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류마티스 활막세포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에 의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생성의 억제

        김용주 ( Yong Ju Kim ),박종서 ( Jong Seo Park ),최진정 ( Jin Jung Choi ),민소연 ( So Youn Min ),조미라 ( Mi La Cho ),김완욱 ( Wan Uk Kim ),박성환 ( Sung Hwan Park ),조철수 ( Chul Soo Cho ),김호연 ( Ho Youn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1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8 No.4

        Objectiv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 potent angiogenic, permeability-enhancing cytoki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ronic inflammatory process of rheumatoid arthritis (RA).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are the most widely used drugs for the treatment of RA. However, the effect of NSAIDs on angiogenesis in rheumatoid synovium is unclea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SAIDs such as indomethacin (IDC) on TGF-β-induced VEGF production in rheumatoid synoviocytes. Methods: Fibroblast-like synoviocytes (FLS) from RA were stimulated with TGF-β (10 ng/ml) for 24hr in the presence of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IDC. The levels of VEGF were measured in culture supernatant by ELISA. In addition, COX-2 and VEGF mRNA expression of cultured FLS were evaluated by RT-PCR. Results: VEGF production from F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TGF-β. IDC exerted a dose-dependent inhibitory effect on the production of VEGF induced by TGF-β. RT-PCR analysis showed that IDC also inhibited TGF-β-induced COX-2 and VEGF mRNA expression in cultured FLS by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NSAIDs inhibit VEGF production and the expression of its mRNA and COX-2 mRNA in synovial cells of RA pati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SAIDs may suppress progression and perpetuation of rheumatoid synovitis by anti-angiogenic activity.

      • 농작업에 따른 자율주행 트랙터 동특성 분석

        김용주(Yong-Joo Kim),김기정(Ki-Jung Kim),김연수(Yeon-Soo Kim),김완수(Wan-Soo Kim) 대한기계학회 201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8 No.12

        Rural labor force has been gradually decreased due to decrement of farm population and increment of aging popul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tudy autonomous agricultural machin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uto-guidance agricultural tractor during field operation. For this study, we conducted basic research about analysis of effect of tractor travelling speed on tire slip using simulation software. Tractor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field conditions at straight path. The simulation was conducted on three speed range; 20-30 km/h (considering normal travelling speed range), 6-8 km/h (considering plow tillage speed range) and 2-4 km/h (considering rotary tillage speed range).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showed that the slip ratio and slip angle values tended to increase as the tractor traveling speed range more decreased. From the simulation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ower the tractor speed, the more difficult it is to control the vehicle path following. In future research, simul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various work environments such as curved path and various friction coefficient conditions, and it is experimentally verified by applying it to agricultural tractor.

      • 주요 농작업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부하율 분석

        김완수 ( Wan-soo Kim ),김용주 ( Yong-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환경 문제로 인하여 배출가스 허용 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이동오염원은 국내 미세먼지 발생 원인의 28%를 차지하며, 이 중 농업기계가 속하는 비도로이동오염원은 16%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오염원별 배출량은 국가 대기보전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중요하게 사용되며, 배출량 분석을 위해서는 국가 고유 배출 계수 개발이 요구된다. 농업기계의 경우 이때까지 배출계수 개발 등과 관련된 연구는 전무한 실정으로, 연간 사용비율이 가장 높은 트랙터를 우선대상으로 고려하여 배출계수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배출계수 개발을 위해서는 출력 범위, 작업기 종류, 작업 조건 등 다양한 변수 조건을 고려한 부하율 산출이 필수적이나, 기존에는 이러한 변수 고려 없이 부하율을 0.48로 일괄 적용하고 있으므로 실 부하 데이터 기반의 부하율 산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신뢰성 있는 국내 트랙터 부하율 산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대표적인 주요 농작업에 따른 부하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78 kW급 농업용 트랙터를 사용하였으며, 필드 시험은 플라우 경운, 로터리 경운, 베일러 작업, 로더 작업, 아스팔트 단순 주행 및 토양 노면 단순 주행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엔진 부하 데이터는 CAN 통신을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작업 시 발생하는 출력 데이터를 정격 출력으로 나눔으로써 부하율을 분석하였다. 주요 농작업 사용비율은 선행 연구자료 및 농민으로부터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플라우 경운, 로터리 경운, 베일러 작업, 로더 작업, 아스팔트 노면 주행, 토양 노면 주행 작업 시 각각 24.4%, 29.1%, 15.5%, 16.5%, 10.0%, 4.5%로 적용하였다. 트랙터의 부하율은 플라우 경운, 로터리 경운, 베일러 작업, 로더 작업 시 각각 0.74, 0.93, 0.41, 0.23으로 나타났으며, 아스팔트 노면 및 토양 노면 주행 시 각각 0.21, 0.27으로 나타났다. 주요 농작업별 사용비율을 고려할 때, 부하율은 0.59로 나타났다. 이는 현행 적용 중인 0.48 대비 1.23배 높은 값으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보다 신뢰성 있는 데이터 확보 및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트랙터 마력, 토양 조건, 작업 조건 등을 고려하여 부하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트랙터 국가 고유 부하율을 산출하는 것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토양 조건에 따른 트랙터 주요 농작업 부하 DB 구축

