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물류시설 가연물 종류 및 배치 형태에 따른 랙 상부 온도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김윤성(Yun-Seong Kim),강현(Hyun Kang),권오상(Oh-Sang Kw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3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6

        As part of a study to establish a performance-based fire-response design and evaluation method for logistics facilities, an experimental rack was manufactured, and the temperatures at the top of the combustible material during a rack fire were measured. The temperature time and temperature flame length relationship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variation in - temperatur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combustibles, the rate of increase in heat flow through the vertical flue was higher when the combustibles were doubled than when they were single, indicating that the increased rate of the flame and flume was more than twice that of a single combustible. Based on the type of combustible, CEP exhibit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temperature increase than CUP. In the case of the CUP, when arranged in one stage and one row, the fire intensity was weak in the early stage of the fire; therefore, it was possible that the upper sprinkler head did not respond.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lame length and temperature during the initial fire was relatively high (R² = 0.93). 본 연구에서는 물류시설의 성능기반 화재 대응 설계 및 평가 방법 구축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실험용 랙을 제작하여 랙 화재 시 나타나는 가연물 상부의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온도/시간 및 온도/화염 높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가연물 배치에 따른 온도를 측정한 결과 가연물이 double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 수직연도를 통한 열기류 상승이 빠르게 나타나 화염 및 플륨의 상승 속도가 single에 비해 약 2배 이상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연물의 종류에 따른 온도를 측정한 결과 CEP가 CUP에 비해 온도 상승률이 매우 높았으며, CUP의 경우 1단, 1열로 배치하였을 때 화재초기에 화재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상부 스프링클러 헤드가 반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화염 높이와 온도상호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기 화재에서는 화염 높이와 온도와의 상관관계가 R2 = 0.93으로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국내외 물류창고의 자연배연기준 비교에 관한 연구

        김윤성 ( Kim Yun-seong ),최윤주 ( Choi Yun-ju ),허예림 ( Huh Ye-rim ),권영진 ( Kwon Yeong-j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2 No.1

        Foreign countries stipulate that ventilation and smoke control facilities are installed in logistics warehouses.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 design guidelines and standards of ventilation and smoke control facilities for logistics warehouses are not clear even in the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human casualties caused by smoke has increased until recently. Accordingly, the smoke descent time according to the vent was calculated. As a result, when there was no vent, the smoke descent time was 369s.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nt was installed, smoke did not fall because the amount of smoke was greater than the amount of smoke generated.

      • 랙크식 물류창고의 화재모델 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김윤성(Yun Seong Kim),최윤주(Yun Ju Choi),허예림(Ye rim Huh),권영진(Yung Jin Kw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최근 물류창고 화재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면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물류창고를 대상으로 화재안전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2020년 쿠팡 물류창고 화재 이후 창고의 화재성상을 고려하지 않고 사양위주로 설계된 건축물의 한계가 나타나 정부에서는 20만m2 이상인 물류창고에서만 수행되었던 성능위주 화재안전설계를 3만m2 이상으로 확대하는 법안을 최근에 통과시켰다. 이는 대량의 물품을 수용해야하는 물류창고의 건축적 특성상 향후 대부분의 물류창고를 대상으로 성능위주 설계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성능위주설계란, 특정소방대상물에 소방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그 건축물의 용도, 위치, 구조, 수용인원, 가연물의 종류 및 양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방식이다. 국내에서는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설계 방법 및 기준’에 의거하여 성능위주설계 시 가장 위험하다고 예상되는 3개 이상의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그에 적합한 설계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때 물류창고 시설과 같이 건축물의 용도에 따른 특수한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시나리오 1번 따라 시나리오를 작성해야 하는데, 이때 건물사용자 특성, 사용자의 수와 장소, 실 크기, 가구와 실내 내용물, 연소 가능한 물질들과 그 특성 및 발화원, 환기조건 및 최초 발화물과 발화물의 위치를 명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시나리오를 작성하도록 관리하고 있으나 랙크식 물류창고와 같이 수용품을 수직으로 상승 적재해놓는 경우는 일반 건축물에 비해 가연물 (수용품)의 특성, 적재 방식, 높이 및 노출표면적 등에 따른 화재확산 경로가 상이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존에 연구되었던 물류창고 내부 수용품의 열방출률과 더불어 내부 저장 방식 및 형태에 따른 화재확산 성상을 예측하여 화재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화재안전설계를 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류창고의 화재안전설계의 기초적 자료로서 화재성상 예측식 및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랙크의 형태에 따른 화재 확산 경로를 예측하여 랙크식 창고 화재 시 초기 화재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남북 재생에너지 협력을 위한 전략과 정책적 과제

        김윤성(Kim, Yun-Soung),윤성권(Yun, Seong-Gwon),이상훈(Lee, Sang-Ho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8 환경법과 정책 Vol.21 No.-

