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혈당 흰쥐에서 상엽(桑葉)의 혈당 조절과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

        김오곤,정지천,Kim, Oh-Gon,Jeong, Ji-Cheon 대한한방내과학회 2006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7 No.4

        Objectives : Diabetes is a disease in which the body does not produce or properly use insulin. Etiological studies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showed that oxidative stress might play a major role. Therefore, many methods have been tried to regulate oxygen free radicals for treating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Because Mori foliumhas been known to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the methanol extract of Mori folium was tested for its effectiveness in reducing the oxidative stress induced by streptozotocin. Methods : The crushed Mori folium was extracted 3 times, each time with 3 volumes of methyl alcohol at $60^{\circ}C$ or 24 h. The extract was filtered and evaporat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rotary evaporator to yield 11.7 g. Mori folium extract was oral-administered to diabetic rats induced by streptozotocin at 100 mg per 1 kg of body weight for 20 days. The efficacy of the Mori foliumextract was examined with regard to the enzymatic pathways involved in oxygen free radical production and glutathione balance. Results : The effects of the Mori folium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ith regards to body weight, blood glucose and insulin level, hepatic lipid peroxide level, hepatic glutathione level,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level, hepatic aldose reductase activity, and hepatic sorbitol dehydrogenase activity were shown to be good enough to cure and prevent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ori folium might reduce oxidative stress in tissues and organs by regulating the production of oxygen free radicals. Especially Mori folium might prevent and cure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by reducing oxidative stress in the ${\beta}-cells$ of the pancreas.

      • SCOPUSKCI등재

        흉막에서 기원한 원발성 기형종 -1례 보고-

        김오곤,이석재,홍종면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11

        흉곽내 기형종은 주로 전방 종격동에서 발견된다. 흉막에서 기원한 기형종은 1례가 보고되었으며, 주로 신경아교세포로 구성되었고 림프절 전이를 동반한 흉막에서 기원한 기형종 1례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한다. Intrathoracic teratoma is mainly found on the anterior mediastinum. For teratoma of the pleura, one case was described. We have presented what we believe to be the first report of a teraroma of the pleura, which was mainly composed of neuroglial cells and was accompani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 KCI등재후보

        흉부둔상에 의한 심막기종: 치험 1예

        김오곤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8

        흉부둔상에 의한 심막기종은 매우 드물다. 교통사고에 의해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로 초기 흉부단순촬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흉부단층촬영상 좌측 기흉과 함께 심막기종이 발견되어 좌측 흉막에 흉관을 삽입한 후 해결된 경우가 있어 보고한다.

      • SCOPUSKCI등재

        심장으로 전이된 악성 흑색종 - 1례 보고 -

        김오곤,홍종면,이석재,홍장수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9

        저자는 심장의 우심실내에 입구와 출구를 막는 커다란 전이성 흑색종 1례를 수술치험하였기에 보고한다. 49세 여자환자로 호흡곤란과 전신부종의 증상을 보였다. 심초음파상 우심실내에 커다란 종괴와 심낭액을 보 였다. 심폐 체외순환후 심실내 종괴를 제거하였고, 악성 흑색종으로 판명되었다. 환자는 수술후 30일 현재 양호하다. We report a case of a resection of very large intracavitary metastatic malanoma causing obstruction of the right ventricular inflow and outflow tract of the heart. A 49-year-old woman with dyspnea and generalized edema was seen. Echocardiography reveal an intra cavitary mass occupying the entire right ventricle and pericardial effusion. The lesion was palliatively resected using a cardiopulmonary bypass and was confirmed as a malignant melanoma. The patient is alive and improved symptomatically 30days after the operation.

