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기림 시론에서의 모더니티와 역사성의 문제

        김예리(Kim Ye-rhee)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1

        이 글은 김기림 시학에서 ‘시의 회화성’이라는 말로 표현되는 이미지의 강조가 정태적인 이미지가 아닌 시대의 현실을 포착하고 이를 통해 문명 비판의 계기를 마련하는 단초였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개별적인 정서로서의 리듬이 아니라 상징적 주체의 눈을 통해 그려지는 대상-세계의 이미지로의 전환은 상상적인 시에서 구상적인 시로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김기림은 보편적 언어로 구성되는 시만이 비판되고 감상될 수 있다고 여겼으며, 이러한 예술의 보편성 속에서 비로소 현실 비판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따라서 김기림이 현대시의 특질로 들고 있는 ‘시의 회화성’으로 구현되는 이미지가 문자 그대로 단순히 그림 같은 아름다운 이미지로 간주하거나, 활자의 배열이나 글자의 크기와 같은 인쇄 미학적인 시각으로만 ‘시의 회화성’의 문제에 접근해서는 안 되며, 시인주체의 현실의 인식문제와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김기림에게 이미지란 시간성이 내포된 동력적이고 움직이는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미래파적 감수성으로 설명되곤 했던 이러한 이미지는 오히려 에즈라파운드 등의 ‘소용돌이파’의 이미지와 유사하다. 에즈라 파운드는 미래파처럼 직선으로 뻗어나가는 시간 이미지 대신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이미지를 중첩함으로써 동적인 에너지가 풍부한 이미지를 생산하고자 했다. 김기림 역시 이미지의 역동성을 시어의 배열이나 결합이라는 언어구조 속에서 포착하려고 한다. 이러한 병치의 기법은 수사학에서 알레고리 기법과 유사하다. 이러한 병치로서의 알레고리 이미지는 ‘시공간의 동존성’이라는 말로 설명되는 초현실주의 기법이 생산하는 이미지와도 연관성을 갖는다. 시공간의 동존성이나 비약과 같은 방식으로 현실 시간의 문법적 질서를 비웃는 초현실주의적 방법론은 현실이지만 근대적 이성의 문법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현실의 무의식을 이미지화할 수 있다고 김기림은 생각했다. 이렇게 평범한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세계를 이미지로 드러내는 것이 새로운 가치 창조자로서의 시인의 임무로 여겼다. 즉, 의식과 무의식, 주관과 객관, 과거와 현재와 미래, 현실과 꿈의 모든 경계를 와해하는 초현실주의적 이미지는 김기림에게 세계의 고정된 질서를 파괴하고 억압된 의식의 빈곤한 상상력을 자극시켜 세계의 역사적 흐름의 방향을 뒤흔들어 놓는 혁명적인 이미지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런 역사적 혁명성을 상실할 때, 초현실주의는 센티멘탈리즘과 구분되지 않는다. 즉, 김기림의 센티멘탈리즘의 비판은 단순히 애상적인 정조에 있지 않았다. 그의 센티멘탈리즘 비판의 핵심은 현재를 보지 못하는 과거 회귀적인 태도에 있었다. 현재 시간의 상실감을 퇴행적 시간으로 채우려는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노스탤지어야말로 김기림이 비판하는 핵심이었다. 현재의 상실의 체험을 서늘하게 인지하고 있는 멜랑콜리적 태도와는 구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김기림에게 미래라는 시간은 언제나 현재를 ‘통해서만’ 인식될 수 있는 것이며, 현재를 무시한 미래 진보적 태도는 아니었다는 점을 놓쳐서는 안 된다. 김기림에게 미래로 진보한다는 것은 현재의 시대를 예각적인 각도를 통해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태도에 의한 정확한 판단을 통해서만 가능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When Kim Kirim emphasizes the workings of image or painterliness of poem in his poetics, his focus is not on the statics of images. This paper argues that Kim's concept of image provides him with the base for his own apprehension of the reality and critiques of civilization. His concept of image epitomizes the transition from the rhythm a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emotions to the image of objective world which is essentially visualized through the symbolic subject. This transition can be interpreted as the transition from imaginary poem to figurative poem Kim thinks that the only poem that we can appreciate is the poem that is written in the universal language and the universality realized in this kind of poem opens the possibility to critique the reality. The image realized through the painterliness of poem, which Kim defines as characteristic of modem poem, cannot be regarded as the pictorial beautiful image. It also cannot be limited to typographic techniques, such as unusual arrays of types or irregular size of letters. It has to be considered with the issue of poet-subject's perception of reality. For Kim, image is the dynamic and moving image which implies temporality. This image, that has been explained in tandem with the futuristic sensitivity, is rather related to the concept of image in vorticism, whose primary figure was Ezra Pound. Instead of futurists' linear temporal images, Pound attempted to produce the image charged with the dynamic energy through reiteration of complex and multi-layered images. Kim also tries to grasp the dynamics of images in structure of language, which is expressed through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poetic words. This technique of arrangement is similar to allegory in rhetoric. This allegoric image as arrangement is related to surrealistic image characterized as the simultaneity of time-space. From Kim's point of view, the surrealist methods of the simultaneity of time-space or jump of logic, with which one can ridicule the grammar of temporality in the reality, are strategies to imagine the unconscious of the reality that is blocked from the eyes of modem form of reason. It is poet's calling to reveal the world that is blocked from these ordinary eyes. The surrealist image, that blurs the borderlines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subject and object, past, present, and future, reality and dream, is the image of revolution. This revolution implies the turnabout of the world history through destructing the fixed order of the given world and giving an impetus to poor imagination of the repressed consciousness. If surrealism loses this revolutionary character, it will not be distinguished from sentimentalism When Kim critiques sentimentalism, his focus was on rather regressive attitude than elegiac tone of poem. In other words, Kim criticizes the attitude to fill in the sense of loss in the present with the regressive time. He defines this attitude as the passive and negative nostalgia. This needs to be discerned from the melancholic attitude with which one can face the reality of loss. To appreciate the significance of Kim's poetics, it is necessary to conceive the time of future can be perceived only through the present. His futuristic attitude always accompanies with the precise conception of the present. For Kim, the task to progress to the future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the precise judgement of the present world with objective and scientific attitude.

