의 시대적 어려운 상황을 경험하면서, 자연스럽게 서예에 심취하여 스스로 樂道의 심미상태를 여백 속에 필묵으로 녹여내었다. 이러한 점은 외물에 구속되지 않는 은사들의 전형적인 삶이기도 하다. 소암의 ‘유필’은 무한의 道를 유한의 서예로 변화시키고, 유한의 서예를 무한의 道로 다시 전환시키고자 하는 생명의 여정이다. 이것은 소암의 심미적 자유정신이 깃들어 가는 과정이다. 본고는 서귀포에서 한 시대를 살다간 소암의 筆隱的 삶과 象德의 서예 품격미 추구라는 심미의식, 그리고 天理가 流行하는 遊心·遊筆의 생명정신이 ‘소암체’에 어떻게 체현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Jejudo Seogwipo where Soam Hyeon Junghwa has amused with a brush is not the space of desire that is bound by the outside things such as power or fame. It is the place to cultivate the mind and to realize education and art while leisurely wandering as nature changes and enjoying the pleasures of the wide sea that is provided by the nature. Jejudo Seogwipo is the space where many people have lived before Soam. However, it has been given meaning as the space of calligraphic art since Soam was born and settled as a calligrapher there. Soam’s aesthetic world of amusing with a brush is a world of aesthetic pleasure to return to nature in harmony with nature. Therefore, Soam’s thought of unity of man and nature’ is expressed as the unconstrained world of enjoyment in relation to the calligraphic beauty. Soam regarded human dignity as precious and emphasized the unconstrained harmony with nature. Soam’s life of ‘enjoying the Way while amusing with a brush’ in harmony with his own nature. He enjoyed the Way through working on calligraphy at home in Seogwipo. Soam experienced the difficult situation of the times and was naturally absorbed in the calligraphy. Therefore, he portrayed his aesthetic state of enjoying the Way with chinese ink painting on the space. It was the typical life style of a recluse who was not bound by the outside things. Soam’s life of ‘enjoying the Way while amusing with a brush’ was a journey of lives that tried to transform the infinity Way into a finite calligraphy and transform the finite calligraphy into the infinite Way again. It was the process that Soam’s aesthetic free spirit was indwelling. This paper examined how Soam’s life style of amusing with a brush, his aesthetic consciousness of calligraphy in pursuit of the beauty of calligraphic dignity of embodying virtue and his life spirit of wandering in the mind and the art that the natural principle spreaded realized in Soam’s style of calligraphic handwriting.