      • SCOPUSKCI등재

        수장부 다한증환자의 흉부 교감신경절단술후 교감신경 피부반응

        김오곤,홍종면,이석재,홍장수,이광래,김상규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6

        배경: 다한증에 대한 교감신경절단술은 안전하며 확실한 치료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다한증 환자의 교감신경절단술의 객관적 평가와 추적 관찰을 위해 수술 전후 교감신경 피부반응검사(Sympathetic Skin Response, SSR)를 시행하였고 그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장부다한증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교감신경절단술 전후에 Medelec Sapphire Plus 근전도 기기를 이용하여 교감신경 피부반응을 검사하였다. 환자는 앙와위 자세에서 우측 정중신경을 전기자극하여 이를 네 개의 채널로 우측 손바닥, 좌측 손바닥, 우측 발바닥, 좌측 발바닥에서 동시에 기록하였으며 피부 온도도 같이 측정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T2,3 교감신경절단술을 시행하였다. 2명의 환자에서는 수술 한달 후에 교감신경피부반응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임상적으로 15명 모두에서 만족스러운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수술 후 합병증으로 5명의 환자에서 적은양의 잔유 기흉이 있었으나 자연 흡수되었다. 추적 관찰에서 재발은 없었고 10명(66%)의 환자에서 보상성 다한증을 호소하였다. 수술후 모든 환자에서 교감신경 피부반응의 변화를 보였고 15명중 양손에서는 12명(80%), 양발에서는 6명이 교감신경 피부반응의 완전소실을 보였고, 나머지 환자에서도 잠복시간은 양측 손과 발에서 현저히 지연되어 나타났으며 진폭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수술 한달 후 검사 할수 있었던 2명의 환자에서 수술 직후 검사와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피부 온도는 수술전 양쪽 손과 발에서 정상보다 낮았으며 수술 후 양측 손과 발에서 모두 상승하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5), 발에서 보다 손에서 더 많이 상승하였다. 결론: 수장부 다한증 환자의 교감신경절단술후 모든 환자에서 양쪽 손과 발에서 피부온도의 상승과 교감신경 피부반응의 변화를 보였고, 12명의 환자(80%)에서는 양손에서 교감신경 피부반응이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추적관찰에서도 술후 검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교감신경 피부반응검사는 다한증 환자의 교감신경절단술후의 평가와 재발 등의 추적관찰에 있어서 객관적인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Thoracic sympathicotomy has been used safely and successfully to manage palmar hyperhidrosis.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ecording of Sympathetic Skin Responses(SSR) was performed for objective evaluation and follow-up of thoracic sympathicotomy in hyperhidrosis patients, and also for ascertaining the clinical usefullness of SSR. Material and Method: The recording of SSR was performed on 15 patients suffering from palmar hyperhidrosis with Medelec Sapphire Plus electromyogragh before and after thoracic sympathicotomy. Eletrical stimuli on the right median nerve was made in patients in supine position and results were recorded on right and left palms with soles at the same time by 4 channels. Skin temperatures were also monitored simultaneously. T2,3 sympathicotomy was performed with VATS in every patients. SSR was done in 2 patients one month later. Result: Clinically, all patients had symptomatic improvement with satisfaction.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small amount of residual pneumothorax in 5 patients but it was absorbed sponteneously. There was no recurrence during follow-up period and ten patients(66%) complained compensatory hyperhidrosis. After operation, SSR change was shown in every 15 patients. Abolition of SSR on both palms was achieved in 12 patients(80%) and on both soles in 6 patients. In the other 3 patients, the latencies were significantly delayed and the amplitud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t both palms and soles. In two patients who were examined at one month later after operation, similar results with postoperative SSRs were shown. The skin temperature on preoperative both palm and sole were lower than normal temperature, and those on postoperative both palm and sole were increased. Those had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and the temperature on the palm was increased higher that than on the sole. Conclusion: After thoracic sympathicotomy was performed on palmar hyperhidrosis patients, an increment of skin temperatures and SSR changes were achieved at both palms and soles of all patients. Palmar SSRs were completely abolished in 12 patients(80%), and similar results of postoperative SSRs were achieved. The recording of SSR may be useful to easily and objectively assess the completeness of sympathicotomy and the follow-up of recurrence in hyperhidrosis patients.