      • KCI등재

        김춘수의 ‘무의미시론’ 비판과 시의 타자성

        김예리(Kim, Ye Rhee)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8

        김춘수는 언어를 매체이자 질료로 하는 시가 사물과 관계하는 양상 그 자체를 시로 형상화한다. 다시 말해 그는 시를 규정하는 이론을 다시 시적 사유의 대상으로, 혹은 개념을 이미지로 전치시키고 있는 시인인 셈이다. 김춘수 텍스트의 문학사적 위치를 이렇게 규정해볼 때, 김춘수 텍스트의 시적 주체의 인식범위는 근대적인 인식주체의 인식범위를 초과하는 동시에 그것에 미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김춘수의 시적 주체는 메타적인 위치에서 코기토적 주체가 보지 못하는, 주체와 대상 상호간의 관계성을 응시하는 동시에, 코기토적 주체처럼 대상을 장악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김춘수가 단지 존재와 인식의 문제만을 사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존재를 표현해내는 언어의 층위까지 사유의 대상으로 끌어들이고 있기 때문에 가능해진 사태일 것이다. 이글은 김춘수의 텍스트를 해석함에 있어 이와 같은 김춘수의 독특한 인식태도를 염두에 두며, 크게 두 가지를 논의해보았다. 첫째는 김춘수의 시적 언어에 대한 탐구의 여정을 기존의 김춘수 연구들이 주로 선택했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는, 주체의 호명행위나 주체의 인식행위의 관점과 같이 주체의 자리에서 출발하는 방식을 역전시켜, ‘관람자-주체’의 관점으로 재구성해봄으로써, 존재와 언어에 대한 탐구라는 주제가 특히 선명하게 드러나는 『꽃의 소묘』와 그 이전 시집들 간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둘째는 ‘순수’의 극단까지 치달았던 ‘무의미시’라는 시적 실험의 한계를 논의해보았다. 이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무의미시’라는 김춘수의 시적 실험은 관습적인 의미를 해체함으로써 의미를 무화하는 시적 상상력과 관계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극한의 시적 자유를 구현해내는 것이라는 평가에 김춘수 연구사는 동의하고 있다. 이글은 이러한 평가에 의문을 제기하며, ‘무의미시’가 추구하는 ‘예술의 자율성’으로서의 ‘순수’라는 개념을 비판하고, 이러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무의미시론’의 한계와 김춘수의 새로운 시론으로서 ‘접붙이기’ 시학의 의미를 구명해보고자 하였다. Choon-soo Kim embodies the aspects itself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the thing by poems. That is, he transposes the theory itself that regulates poetry to the object of poetic thinking, or the concepts to the images. In this regard, the recognition range of poetic subject of his texts excesses the range of modern epistemic subject and doesn"t meet it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subject of his texts gazes at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at is the subject of cogito cannot, and accepts that he cannot grasp the object like the subject of cogito. This is possible because Kim doesn"t speculates only the matter of the perception and the being but also the language itself that express the being. This study argues about two themes, considering Kim’s suchlike attitude. First, this study, in terms of a ‘spectator-subject’, looks in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early collections of poems and “A Sketch of Flower”(『꽃의 소묘』) that is revealed the theme of the search of the being and languages. Second, it argues about the limit of his experiment in poetry named ‘Nonsense poem theory’. There is not without a different view, on the whole, the studies about Kim have estimated that his experiment in poetry named ‘Nonsense poem theory ’embodied poetic liberty to the limit. This study raises questions about the concerns and criticizes the concept of the ‘pure’ in terms of autonomy of art. In this critical reflections, this study looks into the limit of ‘Nonsense poem theory’ and the meaning of the poetics of the ‘Grafting’ that he newly presents.