      • KCI등재

        眞 ․ 善 ․ 美의 書藝美學的 理解

        김응학(Kim, Eung-hak) 한국서예학회 2010 서예학연구 Vol.16 No.-

        Wether Confucian or Taoist, thought of unity and harmony of human and nature is the beginning of philosophy in east asia. Aesthetics of east asian is built on the philosophical base above-mentioned. Aesthetics in Confucianism occupied essential position establishing framework of east asian aesthetics, and aesthetics in Taoism became it's fresh and blood. East asian aesthetics and art theory have argued that truth, goodness and beauty are the unified. Originally, truth, goodness and beauty came from a part of philosophy in western modern aesthetics. Although beauty is placed within the domain of art, truth and goodness are put in the same area as well because truth, goodness and beauty are regarded as one in east asian aesthetics and art theory. The reason that east asian aesthetics has the view of truth, goodness and beauty as one is that beauty belongs to the world of Tao. Therefore, calligraphy in east asia (east asian calligraphy doesn't mean simply beautiful handwriting. It is beyond the beautiful or not.) emphasizes and expresses the artistic effect of Tao, and becomes a part of the world of infinity symbolizing Tao. Sensual awareness/artistic view(意象) composed with two basic elements, mind(情) and the stage-represented-by-mind(景) in art constructs essence of east asian aesthetics. The ultimate state of sensual awareness/artistic view(意象) is stage of unison/harmonizing(境界), and the border where the subjective emotion of an artist meets the objective things/artistic conception(意境) is that stage of unison/harmonizing(境界) is represented in the world of art. For this reason, east asian aesthetics and art theory made stage of unison/harmonizing of Tao, not beauty, become their main theme. Art means to rise the state of human life. That is, stage of unison/harmonizing in art has same meaning with stage of unison/harmonizing in human life. The supreme sensual awareness/artistic view (意象) is wordless-and-self-transformation(無言獨化), and the supreme spiritual stage of east asian calligraphy(書境) is stage of Tao. And the supreme stage of human(人境) is Tao being aware of fundamentals of life. Thus, the stage of art(藝境), spiritual stage of east asian calligraphy(書境) and stage of Tao(道境) become trinity of east asian aesthetics and art theory. It makes Tao of infiniteness become art of finiteness and inversely, art of finiteness turn Tao of infiniteness. This is the key of spirit of aesthetics on east asian calligraphy 동양의 철학은 儒家나 道家를 막론하고 모두 ‘天人合一’의 사상에서 출발한다. 동양미학이나 서예미학도 바로 이러한 철학적 기초위에서 수립된 것이다. 유가미학 이 동양미학에서 뼈대를 이루는 핵심적 지위를 차지하였다면, 도가미학은 그 혈육이 되었다. 서예미학은 眞 ․ 善 ․ 美의 合一을 강조한다.眞 ․ 善 ․ 美는 본래 서양현대미학에서 철학의 한 분과로부터 출발한 것이다. 예술은 당연히 美를 말해야 하지만, 동양미학 ․ 서예미학은 眞 ․ 善 ․ 美가 서로 분리될 수 없다. 동양미학 ․ 서예미학은 美를 말하면서 그 美를 眞 ․ 善과 함께 관련지어 거론하는 이유는, 道의 세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예는 道의 예술작용을 강조하고 표현하며, 道를 상징하는 무한의 세계라 할 수 있다. 예술에서 情과 景이라는 두 가지 기본요소로 구성된 意象은 동양미학 ․ 서예미학의 핵심을 이룬다. 意象의 최고 형태는 境界인데, 예술가운데 구현된 것은 意境이 된다. 그래서 美가 아닌道의 境界가 서예뿐 만 아니라, 동양미학 ․ 서예미학의 주제어가 되었다. 예술은 인생경계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일이다. 즉, 예술경계는 바로 인생경계라할 수 있다. 최고의 意境은 無言獨化이고, 최고의 書境은 눈으로 봄에 道가 거기에있는 道境인 것이다. 그리고 최고의 인생경계는 생명의 의미를 깨닫는 道의 세계이다. 따라서 書境, 藝境, 道境, 人境은 동양미학 ․ 서예미학에서 일체화가 되어있다.그러므로, 인간은 예술을 통하여 무한의 道를, 유한의 藝術로 변화하게 하면서, 또유한의 書藝를 무한의 道로 변화하게 하는 것이다. 곧 서예미학정신의 비밀이 깃들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본고는 바로, 서예라는 이러한 아이콘이 서양미학 ․ 예술학의 정신과 기본적으로 다르게 출발하고 있음을 고찰한 것이다.

      • KCI등재

        "여백(餘白)"의 생명미학(生命美學)에 관한 고찰

        김응학 ( Eung Hak K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2 동양예술 Vol.19 No.-

