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와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 비교 연구

        김유준 한국교회사학회 2014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7 No.-

        이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와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을 비교 연구하기 위함이다. 초대교부들의 전통적 사상을 이어받은 아우구스티누스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적 개념으로 세 위격에 대한 전통적 교리를 정당화하면서 양태론과 삼신론의 위험성에 빠지지 않았다. 그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세 위격 간의 상호 사랑의 동등한 본질을 강조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은 그 이전 교부들에게서 나타나는 일체성이나 삼위성에 치우친 강조로 인한 난제들을 사랑의 유비를 통해 동시에 균형 있게 강조함으로 서방교회의 심리학적 삼위일체론과 동방교회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을 모두 분명하게 제시했다. 에드워즈는 동서방교회의 전통 속에서 17세기 개혁적 스콜라주의자들과 청교도들의 사상을 계승해 관계론적 개념으로 자신의 삼위일체론을 독창적으로 발전시켰다. 에드워즈는 성자의 영원출생과 성령의 이중발현이라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을 발전시켜서 삼위일체 하나님을 역동적 실재 개념으로 설명했다. 성부를 최초의 자존하는 신성으로, 성자를 신적 성향의 재귀적 명철의 실현으로, 성령을 신적 성향의 재귀적 사랑의 실현으로 보았다. 특히 아우구스티누스가 정의한 성부와 성자의 ‘사랑의 띠’로서의 성령은 비인격적인 의미로 오해될 소지가 있었지만, 에드워즈는 성부와 성자의 ‘적극적인 사랑의 행위자’로 성령을 표현함으로 인격성을 뛰어넘는 신적 위격에 합당한 자리매김을 해 놓았다. 또한 에드워즈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세 위격의 독특한 우월성을 통해 세 위격의 동등성을 부각시켰고, 관계적이며 사회적인 삼위일체 하나님의 성향적 존재론을 통해 하나님과 인간, 가정과 공동체 간의 올바른 관계의 본을 제시해 주었다. 이처럼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을 토대로 독창적으로 계승한 에드워즈는 개인이기주의를 초월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역동적 관계성을 강조함으로 동등성과 상호 사랑에 기초한 공동체성과 실천적 경건의 근거를 마련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quire into a comparative study o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of Augustine and Jonathan Edwards.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early church fathers, Augustine justified the traditional doctrine of three persons of the Trinity with a relational concept, avoiding the concept of modalism and tritheism. As a result, Augustine insisted the equal essence of mutual love of three persons of the Trinity. Edwards has been impacted by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model i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of Augustine. Edwards also creatively developed the doctrine of the Trinity under the reformative tradition and early enlightenment in the 17th century. Based on the Augustine’s concept of the Trinity on the eternal generation of the Son and the double procession(filioque) of the Holy Spirit, Edwards developed the concept of divine communication and self-repetition of the dynamic reality as his own creative understanding of God. That is, Edwards expressed the Father as the deity subsisting in the prime, the Son as his own understanding, and the Holy Spirit as the doer of love. Especially, Edwards’ description on the Holy Spirit as the active doer of love is the most distinctive point in the understanding of Trinity, because it helps us to regard the Spirit as personified Being, and overcomes Augustine’s limitation of interpretation as vinculum caritatis. In short, with this concept of God’s dispositional ontology, Edwards made it possible to harmonize immanent and economic Trinity. Based on his original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God, Edwards improved the equality of the persons of the Trinity, suggesting the unique superiority of the persons of the Trinity. This understanding of Edwards o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proposed the right dir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and in community and family. Emphasizing on the trinitarian dynamic relationship which transcends individuality, Edwards’ thought provides us with communality and practical piety on the basis of unity and mutual love.