      • KCI등재
      • KCI등재

        세상에 젠더가 없다면 : 앤 레키의 젠더리스 우주제국

        김예리 ( Kim Yaeri ) 영미문학연구회 2018 안과 밖 Vol.0 No.45

        The freedom to create fictitious worlds that science fiction offers has been utilized by numerous women authors to reimagine gender and sexuality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genre. One of the most recent examples in this tradition is Ancillary Justice, a 2013 novel by Ann Leckie. The novel is known for its depiction of a futuristic civilization where the idea of gender is unknown and its entirely ungendered cast of characters, all of whom are denoted by feminine nouns and pronouns. This article locates Ancillary Justice within the tradition of women’s science fiction that envisions alternative concepts and structures of gender and sexuality and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its “genderless” world and narration. By imagining a society without gender binary and describing from the insider’s perspective Ancillary Justice continues and contributes to the legacy of women’s science fiction that challenges the patriarchal norms by presenting alternatives. Furthermore, its ungendered characters, including the narrator, reveals the readers’ dependence on the rigid gender binary and invites them to imagine human identities and interactions without it. On the other hand, the genderlessness of the society without gender prevents the narrative from addressing gender issues directly, while the action-oriented conventional narrative structure carries the risk of undermining the radical imagination of the novel.

      • KCI등재

        대안과 도피, 혹은 강요된 연결: 가상현실에 대한 과학소설적 상상과 저커버스의 메타버스 담론

        김예리 ( Kim Yaeri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24 현대영미소설 Vol.31 No.1

        The metaverse, a concept of shared virtual reality that captured the public imagination in 2021 and 2022, derives its name and conceptual foundation from science fiction. Nevertheless, the emphasis on the connection between real-life and digital identities in the contemporary discourse diverges significantly from its fictional origins and later depictions in popular culture. This article demonstrates these contrasting conceptualizations by analyzing the portrayal of cyberspace in William Gibson's Neuromancer, which pioneered the idea of digitally constructed alternative spaces, and Mark Zuckerberg's 2021 Facebook Connect speech, which sparked the metaverse boom with the announcement of Facebook's transition to Meta. Gibson envisions cyberspace as an alternative realm where agency and subversion precluded in the material realities of the dystopian future are made possible. Such a possibility cannot be found in Zuckerberg's conception of Meta, which aims to blur the boundary between physical and virtual spaces. Ironically, Neal Stephenson's Snow Crash, from which the term metaverse originates, offers one of the most compelling warnings against the danger of such excessive connectivity through its depiction of the metaverse as a degraded version of cyberspace and the overly connected minds as a contagious disease.

