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윌리엄 오컴의 직관적 인식 개념 - 『명제집주해』 서문 제1문 연구번역 -
김율 ( Kim Yul ) 한국중세철학회 2023 중세철학 Vol.- No.29
『명제집주해』 서문 제1문은 직관적 인식과 추상적 인식의 구별에 대한 오컴의 사상을 가장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는 텍스트다. 여기서 제시되는 직관/추상의 구별을 해설하는 것이 본 연구번역의 목적이다. 오컴에 따르면, 직관은 우연적 진리에 대한 명징한 판단을 본성상 산출할 수 있는 인식이며, 추상은 그러한 본성을 갖지 않은 인식이다. 오컴은 직관과 추상이라는 두 종류의 인식이 존재한다는 점을 가지자라고 부르는 심적 사실을 통해 증명한다. 또한 그는 이 구별에서 인식 대상의 인과성이 어떤 역할도 하지 못함을 강조한다. 사물이 실존하지 않아도 직관적 인식 자체는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것은 사물의 실존과 비실존 모두에 관계한다. 이에 비해 추상적 인식은 사물의 실존 여부에 대한 판단을 산출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실존과도 비실존과도 무관하다. 이처럼 직관적 인식과 추상적 인식의 차이는 대상의 인과성으로부터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비실존자의 직관적 인식이라는 사고실험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William Ockham’s thought on the distinction between intuitive and abstractive cognition is most clearly observed in the first question of the prologue to his Ordinatio. The purpose of this translation is to show the significance of Ockham’s distinction between intuition and abstraction. According to him, intuition is the cognition which is by its nature capable of producing an evident judgment about contingent truth, while abstraction is the cognition which does not have such a nature. Ockham proves that there are two kinds of cognition, intuition and abstraction, by means of a mental fact which he calls intelligible. He also emphasizes that the causality of the object plays no role in this distinction. Intuitive cognition can exist even if the object does not exist, and therefore it concerns the existent and the non-existent. Abstractive cognition, on the other hand, does not concern either the existent or the non-existent, in the sense that it cannot produce a judgment about whether the object exists or not. In this way, Ockham completely denies the causality of the object in the distinction between intuition and abstraction. This view is illustrated in his thought experiment about intuitive cognition of the non-existent.
Microsatellite 표지자를 이용한 고로쇠나무 10개 집단의 유전변이
김회진 ( Hoi Jin Kim ),정지희 ( Ji Hee Jeong ),조아르나 ( Aruna Jo ),김용율 ( Yong Yul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고로쇠나무는 유망조림수종 중 하나로 조림을 위한 종자는 대부분 채종임분에서 생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종자공급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3개 채종임분을 포함한 고로쇠나무 10개 집단의 유전다양성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8개 microsatellite 표지를 이용하여 확인된 유전자좌당 평균 대립유전자수(Na)는 8.2개 였다. 고로쇠나무의 이형접합도 기대치(He)는 평균 0.684로 관찰치 0.628에 비해 다소높은 수준이었다. 집단간 분화 정도를 나타내는 FST 값은 0.084로 전체 유전변이의 약 8.4%가 집단분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도와 유전다양성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이형접합도는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지만 대립유전자 다양성은 유의한 상관을 보여(R=0.813, p=0.002), 북쪽에서 남으로 올수록 다양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고정계수(F)는 집단에 따라 -0.027에서 0.155 범위의 값을 보였으며 평균은 0.082로 이형접합체가 기대치에 비해 약 8.2% 부족하여 전체적으로 근친교배의 영향을 다소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채종임분 3개 집단의 고정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아(F, 0.095~0.155) 근친교배의 영향이 큰 편이었다. 반면, 유전다양성(He, 0.712~0.736)은 다른 임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조사된 고로쇠나무 채종임분 3개 집단은 유전다양성은 풍부한 편이었지만 근친교배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전적으로 우수한 종자 생산을 위해서는 적절한 유전간벌 등 구체적인 채종임분 관리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Most of the seeds for forestation of A. pictum subsp. mono, one of promising forestation species, have produced from designated seed production stands. In this study,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10 populations of A. pictum subsp. mono including 3 seed stands were analyz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seed sources. Averag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was 8.2 based on 8 microsatellite loci. Observed(Ho) and expected heterozygosity(He) were 0.628 and 0.684, respectively. The FST value was 0.084, which means 8.4% of total genetic variation is due to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10 populations. Allele divers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atitude (R=0.813, p=0.002) that means population in northern part of Korea have more genetic diversity than those of southern area. However, observed and expected heterozygosity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atitude. The fixation index were ranged from -0.027 to 0.155 with an average of 0.082. Especially, three seed stands of the populations detected relatively high level of inbreeding(F, 0.095~0.155). However the genetic diversities(He, 0.712~0.736) in 3 seed stand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other populations. In conclusion, three seed stands of A. pictum subsp. mono have relatively abundant genetic diversity but have more influenced by inbreeding. Therefore it needs to prepare a specific management strategy for the seed stands to prevent genetic erosion in seeds produced.