        동양예술은 ‘餘白’을 상당히 중시한다. 서예, 회화, 시가, 음악, 건축 등, 모든 예술이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餘白’에 대해서만은 일치하였다. 작품 속에 큰 공간을 남겨두는 것은 동양고유의 미학적 현상이다. 또, ‘餘白’을 좀 더 포괄적으로 사용하는 개념으로는 ‘無’, ‘虛’가 있다. 동양예술에서 ‘虛’는 외관상으로 ‘虛’이지만 내적으로는 ‘實’이다. ‘實’은 존재의 직접적인 암시이다. 그러나 이미 나타난 ‘實’보다 장차 나타내려고 하는 ‘虛’가 더 근본적이다. ‘虛’는 표면적인 ‘實’보다 더욱 참다운 ‘實’이며, 이미 이루어져 있는 것이 ‘實’이라면, ‘虛’란 더욱 ‘實’이 되려고 하는 경향성을 가진다. 따라서 여기서 말하는 ‘虛’란 ‘實’을 낳는 ‘餘白’이라는 점이다. 동양예술에 있어서 ‘餘白’의 기법 중, ‘虛와 實’의 표현은 작가가 ‘實’을 통해서 회화의 美를 표현하고, ‘虛’를 통해서 정신의 美를 암시한다. ‘虛’는 ‘實’을 전제로 진정한 의미를 갖게 되고, ‘實’은 ‘虛’를 통해서 완성된다. 수묵화 속의 ‘實’은 黑으로 표현되며, 아무것도 표현되지 않은 ‘餘白’부분은 ‘虛’가 된다. 특히 문인화는 ‘餘白’ 속에 그림을 그린 취지나, 마음을 담은 詩句 등을 적는다. 이것은 ‘虛’가 장차 뜻을 갖게 되는 ‘實’ 이라는 의미이다. 또 ‘虛와 實’은 서로 상생한다. 이것은 예술의 창작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상과 같이, 동양의 ‘餘白’은 유가의 後素, 불가의 空, 도가의 無爲사상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餘白’이다. 이러한 철학적 기초를 이해하지 않으면 진정으로 동양의 ‘餘白’을 이해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동양예술도 제대로 감상할 수 없다. 따라서 본고는 ‘無’와 ‘虛’가 동양예술에서 어떠한 美感을 주었으며, 그것은 ‘餘白’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생명미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The blank-space has very significant meaning in East-Asian art. All kinds of art, such as calligraphy, painting, poetry, music, architecture, and so on, held almost same view on this matter. To leave some large space for art works is an aesthetic phenomenon native to East-Asia. Nothingness and emptiness are extended meaning of the blank-space. Emptiness is just emptiness on the exterior, but it is fullness on the interior in East-Asian art. fullness directly implies being. However, emptiness is more fundamental than fullness already appeared. Emptiness is true fullness rather than superficial fullness. Fullness means what is already occurred, on the other hand, emptiness means a tendency to become fullness. Therefore emptiness mentioned above is the blank-space to give birth to fullness. In East-Asian art, the technique creating the blank-space and the expression of emptiness and fullness uncover the beauty of painting through fullness, and imply the beauty of spirit through emptiness. When emptiness is premised on fullness, it can have its true value, and when fullness is with emptiness, it can be completed. Fullness appears as black and the black-space partly becomes emptiness appearing as white on ink-and-wash painting. Especially, writings or poetries to hold the artist’s mind and intention are on painting in the confucian-scholars’ painting. This means emptiness becomes fullness with value. There is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the relationship is connected with creation of art. As written above, the blank-space in East-Asia consists of the Confucian’s discussion on the black ink on the white ground, the Buddhist’s concept of emptiness, and the Taoist’s thought of nothingness. Understanding those philosophical grounds is the essential step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East-Asian art and the blank-space. The meanings of nothingness and emptiness to aesthetic sen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the blank-space from the view of life aesthetics are considered in this paper.