      • KCI등재

        이상 시의 공백으로서의 ‘거울’과 地圖的 글쓰기의 상상력

        김예리(Kim Ye-rhee)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5

        이 글은 이상의 시에서 근대적 주체로서의 자아 정체성 탐구와 라캉적 거울 단계의 순간이라고 할 수 있는 주체 분열의 순간들과 연결되는 ‘거울’ 기호를 중심으로 이상의 글쓰기의 특징과 관련지어 논의한다. 이 글은 거울에 사영된 상에서 시작하여 이상의 ‘거울’ 기호를 해석하는 일반적인 방향을 역전시켜, 순수 표면으로서의 ‘거울’ 기호에 집중한다. 거울은 모든 것을 반사하므로 순수표면으로서의 거울은 표상될 수 없다. 그러나 이상의 〈오감도 시제7호〉와 「자화상〉 등의 텍스트에서 순수 표면으로서의 ‘거울’, 혹은 ‘얼굴’ 기호가 상상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시제7호〉에서 상상되고 있는 ‘거울’은 공백으로서의 ‘거울’이고, 〈자화상〉에서 이상은 공백으로서의 얼굴을 스스로의 얼굴과 동일시한다. 그리고 이 공백으로서의 ‘거울’ 혹은 ‘얼굴’은 이상 텍스트에서 글쓰기판으로 은유되고 있다. 즉, 이상 텍스트에서 ‘거울’은 생성의 지점이며, 이상 문학을 지탱하는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공백으로서의 주체를 의미하는 공백으로서의 ‘얼굴’은 순수 거울 표면과 등치되고 있다. 공백으로서의 주체가 글을 쓰는 방식은 지도적 글쓰기와 타이포그래피적 글쓰기의 형식을 취한다. 일반적으로 이상의 〈오감도〉를 건축설계적 상상력인 조감의 시선으로 읽어왔다. 그러나 〈오감도〉는 까마귀라는 이 세계에 배제된 대상이 응시하는 지도라 보는 것이 적절하다. 조감도는 일개의 개별적 시점을 전체적 시점으로 착각한 착시의 결과물이다. 반면 지도에서는 통상적으로 말하는 의미에서의 ‘시점’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지도를 보는 시점은 지도의 평면 전체 위에 편재하고 있다. 지도에서 공간을 내려다보고 있는 시점은 특정의 ‘누군가’에게 귀속하는 시점이 아니다. 조감도가 시점의 주인, 즉 주체의 시선으로 사물을 포획해서 시선 안에 들어오지 못하는 것들을 배제해버리는 것이라면, 지도는 시점을 포갬으로써 조감도에서 배제되었던 것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감도가 전체성을 지향한다면 지도는 일종의 ‘비-전체not-whole’의 집합이다. 시점이 포개짐으로써 구성된 지도는 조감도의 관점에 의해 배제되었던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조감도와 지도의 이러한 구분법에 비추어본다면, 이상의 〈오감도〉는 다분히 지도적 세계이다. 지도는 이미 구성된 전체라는 것이 있어서 그것이 그 안의 내용들을 규정해내는 것이 아니라 ‘비-전체’의 집합이 지도가 초월적 가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그리고 지도 제작에 중요한 것은 무수한 시점의 포개짐이고, 그 시점에 의해 수합된 정보의 배치이다. 이상의 글쓰기에는 이러한 지도적 상상력과 배치의 상상력이 작용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traits of Lee Sang's writing, especially is connected with the mirror related to modern identity and the fundamental split of Lacanian subject. In Lee Sang' s text, the mirror symbolizes his desperation, on the same time symbolizes escapeway from the desper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sign of mirror as pure-surface. Because of the feature of mirror which reflects everything, the mirror cannot be represented as pure-surface. But in 〈Crow's eye-view No 7〉(오감도 시제7호), 〈Self-portrait〉(자화상) and others, Lee imagines the mirror and the face as pure-surface. Expecially in 〈Self-portrait〉, Lee identities the face as the void with his face. And this void mirror and void face are a metaphor for the writing board. In other words, the mirror is the generable spot and the face in Lee Sang's text. And the void face is on equal terms the mirror as pure surface. The subject as the void is a cartographer and a typographer. In general 〈Crow's eye-view〉 are comprehended by the bird's eye-view of the architectural imagination. But 'Crow eye-view' have to be comprehended by the cartography that the eliminated object in our world gaze at. The bird's eye-view is outcome of an optical illusion, that is, mistaking the individual view for the whole view. Whereas a map has not a visual point but widespread visual point. The map's visual point is not restored to someone. A bird's eye-view points to the wholeness, on the other hand a map points to not-whole. Through a map we can look at the thing which was excluded by the one visual point of a bird's eye-view. In this context, Lee Sang's 〈Crow's eye-view〉 are in cartographical system. And the focus of cartogtaphy is the overlapping with lots of visual points and the arrangement of informations which gather together by overlapped visual points. In Lee's writing, therefore we must focus on the cartographical imagination and the imagination of arrangement.