      • SCOPUSKCI등재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성적

        김오곤,이석재,홍종면,홍장수,전용선,김공수,한헌석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1

        Background: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optimal method as a treatment for the patent ductus arteriosus in the premature infants. Material and Method : Between April 1994 and April 1997, 45 premature infants with evidence of a hemodynamically significant patent ductus arteriosus associated with cardiopulmonary compromise underwent indomethacin therapy, surgical treatment, or both. Thirty-nine infants received indomethacin and twelve infants among them were surgically ligated because of indomethacin failure(5) or complications(7). Six infants, who weighed less than 1,500 gm at birth, were referred for primary surgical ligation because of contraindication to indomethacin therapy. Result: The failure rate of indomethacin therapy was 43%(17/39) and the complications(13/39, 33%) to the indomethacin were associated with a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Among the infants who underwent ligation, there were no failures and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This data suggests that in the premature neonate with a hemodynamically significant PDA, (1) indomethacin therapy is associated with a high failure rate and significant complications, (2) surgical duct closure is associated with minimal morbidity. Conclusion: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not suggest the optimal management for PDA in premature infants, primary surgical ligation may be considered. However, long-term studies will be needed to confirm this later. 배경: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에 있어서 동맥관개존증으로 진단되어 치료받은 례를 대상으로 인도메타진 투여와 외과적 치료를 비교하여 향후 동맥관개존증의 치료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4월 부터 1997년 4월까지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동맥관개존증으로 진단을 받은 환아 45명을 대상으로 임상기록지를 관찰하였다. 39명의 환아가 인도메타진 투여를 받았으며, 그중 12명이 인도메타진 치료의 실패(5명)나 합병증(7명)으로 수술적 결찰술을 받았다. 6명은 인도메타진의 비적응증으로 인해 일차적수술을 받았으며, 이들 모두 1500 gm이하였다. 결과: 인도메타진 투여의 실패율은 43%(17/39)였으며 1500 gm이하 환아들에서 그 실패율이 높았다. 인도메타진의 합병증은 39명중 13명(33%)의 환아에서 발생하였으며 향후 치료 경과나 사망률에 나쁜 인자로 작용하였다. 모든 경우에 있어 수술 및 마취와 관련된 합병증 및 사망 경우는 없었으며, 수술 받은 환아의 사망률은 50%로 높았으나 이는 인도메타진의 비적응증 및 그 합병증에 해당하는 술전 환아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상기 결과로부터 동맥관개존증을 동반한 미숙아의 치료방향을 설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수술적 결찰술을 일차적 치료법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폐종양과 폐암의 병기결정에 대한 양전자단층촬영(PET)의 유용성-전산화단층촬영(CT)과의 비교-