      • KCI등재

        유가미육(儒家美育)과 서예의 품격(品格) 고찰(考察)

        金應鶴 ( Kim Eung-hak )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9 No.-

        유가미육은 공자의 仁學에 기초한다. 유가는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며 善한 마음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람이 되는 교육방법이 필요하다. 유가미육은 예술을 통하여 개인과 군중의 정서에 호소하며, 어진사람이 되는 정감교육을 강조한다. 이는 유가가 하고자하는 교화의 수단이다. 유가는 예술을 중요한 수단으로 삼으며, 仁에 부합하는 이상적 사회를 건설하려 한다. 서예작품은 점·획으로 구성된 추상예술이지만, 서예가의 사상과 감정이 깊이 스며들어 있다. 옛사람은 그것을 통하여 자신의 이상과 인품을 표현하였다. ‘글씨를 쓰려거든 먼저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명품제작의 필요조건을 말한다. 본고는 유가 심미교육의 근본취지 중 하나로 첫째는 盡善·盡美의 德育과 서예의 윤리, 둘째는 ‘天人合一’의 情育과 서예의 유비적 사유, 셋째는 서예는 그 사람의 인품으로 인하여 귀중해지는 심미교육과 서예의 品格을 탐구하여, 유학정신과 서예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서예는 하나의 技藝에 불과하지만, 오히려 풍부한 예술경계, 인생경계, 도덕경계를 投射할 수 있다. 이는 유가미육으로 생명의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고 본다. 유가미육은 수신하여 인품을 세우고, 독서를 하여 지혜를 밝히며, 심성을 함양하여 재능을 넓히고, 너그럽고 쾌활한 淸氣가 서예의 品格美로 흘러 나오게 교육하여야 한다. 따라서 유가미육의 사명감은 바로 여기에 있다.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is based on the Confucian benevolence. Confucianism has considered that people should love each other and practice good heart. To do this, it requires education to be a person.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is education of emotion that is appealing to the emotions of the individual and the crowd through the arts, makes a benevolent person. This is means of edification and an important subject that Confucianism intends to do. Confucianism is trying to build an ideal society that meets the humanity using the arts as an important means. Although calligraphic works are abstract art which is composed of dots and strokes, thoughts and feelings of the calligrapher has deeply penetrated in there. Old man was expressing his ideals and personality through it. In order to write the text, the first thing to the requirement of luxury production is to be a person. This paper is trying to clarify what there is a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mind and calligraphy as one of the fundamental purposes of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those are through things that the first is virtue education of fulfilling the goodness and beauty, and calligraphy of ethics, the second is emotional education of unity of Heaven and man , and analogical reasons of calligraphy, the third is calligraphy does research on aesthetic education and grace that become valuable due to the personality of the man. Eventually, calligraphy is just one of the accomplishments, but can project rather abundant artistic boundaries, boundaries of life, moral boundaries. It looks that can reveal the meaning of life through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has to educate in order to establish the personality by self-cultivation, clarify wisdom by reading, develop talent by cultivating the mentality, flow out for generous and cheerful clear energy into th graceful beauty. Therefore, the mission of the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is right here.