거금수로에 시설된 사각형 인공어초 주변의 조류에 의한 세굴 퇴적 변화
김대권(Dae-Kweon Kim),이진영(Jin-Young Lee),서성호(Sung-Ho Suh),김창길(Chang-Gil Kim),조재권(Jea-Kwon Cho),차병열(Byung-Yul Cha)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9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Vol.33 No.8
Tidal currents were observed at 1 station of artificial reefs group during 15days. Maximum current was 82.4㎝/s, and mean current showed 12.8~28.0㎝/s, respectively. Flood currents magnitude were bigger than ebb ones due to wake region. To grasp sediment distributions, sediments were sampled at 4-direction(E, W, S, N) around each s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ample analysis, sediments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 by main current direction. It showed that sediments distribution at front and back of artificial reefs were differently occurred by change of main current direction. It suggest that artificial reefs need to install after confirming tidal currents direction and sediments type.
김율 ( Yul Kim ) 한국중세철학회 2011 중세철학 Vol.0 No.17
보에티우스 다치아의 『세계의 영원성에 관하여』는 신앙과 이성을 분리하는 14세기의 시대정신을 라틴아베로에스주의자들이 예비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헌이다. 이 저작에서 보에티우스는 세계의 영원성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그리스도교 신앙과 철학의 견해가 결코 모순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그에 따르면, 세계에 시간적 시초가 있다는 신앙의 명제는 단적인 진리이지만, 자연학자는 그가 자연학자인 한에서 세계의 시간적 시초는 없다는 결론을 말할 수 있으며 또 말해야 한다. 그런데 자연학자의 이러한 결론은 자연학의 원리에서 도출된 것에 불과하므로 자연학자의 결론과 신앙의 명제는 결코 모순 관계에 놓일 수 없다. 이러한 이유에서 보에티우스는, 신앙에 어긋나는 명제를 가르친다고 철학을 비난하던 당대의 신학자들에 맞서 철학자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변호한다. 자기 학문의 원리와 한계에 대해 보에티우스가 철학자로서 갖는 정확한 자의식은 신앙과 철학을 무모순적 분리의 관계에서 이해하는 태도가 나타나기 위한 조건이다. De mundi aeternitate des Boethius von Dacien gilt als einer der wichtigsten Texte des lateinischen Averroismus, und zeigt, dass die lateinischen Averroisten die geistige Tendenz des 14. Jahrhunderts, die Vernunft vom Glauben zu trennen, in wesentlichen Aspekten im 13. Jahrhundert vorweggenommen haben. In diesem Traktat versucht Boethius zu erweisen, betreffs der Ewigkeit der Welt die christliche Glaubenslehre und die Position der Philosophie keineswegs im Widerspruch stehen. Er behauptet, dass der Naturphilosoph als Naturphilosoph den zeitlichen Anfang der Welt negieren kann und muss, obwohl die Glaubenslehre von der zeitlichen Schopfung eine schlechthinnige Wahrheit ist. Der Naturphilosoph sagt namlich nur, dass die neu entstandene Welt auf Grund der naturlichen Ursache und Prinzipien nicht moglich anzunehmen ist. Auf diese Weise verteidigt Boethius gegen die zeitgenossischen Theologen, die die heidnische Philosophie verweisen, die Recht der Philosophen, philosophisch zu schlussfolgern. Das klare Selbstbewusstsein des Philosophen uber die Prinzipien und die Grenze seines Wissens ist also eine Bedingung dafur, den Glauben und die Philosophie voneinander zu separieren und doch stets die unwiderspruchliche Beziehung beider festzustellen.