        최근 남북관계가 개선되면서 철도, 도로, 산림 등 경제협력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북한은 발전소와 전력망 등 전력인프라 노후화, 발전용량의 절대적 부족으로 심각한 에너지 위기를 겪고 있으므로 에너지 협력은 더욱 실질적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 특히 재생에너지는 소규모 개발과 수요지 인근에 건설이 쉬워 대규모 전력망 없이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난방, 취사, 조명 등 주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인도적인 지원도 가능하다. 또한, 한반도 에너지전환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서도 재생에너지가 협력의 중심이 될 필요가 있다. 북한은 2013년에 제정된 『재생에네르기법』에 근거하여 2044년까지 태양광과 풍력 등 5GW의 설비를 공급하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재생에네르기법』은 재생에너지 개발과 이용을 장려하고 재생에너지 산업을 활성화하여 경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인민 생활 수준을 높이며 국토환경을 보호하는 데 이바지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북한은 개마고원 일대, 서해안 지역이 풍황 자원이 우수하고, 평균 일사량도 남한과 비슷한 수준이어서 소규모 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한 전력공급에 유리한 여건을 갖추고 있다. 남북 재생에너지 협력을 위한 전략으로 도시형과 농촌형 두 가지 접근 방법을 검토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전력수요가 집중된 도시지역에 베란다 태양광, 건물 일체형 태양광, 열병합발전과 재생에너지를 연동시킨 지역난방 주택 등을 도입할 수 있다. 농촌지역은 난방과 취사, 농업용으로 필요한 열과 〮전기를 스스로 공급하는 에너지 자립마을을 구상할 수 있다. 정책 개선 방향으로 남북교류협력사업의 무상지원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고, 국내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에 북한지역 사업에 대한 지원과 관리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와 체계가 다른 북한의 에너지법, 경제협력법, 투자 관련 법에 대한 이해도 수반되어야 한다. As inter-Korean relations have improved recently, cooperation discussion is going on laying rails, installing road and reforestation sectors, and so on. North Korea has been experiencing a severe energy crisis due to the old power plant and lack of power infrastructure. Cooperation for energy is seemed to be more urgent than other sectors. Renewable energy can be developed on a small scale and is easy to build near the demand sites; it can supply electricity without a large power grid. Therefore, it can supply energy immediately for living such as heating, cooking, and lighting. Humanitarian assistance through renewable energy has been possible under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Renewable energy plays an essential role in energy transition and sustainable future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enacted the “Renewable Energy Law” in 2013 and set its energy supply goal of developing solar and wind power to 5GW by 2044. North Korea says it has the goal of “encouraging the development and use of renewable energy and revitalizing renewable energy industry, thereby contributing to the continual development of the economy, raising peoples living standards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 The wind conditions in the Gaema Plateau and the West Coast are excellent for the development. The average solar radiation throughout North Korea is similar to that of South Korea. Therefore, North Korea is not in an unfavorable position to supply electricity through small-scale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Urban-type and rural type strategies for small-scale development are also previewed. In urban areas, where electricity demand is relatively high, electricity can be generated using small veranda solar PV, building integrated solar photovoltaic, and district heating system that combines cogeneration and renewable energy. On the other hand, in rural areas, energy-independent village system can be built. That system can supply heat and electricity needed for heating, cooking, and agriculture using its plentiful supply of biomass resource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to revitalize inter-Korean renewable energy cooperation. First, expanding the scope of grants for inter-Korean cooperation projects is needed. Second, the law “Promotion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needs to be revised to support and control the renewable energy projects in North Korea. Lastly, Understanding the North Korean energy laws, economic cooperation laws, and investment laws that are different from our system should also be accompanied.

      • 건축물의 용도별 필요내화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

        김윤성 ( Kim Yun-seong ),한지우 ( Han Ji-woo ),진승현 ( Jin Seung-hyeon ),이병흔 ( Lee Byeong-heun ),권영진 ( Kwon Yeong-j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 No.1

        Due to the nature of modern society, buildings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complex. As a result,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building are changing. However, despite the complexities of buildings,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is still equalized to one hour without considering fire engineering analysis in Korea, so there is a risk according to actual fire design condi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required fire resistance time for actual fire through fire mechanics analysis and case study.

      • SCOPUSKCI등재

        호흡기내과 의사를 페렴 리뷰

        김윤성 ( Yun Seong Kim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0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8 No.6

        Pneumonia represents a spectrum of diseases that range from community-acquired to health care-associated pneumonia. Despite advances in diagnosis, antimicrobial therapy, and supportive care, pneumonia remains an important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particularly in elderly patients and in those with significant co- morbidities.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from infectious disease in Korea. This article provides a synopsis of recent studies regarding various types of pneumonia, with a focus on CAP.

      • 물류창고 시설의 인명안전기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윤성 ( Kim Yun-seong ),진승현 ( Jin Seung-hyeon ),이병흔 ( Lee Byeong-heun ),권영진 ( Kwon Yeong-j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1

        The number of fires in the Korean distribution warehouse increased by about 350 from 1,070 in 2014 to 1,416 in 2020. In addition, the fire load increases with the scale of the distribution warehouse, and even if the automatic sprinkler operates, there is a limit to the direct intrusion of the water source into the ignition source, and the detector is often installed on a high ceiling. The sensing time is often delayed. In order to improve the fire safety of such distribution warehouses, the US NFPA stipulates in detail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acility, such as sprinkler water discharge standards, rack-type warehouse installation height restrictions, and regulations on collection and equipment. However, in Japan, the goods loaded inside the distribution warehouse are not classified in detail,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fire safety for the distribution warehouse is low due to the relaxation regulations of the fire prevention se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common problems are classified into material, spatial, and safety management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ases of distribution warehouse fires that occurred in Korea and abroad, and the problems related to distribution warehouses in Korea and abroad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present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the life safety standards of future distribution warehouse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