      • KCI등재

        李漵의 尊理論的 서예인식과 書家비평

        김응학(Kim Eung-Hak) 한국서예학회 2011 서예학연구 Vol.19 No.-

        東ㆍ西洋의 철학과 미학에서 ‘道’나 ‘理’에 관한 사고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출발한다. 性理論은 理ㆍ氣의 개념을 구사하면서 宇宙의 생성이나, 인간의 心性구조, 사회에서 인간의 자세 등, ‘道’나 ‘理’를 깊이 사색하였다. 조선조 17-18세기는 예술사조와 예술창작에 있어서 한국문화를 구체적으로 전환시키는 변환기이다. 이러한 근대 지향적 성향은 당시 지식인의 새로운 의식변화에 크게 작용함으로서 비록 성숙한 예술이론으로 전개되지는 못하였지만, 전통 주자학이 갖고 있는 모든 규범에 대해 비판하고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인다. 당시 지식인들은 기존 전통규범에 反하여, 眞ㆍ今ㆍ俗ㆍ我ㆍ情ㆍ氣ㆍ新ㆍ奇ㆍ變 등의 美개념에 관해 새로운 관심을 기울인다. 기존의 서예는 技보다도 道, 藝보다도 德, 情보다는 性, 氣보다는 理를 중시하였다. 이런 점은 성리학이 크게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성리론의 관점에서 예술은 ‘道’를 중심으로 文以載道, 文以貫道, 文以明道, 등을 추구함으로서 道本藝末을 강조한다. 따라서 당시의 서화를 ‘末藝’나‘ 小技’로 폄하하여 보는 관념을 낳기도 하였다. 하지만 本末論에 입각하여 서화를 ‘末藝’로 보았지, 기능이나 역할에 대해서는 玩物適情을 요구하였으며 전면 부정하지는 않았다. 이는 유학자들이 지나치게 서화에 탐닉함으로써 ‘道’, 혹은 ‘理를 추구하는 참된 학문의 길에 해가 될 수도 있다는 玩物喪志의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보았다. 이에 李漵는 理를 담고 있는 氣의 雅趣로 서예의 핵심을 바꾸었고, 天理, 天心,道心을 관통하는 획으로 전환시켰다. 李漵는 李滉을 존숭하면서 理氣互發說을 지지 하였다. 이 理氣互發說을 주장하는 경우에는 氣發보다는 理發을 더욱 강조하였다. 理發의 강조는 理가 氣를 주재하여야 하며, 形氣에 구속당하는 氣發의 서예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한 것이다. 서예에서 理發의 강조는 天理를 담아낸 正法이며, 그 표현은 中正하며, 雅正한 正氣의 예술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李漵는 理發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人心, 七情, 老佛을 비판한다. 또 韓ㆍ中 書家들의 비평에서는 形氣에 구속당하는 氣發의 서예를 異端이라 배척하고, 正理ㆍ正法에 입각한 中正한 서예를 펼친 왕희지만을 정통으로 삼는다. 그러나 오직 理發만을 강조한다면 오히려 윤리도덕에 지나치게 종속되는 예술로 전락할 수도 있다. 氣發은 개인의 예술적창의성과 시대적 미의식의 전개라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李漵가 비평한 尊理論的 서예미학관은 다소 경도된 점도 있다. 하지만 그가 처한 시대에서 서예의 폐단을 儒家의 서예미학관에 근거하여 韓ㆍ中 書家들의 서예 가치를 評하면서, 古를 담고 있는 今의 古今觀으로 美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루 융합한 書藝觀을 드러내고자 했다고 본다. East Asian thought and western philosophy view Tao (the way) and Li (natural principal) from different points. Neo-Confucianists contemplated Tao or Li including the birth of cosmos, human mental structure, and social manner, creating concepts like Li and Qi (material force and energy). The Joseon Dynasty in 17th-18th century was a time of cultural change in the trend and creation of art. This modern-oriented inclination could not develop an evolved theory on art, but had a serious effect on consciousness changing of scholars of Neo-Confucianism of the day. And they tried to criticize and go against all traditional Neo-Confucianism’s doctrines. The scholars were interested in aesthetic concept as truth, modernity, secular society, ego, affection, Qi, novelty, strangeness, changing, and so on. Being influenced by Neo_confucianism, existing East Asian Calligraphy put more emphasis on Tao, virtue, nature, and Li than technique, art, affection, and Qi. According to Neo-Confucianism, with Tao as the center, art should pursue the Tao first principle by calligraphy with Tao, calligraphy seeing through Tao, and calligraphy brightening Tao. Therefore painting and calligraphy of the day were treated like a slight art. But they were required to contain affection and mind in functional aspect. This was a measure to prevent the scholars from indulging in painting and calligraphy and to lead to Tao and Li to improve their studies. Lee Seo regarded grace of Qi containing Li as an essence of East Asian Calligraphy and imparted new meanings like the law of nature, the will of nature, and the mind of Tao to the calligraphy. He supported theory on separate manifestation of Li and Qi by master Toegye. The theory places more emphasis upon manifestation of Li than manifestation of Qi. According to the theory, Li controls Qi, calligraphy becomes art of manifestation of Li free from form, and calligraphy by manifestation of Li is order with natural principal, expression of moderation, and art of righteous Qi with refinement. As a supporter of the theory, Lee criticized the will of human, desire, Taoism and Buddhism. Also he regraded Korean and Chinese calligraphers indulged in formalism as heretical calligraphers and only Wang Xizhi’s calligraphy as an authenticity with righteous principal and order. However, it is dangerous to accept only manifestation of Li, because art would excessively be subordinate to ethics and moral. Manifestation of Qi would be seen as personal artistic creativity and development of aesthetical sense of the times. Therefore Lee’s aesthetical view based on Li-centrism has a little negative aspect. Although, his achievement is significant. Based on aesthetical view of Neo-Confucianism, he criticized harmful effect on calligraphy of the day, discussed calligraphers in the Joseon Dynasty and China, and identified calligraphy amalgamated with aesthetical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by modern view including ancient thought.