        김완수 ( Wan-soo Kim ),최창현 ( Chang-hyun Choi ),박성운 ( Seong-un Park ),김용주 ( Yong-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트랙터는 다양한 작업 및 토양 조건에 의하여 크게 변동하는 변동 부하를 가지며, 이러한 부하는 트랙터 수명 및 내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높은 신뢰성을 갖는 트랙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토양 조건에 따른 트랙터 작업 부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토양 조건에 따른 트랙터의 주요 농작업 부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주요 농작업에 따른 부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부하계측시스템은 79kW급 농업용 트랙터(S07, TYM, Korea)에 차축토크미터, 근접센서, PTO토크미터, 압력센서, GPS, 데이터 수집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필드시험은 서산, 청양, 부안 총 세 곳의 시험지를 선정하여 진행하였으며, 작업은 쟁기, 로타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작업기는 8련 이랑 쟁기및 로타리를 사용하였다. 쟁기 작업은 변속단수 M2 High (5.99 km/h), M3 Low (7.09 km/h)에서 수행하였으며, 로타리 작업은 변속단수는 L3 Low (2.38km/h), L3 High (2.83km/h)에서 수행하였고, 이때 PTO 단수는 1단(540 rpm)으로 설정하였다. 토양 분석은 미농무성법(USDA)을 이용하여 토성 분석, 원추관입계(SC900, Spectrum Technology, E Plainfield, USA)를 이용하여 원추관입지수 측정, 토양 센서를 이용하여 토양 온도 등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쟁기 작업 시 토양 경도가 가장 높은 서산에서 부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로타리 작업 시 토양 함수율이 가장 높은 청양에서 부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쟁기 작업 시 M3 Low 단수의 트랙터 작업 부하는 M2 High 단수 대비 더 높게 나타났으며, 로타리 작업 시 PTO 기어 단수 1단 대비 2단에서 더 높은 부하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트랙터의 부하는 토양 조건에 의하여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향후 트랙터의 시험 평가뿐만 아니라, 제품의 설계 및 개발 시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정식 작업 조건에 따른 정식기의 PTO 부하 분석

        김완수 ( Wan Soo Kim ),최창현 ( Chang Hyun Choi ),장현준 ( Hyeon Jun Jang ),김용주 ( Yong 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본 연구는 필드 작업 시 작업 조건에 따른 정식기의 PTO 부하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부하 계측 시스템은 PTO 축의 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토크 센서, 토크 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장치, 노트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포장시험은 유사한 토양 조건에서 4회 반복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4개의 주간거리(26, 35, 43, 80cm)와 2개의 식부깊이(low, middle)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주간 거리가 PTO 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과 Duncan의 다중검정을 실시하였다. 주간 거리가 PTO 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토크 비를 계산하였으며, 토크비는 작업조건에 따라 측정된 평균 PTO 부하를 이용하여 최소 부하를 기준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식부 깊이 low에서 주간거리 26, 35, 43, 80 cm에 따른 PTO 축의 평균 토크는 각각 11.05, 9.07, 7.04, 3.75 Nm로 나타났다. 식부 깊이 middle에서 주간거리 26, 35, 43, 80 cm에 따른 PTO축의 평균 부하는 각각 12.20, 9.86, 7.94, 4.32 Nm로 나타났다. 주간거리가 80cm를 기준으로 43, 35, 26cm로 점차 감소할 때 식부 깊이 low에서 토크 비는 각각 88, 143, 195%로 증가하였으며, 식부 깊이 middle에서의 토크 비는 각각 84, 128, 182%로 증가하였다. PTO 부하는 주간거리가 짧을수록 증가하였고, 작업 조건에 따라 변동하였다. 그러므로 정식 작업 시 정식기의 부하와 내구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작업조건을 선정해야함을 알 수 있다.