김율(Yul Kim) 한국철학회 2009 철학 Vol.0 No.98
둔스 스코투스는 안셀무스가 악마의 범죄를 분석하며 사용했던 이중성향 개념을 통해 인간 의지의 보편적인 내적 구조를 설명한다. ‘자신의 선’인 자기완성을 추구하려는 이익성향과 사물의 객관적 가치 질서에 따라 ‘선 그 자체’를 추구하려는 정의성향은 각각 인간 의지에 내재하는 자연의 측면과 자유의 측면에 해당한다. 정의성향은 이익성향으로부터 자기완성에 대한 배타적이고 자연적인 욕구가 무반성적으로 표출되는 것을 제어하고 인간이 선의 질서에 따라 행복을 욕구할 수 있도록 한다. 정의성향의 이러한 제어 기능이 성공적으로 발휘되었을 때, 구체적인 의지 활동과 그에 따른 행위는 도덕적으로 선한 것이 된다. 이익성향에 대한 정의 성향의 제어 기능은 의지의 도덕적 자유를 의미하는 바, 이러한 도덕적 자유는 스코투스가 『형이상학주해』에서 말한 의지의 자기결정의 힘으로 해석될 수 있다.
1880년대 독일제국내 식민지 획들에 대한 담론 : 아프리카 식민지를 중심으로
김형률(Kim Hyung-Yul) 한국아프리카학회 2004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19 No.-
The German colonial agitation in 1880 years resulted from a bundle of motives, whereby social-economic and national-ideological arguments stood next to each other. To the social-economic motivations belonged just as vague threat conceptions, caused by disturbance of economic growth relating to market conditions and the structural agrarian crisis and by the rapid population growth and the social structural changes altogether. The colonial movement corresponded the prestige need of more broadly population-circles and facilitated their national and social identification problems.
김율 ( Kim¸ Yul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8 가톨릭철학 Vol.0 No.31
스코투스는 옥스퍼드 강독집에서 의지와 지성이 의지운동의 공동 작용인이라고 주장했으나, 후기의 파리 보고록에서는 의지가 의지운동 전체를 일으키는 유일한 작용인이라고 가르쳤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이론 변화의 의미와 원인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헨리쿠스에 대한 스코투스의 비판 논변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주로 검토한다. 대상을 필요원인으로 간주하는 헨리쿠스의 견해가 강독집에서 명시적으로 기각됨에 비해, 보고록에서는 헨리쿠스의 견해에서 귀결된다고 가정되었던 난점들에 대한 적극적 해결이 모색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스코투스가 헨리쿠스와 동일한 극단적 주의주의의 노선으로 사고의 방향 전환을 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러한 변화는 지성과의 연결에 의존하지 않고 의지를 그 자체로서 이성적 능력으로 파악하는 관점이 확립된 결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is well known that Scotus regarded the will as a total cause of the will’s motion in his Reportatio while he attributed the causality of the will’s motion to the will and the intellect in his Lectura.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larify what this change from Lectura to Reportatio means and why it occurred. For this end, I will examine how Scotus’s attitude to Henry of Ghent’s theory on the will’s motion is modified. Whereas in Lectura, Scotus explicitly rejects Henry’s position according to which the object of the will is none other than causa sine qua non, in Reportatio Scotus seek to solve the difficulties which was supposed to be followed from Henry’s position. However, this does not imply that doctor subtilis changed his earlier moderate position to the radical voluntarism like Henry’s position. The change is to be rather understood as a result from his deepened thought on the rationality of the will in Paris according to which the will is rational in itself, not on account of the intellect’s invol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