      • KCI등재

        카이사레이아의 감독 바실레이오스의 경제사상에 관한 연구

        김유준 한국교회사학회 2011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0 No.-

        In his whole life and thought, Basilius of Caesarea represented what the Christian life should b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quire into the economic thought of Basilius of Caesarea in the fourth century of the Roman Empire. In this article, his contribution to the theological enterprise has been considered in several points. First of all, Basilius’ economic thought has shown the foundation of ownership, based on the justice of God. Secondly, he criticized that someone possesses surplus to one’s needs or exclusively owns public property. Moreover, Basilius strongly refuted against the monopoly of land ownership and claimed the equal rights in using the land and natural resources, emphasizing koinonia. Finally, he revealed the seriousness of the usury, even though it has been regarded as legitimate. According to Basilius, anyone who live an extravagant life among the poor would not be considered to be guiltless, even if he had a legitimate ownership. In other words, he challenged the concept of one’s morality and proposed high standards on economic thought as a Christian seeking for the justice of God. In sum, Basilius has shown what the mission of Christians is for the Korean society confronting with serious problems of neo-liberalism. Through his thought on economics, what is really precious for us living in these days could be reflected.

      • KCI등재

        크리소스토무스의 경제 사상 연구

        김유준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3

        4세기 말 콘스탄티노플의 감독이었던 크리소스토무스는 재산을 잃고 쫓겨난 수많은 사람들을 위해 로마제국의 권력과 부를 거머쥐고 탐욕에 가득 찬 사람들을 향해 공의를 선포했다. 그는 부와 빈곤 간의 인과관계를 지적했고, 토지와 천연자원을 독점함으로 인간을 노예화하는 그 당대의 불의한 경제체제가 공의로운 사회로 개혁되도록 강단에서 외치며, 삶의 현장에서도 모범을 보여 주었다. 크리소스토무스는 하나님의 공평과 정의에 근거하여 판단했으며, 법과 제도에 대해서 합법 여부가 아닌 공의 여부를 중심으로 올바른 대안을 제시했다. 특히 토지와 천연자원에 대한 사적 소유는 인간을 노예로 만드는 심각한 죄악임을 지적했다. 크리소스토무스는 인간의 기본 평등권과 천부인권을 강조하면서, 토지 소유권의 독점에 대해 단호하게 거부하며 희년 사상을 제시해 주었다. 그는 교회를 중심으로 사회 전반에 걸친 나그네 쉼터, 구빈원, 무료급식 등의 구제활동을 제도적 차원으로 발전시켰다. 특히 그는 당시 유독시아 여제를 향해 가난한 사람들의 토지를 빼앗은 이세벨이라고 공개적으로 책망할 정도로 정치 영역에서도 담대하게 예언자적 사명을 감당했다. 이러한 크리소스토무스의 경제 사상은 현대 사회의 양극화를 초래하는 토지 투기와 막대한 상속 등의 불로소득이 불의하다는 것을 강조했으며, 불로소득 환수와 부채 탕감 운동과 같은 그리스도인의 공의로운 경제 사상의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quire into a study on the economic thought of Chrysostomus. In the global era of which meta-value is neoliberal economic thought, the problem of social polarization is so serious that a lot of people are suffering from it. At his time, Chrysostomus cried for justice for the people who lost their property due to the greedy who grabbed the power and wealth of the Roman Empire. He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wealth and poverty, claiming the reformation of the society against the unjust economic system of allowing the rich to monopolize land and natural resources. Based on the biblical principle focusing on the jubilee and justice of God, he suggested an alternative of which criterion was not a legal one, but a transcendent one, which is fit for God’s perspective. Especially, he argued that the private ownership of land was a serious crime because it caused human beings to be the slave of money. Emphasizing on the basic human right of equality and natural rights, Chrysostomus denied the monopoly of land ownership. Instead, he presented the principle of Jubilee as an alternative, stressing on the fellowship(koinonia) as a model of human solidarity. Giving up his private property, moreover, he showed himself an example of the true richness of communal life. He supported the poor in various ways like supplying food, assisting funerals and participating in works for emergency relief in monasteries as well as institutional churches. Furthermore, he had a prophetic role in the political realm enough to condemn openly Eudoxia called a Jezebel who had robbed poor people of their lands in the time of the Empress Eudoxia. Thus, the economic thought of Chrysostomus has shown the injustice of income, such as land speculation and immense inheritance leading to polarization of the modern world. He has also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economic thought of righteous Christians, such as the restitution of unearned income and the debt rel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