      • 로타리 작업 시 105마력급 농업용 트랙터의 소요동력 분석

        김완수 ( Wan-soo Kim ),최창현 ( Chang-hyun Choi ),박성운 ( Seong-un Park ),김용주 ( Yong-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본 연구는 로타리 작업에 따른 105마력급 농업용 트랙터의 소요동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요동력 측정 시스템은 차축 토크미터, PTO 토크미터, 주/보조 유압센서, 데이터 수집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트랙터는 동양물산 105 HP급 트랙터 (S07, TYM, Korea)이며, 작업기는 로타베이터 (SW 230GL, Sungwoo Industrial Co. Ltd, Korea)를 사용하였다. 포장시험은 전라북도 부안군에 죽림길에 위치한 4,000 m<sup>2</sup> (100 m × 40 m) 크기의 경작지 2곳에서 수행하였다. 포장시험 시 작업 단수는 주행단수 L3단 (2.38 km/h)에서 PTO 단수 1단 (540 rpm)과 2단 (750 rpm)으로 설정하였고, 로타리 작업 시 경심은 13 cm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트랙터 작업은 동양물산의 성능시험 업무를 맡고 있는 숙련된 작업자가 숙달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포장시험지의 토양환경은 임의의 15곳에서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토성, 함수율, 원추 관입지수에 대하여 미국 농무부 (USDA)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토양환경 분석 결과 토성은 Sandy loam (사양토), 평균 함수율은 35.15%, 평균 원추관입지수는 1,562 kPa로 나타났다. PTO 1단 작업 시 트랙터의 평균 소요동력은 차축, PTO, 주 유압, 보조 유압에 대하여 각각 1.8, 54.0, 1.3, 그리고 1.1 hp로 나타났다. PTO 2단 작업 시 트랙터의 평균 소요동력은 차축, PTO, 주 유압, 보조 유압에 대하여 각각 1.2, 79.4, 1.2, 그리고 1.0 hp로 나타났다. PTO 1단 작업 시 소요동력의 합은 58.2 hp로, 정격 마력 (105hp) 대비 55.43 %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PTO 2단 작업 시 소요동력의 합은 82.8 hp로, 정격 마력 대비78.85%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PTO 1단 대비 2단에서는 PTO를 제외한 차축, 주 유압, 보조 유압의 소요동력이 감소하였으나, PTO에서 약 1.47배로 크게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소요동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양한 작업기 및 작업 단수에 따른 소요동력을 분석하여 농업용 트랙터의 모든 부하 조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플라우 경운 작업 시 토양 수분함량이 트랙터 견인 성능에 미치는 영향

        김완수 ( Wan-soo Kim ),박성운 ( Seong-un Park ),최창현 ( Chang-hyun Choi ),김용주 ( Yong-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본 연구는 토양 수분함량이 트랙터 견인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견인 부하 데이터를 토양 수분함량에 따라 분류하고 견인 성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시험용 트랙터는 78 kW급 트랙터 (S07, TYM, Korea)를 사용하였으며, 견인 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견인 부하 계측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작업기는 8련 플라우를 사용하였으며, 단수는 M3 Low (7.09 km/h)로 설정하였다. 필드시험은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크기 4,000m<sup>2</sup> 논에서 수행하였으며, 시험지를 약 9m2의 크기로 구분하고 수분함량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각 위치에서 수분함량을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시험지의 수분함량은 약 20~50%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수분함량을 10% 범위씩 3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수분함량이 20~30%에서 30~40%, 40~50%로 각각 증가할 때 견인계수는 각각 5.8%, 9.3% 증가하였으며, 견인 효율은 각각 4.9%, 5.1%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슬립율은 증가하며, 일정 범위 이상의 높은 슬립율은 견인 효율 저하의 원인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