      • KCI등재

        문화,비교철학 : 書畵(서화) 墨色美(묵색미)의 哲學的(철학적) 探究(탐구)

        김응학 ( Eung Hak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1 No.-

        본고는 墨色美에 관하여 철학적 배경을 탐구하였다 儒ㆍ道ㆍ禪은 묵색미를 위하여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역대 서화가들은 이러한 묵색미의 신성한 정신을 굳게 지켜왔다. 동양의 色彩觀은 과학이 아닌 철학적 색채관이다. 동양인들이 생각하는 색채의 상징적 의미는 우주적 질서와 관련이 깊다. 五德ㆍ陰陽ㆍ五行에 근거한 색채는 靑ㆍ赤ㆍ黃ㆍ白ㆍ黑의 五色이다. 五色은 五行의 표현이며, 五色과 五行간에는 대응관계가 있다. 水는 黑, 火는 赤, 木은 靑, 金은 白, 土는 黃이다. 五色은 자연계와 인간사회를 상징한다. 이들 五行, 五方, 五德은 五色과 서로 관련성을 갖는다. 墨色은 着色하지 않는 것으로 그것은 ‘無’의 세계이다. 이는 無形의 힘이 서화가들에게 묵색으로 美를 삼는 관념을 강화시킨다. 근ㆍ현대 상품경제와 시민의 취미에 영향을 받아 着色畵는 화단의 주류를 이루어왔다. 서예의 경우 묵색의 활용은 지금까지 변경된 적이 없었다. 묵색미는 『老子』의 玄妙ㆍ守靜등과 관련이 있으면서, 離相, 虛靜, 無形, 遠, 空, 無限등을 상징한다. 총괄하면, ‘黑’으로 출발하는 묵색미는 ‘玄’, 虛, ‘靜’, ‘無’ 등과 같이 철학적 명제였으며, 동양의 역사적 전통 하에 예술로 전환되면서 오늘날 서화가들은 부득이 淡墨로 그 심오함을 표현한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bout black beauty. Confucianism, Taoism and Zen provide a rationale for the black beauty, former painters have been kept hold of the divine spirit of those black beauty. Eastern perceived meaning of color is philosophical rather than scientific. The symbolic meaning of the colors that Asians think is closely related to the cosmic order. A color based on the five virtues,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s the five colors which are blue and red and yellow and white and black. The five colors are a representation of the five elements, and there is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 colors and the five elements. Water is black, fire is red, wood is blue, metal is white, earth is yellow. The five colors are a symbol of the natural world and human society. These five elements, Obang and five virtues have relevance to the five colors each other. Black is a world of ‘nothing’ that is not colored. This reinforces the notion that the power of the intangible regards a black color as beauty for the person who in charges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 and Contemporary commodity economy and civil hobbies, colored paintings forms the mainstay of painters. In the case of the calligraphy, use of black has never changed so far. Black beauty stays relevant as ‘Mysterious’ and ‘keep quiet’ of "Lao-tzu", stands for ‘isolated phase’, ‘Xujing’, ‘invisible’, ‘far’, ‘empty’ and ‘infinite’. If the whole, black beauty starting with black but philosophical propositions such as ‘mysterious’, ‘empty’, ‘quiet’ and ‘nothing’, put into art under the historical traditions of the East and the painters are represented as inevitable pure beauty there.

      • KCI등재

        동양서화(東洋書畵)"불사지사(不似之似)"의 형신론적(形神論的) 고찰

        김응학 ( Eung Hak K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5 동양예술 Vol.27 No.-

        동양예술은 전통적으로 형상을 통하여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려하며, 형상은 유한하지만 그 형상 속에 무한한 정신을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동양인들의 독특한 形神觀이다. 본고는 似를 중심으로 세 가지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첫째는 形似에 치우친 貴形論이다. 둘째는 傳神이나 氣韻과 같은 神似에 치우친 重神論이다. 셋째는 形似와 神似, 모두를 아우르는 不似之似의 形神兼備論이다. 형신론에서 神은 생명정신과 관련이 있다. 六朝에서 初唐까지는 以形寫神을 강조하였고, 唐은 遺形寫神을 강조하여 形을 멀리하고 神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점은 明ㆍ淸시기, 似와 不似로 나타나면서 不似之似의 形神觀이 출현한다. 氣韻이 있으나 形似의 기초가 없으면, 質이 文보다 앞서는 것이고, 形似는 되었지만 氣韻이 없으면 文이 質보다 앞서는 것이다. 따라서 不似와 似는 모두 중요하다. 不似는 형태를 닮지 않는 것이고, 似는 정신을 닮는 것이다. 따라서 서화의 妙는 바로 似와 不似의 사이에 존재한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The oriental art is traditionally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ingsthrough the shape, the shape is finite, but think that holds the infinite spirit in its shape. This is a unique view of mind and body of Asians coming down from ancient times. This paper was discussed from three perspectives around the resemblance. The first is theory to venerate the figuration biased in shape. The second is spiritualism biased in spirit such as ‘Chuan shen (傳神)’ or ‘Qi yun(氣韻)’. Third is the holistic theory of dissimilar similarity covering both figuration and spirit. In the theory of figuration and spirit, soul is related to the life spirit. From the sixth patriarch to early Tang dynasty, it was emphasized by imitating spirit from the shape, in Tang dynasty, it emphasized on forsaking the shape, imitating spirit and tended to emphasize spirit by estranging the shape. The view of figuration and spirit emerged in this point, appeared to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in the Ming and Qing dynasty. If it has Qi yun, but if there is no basis for shape, solid qualities(質) this would precedes accomplishment(文), even if it becomes shape, if ithas no Qi yun, accomplishment(文) precedes the solid qualities(質). Therefore, both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are important. Dissimilarity does resemble the shape, similarity resemble the mind. Therefore, this paper was discussed that the subtlety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precisely exists between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