        김오곤,조중행,성숙환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2

        배경: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CT)의 폐암 진단율의 한계로 인하여 최근 폐암에 대한 진단과 병기결정에 양전자단층촬영(PET)이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우리나라 폐암 환자에서 진단 및 병기 결정에 전산화 단층촬영과 양전자단층촬영의 진단율의 차이점과 유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흉부 X-선 촬영과 CT에서 폐암이 의심되거나 진단된 55명에서, 타 장기에서 폐로 전이된 9명과 폐암수술후 재발된 5명을 제외한 41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CT와 PET 소견과 종격동경이나 개흉술로 확진된 조직병리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41명 대상환자 중 폐종양의 조직학적 진단은 악성병변이 35례(편평세포암 19례, 선암 14례, 선편평세포암 2례)였고, 양성병변은 6례였다. 폐종양의 악성여부에 대한 CT와 PET 두가지 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같았으며 각각 100%, 50%, 92.7% 였다. 최종적인 병리적 림프절군 병기는 N0-N1 31례, N2 8례, N3 2례 였다. 림프절군 병기가 일치하는 경우는 CT가 31례, PET가 28례 였고, CT와 PET의 각각 6례에서 병리학적 림프절 병기보다 낮게 평가되었고, CT의 4례, PET의 7례에서 병기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조직검사가 가능했던 108개의 종격동 림프절군 중 18개 림프절군에서 악성으로 나왔고, 종격동 림프절군 침범여부에 대한 CT와 PET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39.8%, 93.3%, 84.3% 와 61.1%, 90.0%, 85.2% 였다. 종격동 림프절군에 대한 CT와 PET 검사를 종합하여 같이 분석하였을 때 민감도 77.8%, 특이도 93.3%, 정확도 90.7%이었다. 결론: 폐종양과 림프절군의 병기 설정에 있어 PET검사는 CT와 비교하여 비슷한 유용성이 있는 검사로 사료되며, CT와 PET 두 검사를 같이 시행하여 검토할 때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고 여겨진다. 24.Kernstine KH, McLaughlin KA, Menda Y, Rossi NP, et al. Can FDG-PET reduce the need for mediastinoscopy in potentially resectable nonsmall cell lung cancer? Ann Thorac Surg 2002;73:394-402 25.Dhital K, Saunders CAB, Seed PT, O'Doherty MJ, Dussek J.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its prognostic value in lung cancer. Eur J Cardiothorac Surg 2000;18:425-8 Efficacy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Diagnosing Pulmonary Tumor and Staging of Lung Cancer: Comparing to Computed Tomography

      • KCI등재후보

        양산지역공단의 중소기업 고용환경이 직무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오곤(Oh-Gon Kim),김창태(Chang-Tae Kim) 실천경영학회 2022 실천경영연구 Vol.17 No.2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mployment environments on job satisfaction against small and mid-sized enterprises in Yangsan Industrial Complex and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After all, a company is composed with employees, and their competitiveness becomes business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employment environment’ was chosen for an independent variable, and its sub factors were set to ‘wage’, ‘employment stability’, ‘terms of employment’ and ‘company welfare’.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for its sub factor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selected. The hypothesis, “employment environments had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was partially supported. In addition, an additional empirical study was performed provided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 SCOPUSKCI등재

        신세포암에 의한 하대정맥 악성 혈전 -치험 4례-

        홍종면,김오곤,이석재,노윤우,이조한,홍장수,김원재,임승운,안재호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11

        신세포암은 환자의 약 5∼10%에서 하대정맥을 침범한다. 이러한 경우 수술적으로 함께 제거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로 되어있다. 최근에는 간정맥 유입로 상부에 위치한 하대정맥내의 종양 혈전 제거술의 경우 체외 순환을 통한 순환 정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교실에서는 근치적 신적출술과 함께 하대정맥내의 종양 혈전 제거술을 4례 치험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간정맥이하의 하대정맥 혈전으로 체외 순환의 도움 없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시행되었으나, 그 중 한 환자에서 간정맥의 유입로보다 상부에 위치한 하대정맥혈전이 재발되어 순환정지후 혈전제거술을 시행하였다. 네 명의 환자 모두 특별한 문제없이 회복되었다. Renal cell carcinoma involves the inferior vena cava(IVC) in approximately 5-10% of the patients. Presently surgical extirpation is the only form of therapy that can result in cure. Circulatory arrest with cardiopulmonary bypass is an operative technique that recently has been used to assist in resection of tumors that extend into the vena cava above the level of hepatic veins. We performed removal of tumor thrombi of IVC in 4 patients. All of them who had the renal cell carcinormas with infrahepatic vena caval extension were performed by standard surgical technique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 But in one patient, inferior vena caval thrombectomy was done using circulatory arrest because of the recurred extension of the tumor thrombi within the vena cava above the insertion of the hepatic vein. All patients were recovered without any significant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