      • KCI등재

        80년대 ‘무크 문학’의 언어 풍경과 문학의 윤리

        김예리(Kim, Ye-rhee) 국어국문학회 2014 국어국문학 Vol.- No.169

        본 논문은 『시와 경제』와 『시운동』을 중심으로 무크 문학이 80년대 문학 담론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문학 제도의 공백 속에서 탄생한 80년대 무크 문학은 ‘문지’와 ‘창비’ 중심의 70년대 문학 구도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제도 바깥에 소외되었던 타자들의 욕망들이 분출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무크 문학을 곧장 ‘타자 글쓰기’ 담론으로 연결시킬 수는 없다는 점이다. 무크 문학이 기존의 문학 제도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무크 문학은 타자가 주체화되는 과정의 맥락 속에 있다기보다는 ‘제도의 반성적 해체’의 맥락 속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무크 문학을 탐색할 때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기존의 제도 문학에서는 부재했던 ‘타자’를 위한 자리가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었는가를 고려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무크 문학이 기존 문학 담론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제도의 반성적 해체’라는 관점으로 접근할 때, 80년대 탄생한 무수한 무크지들 중에서도 특히 『시와 경제』와 『시운동』은 80년대 무크 문학의 의미를 구체화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들이 된다. 왜냐하면 이 둘은 모두 공통적으로 기존의 지식 담론과 그 담론을 구성하고 있는 언어 질서를 부정한다는 태도를 표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80년대 문학에서 무크문학의 위치 및 『시와 경제』와 『시운동』이 무크 문학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이와 같이 규정하면서 이 두 무크지가 보여주는 자기반성적인 윤리와 이러한 태도들이 만들어내는 언어의 풍경을 무크지에 수록된 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Si Undong”[Poetic Movement] and “Siwa-kyoungje”[Poetry and Economy] in the 80s literary discourse. The 80s Mook literature, which appeared on the stage when the 70s literary system was falling apart, made a new atmosphere in the 80s literature. And then the desires of the others which had been alienated form the previous literary system were able to be erupted by the 80s Mook literature. But We cannot connect the other writing and the Mook literature directly. Because it is in the context of the Self-reflexive deconstruction of the literary system, not in the context of the subjectification of the others. So more important things that we should analyse are about how the others can come in the literary system structurally before they couldn’t. Especially, “Si Undong” and “Siwa Kyoungje” which are the 80s Literary Coterie are very important references to read the Mook literature into something, when we approach the 80s Mook literature in the point of view of the Self-reflexive deconstruction of the literary system. Because both of them declare themselves against the language of intellectual discourse. Considering Mook literature from this perspective, I try to read the self-reflective voice of Mook literature.

      • KCI등재

        ‘언어로의 전회’와 인문학으로서의 작가론

        김예리(Kim, Ye Rhee)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1

        지금까지 본 논문은 ‘언어로의 전회’ 이후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작가론이라고 하는 연구 형식이 여전히 유효할 수 있는지, 그리고 여전히 유효하다면 작가론은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되어야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문학 연구가 담론 연구 중심으로 전환되고, 저자라는 개념 역시 담론의 질서 속으로 포섭이 된 이 시대에, 작가론이라고 하는 이 고루한 문학 연구 형식이 여전히 유효할 수 있는 이유는, 작가론의 목표가 단지 ‘저자의 의도’를 밝히는 데에 있는 아니라, 저자가 그런 의도를 품고, 또 그런 말을 하게끔 한 원인을 읽어내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는 여지가 생겼기 때문이다. 즉, 저자가 하는 말이 담론의 구조 속에서 비틀려버렸기 때문에 비로소 저자들이나 저자들의 말이 차지하고 있어 보이지 않던 ‘저자의 자리’가 보이기 시작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저자가 죽은 뒤 마침내 드러난 ‘저자가 차지하고 있던 자리’란 작가가 자신의 말로 감추고 있던 바로 그 자리이자, 누구나 그 자리에 들어서면 그 말을 할 수밖에 없게 하는 일종의 억압인 동시에 칸트적인 의미에서의 초월론적인 형식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발견된 형식이란 담론이라는 언어의 그물망 속에 갇힌 작가론이라는 글쓰기가 언어의 그물망으로부터 탈출하여 마침내 다가가야 할 문학적 진실 그 자체이다. 문제는 구조주의 이후의 시대 작가론의 새로운 연구 대상이 된 이 ‘문학적 진실’이 네거티브하지 않은 방식으로 언어화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데 있다. 이런 이유에서 본 논문은 작가론이 나가야할 방향으로 트랜스크리틱을 제안했다. 작가론이 작가의 진실이라는 것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그것을 숨기면서 드러내는 방법 밖에 없고, 이는 곧 자신의 시선을 이동시키는 행위가 없으면 작가의 진실은 결코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research type as the study of authorship still stands, despite the linguistic turn. Even though the author has already been sentenced to death, the reason that the study of authorship is still valid is the fact the goals of the study shifted. The goal of the study in the era in which the concept of the author was valid aimed to find the intension of the author, wherea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of authorship is extended even to reading the author’s unconsciousness. The ultimate goal of such a converted purpose is to look out a transcendental form from the Kantian meaning. This form means the truth of literature, which the writing named the study of authorship captured in linguistic order should come close to, after escaping linguistic order. This truth of literature, which has been dealt as an object of the study of author since the era of structuralism, does not have methodology to be expressed in language in a non-negative way. For this reason, this paper suggests the transcritique to which the study of authorship should move forward. The truth of author should be revealed in a veil for the study of authorship to approach the truth of author. This is because it means that the truth of author never comes out without an act moving a researcher"s point of view.

      • KCI등재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실무자들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김예리(Kim, Ye Ri)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2 No.52

        본 연구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경험이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5년 이상의 지원 경력을 가진 서울시 여성장애인 홈헬퍼, 경기도 장애인맞춤형도우미, 장애인종합복지관 사례관리사 총 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참여자의 일정에 맞춰 개별 또는 소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은 전사한 후 연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질적 분석 결과 ‘나를 거부하지만 또 너무 필요로 하는 가족’, ‘내겐 너무 낯설고 어려운 일’,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된 어머니-자녀-나’, ‘보다 나은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바람’의 4가지 대주제와 14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실무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지적장애 어머니와 가족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첫 시도라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ocial support network of the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family members, having a purpose to figure out their experience and recogn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having supported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0, who are the home helpers of Seoul City with more than 5 years supporting experience, the custom helpers of Gyeonggi-do Province, and the persons in charge of case management i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it was conducted by individual interviews or focus group interviews on their schedule. Every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those were classified in 4 main-themes(family who denies me and needs me as well, the thing that is very strange and difficult to me, the mother-children-me which is changed as time goes by, wishes for providing the better support)and 14 sub-themes after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is the first meaningful attempt to seek an effective supporting method for the families through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hands-on workers involved in the supporting families having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80년대 『시운동』동인의 상상력과 감각의 언어

        김예리(Kim Ye Rhee)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1

        본 논문은 80년대 시 동인지 『시운동』의 상상력과 그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80년대 시 문학은 동인지 등 소집단 활동과 무크 문학의 활발한 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졌다는 문학사적 독특함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소집단활동은 국가권력에 대한 문학가들의 대응양식으로 평가된다. 80년대는 시와 정치가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고, 이런 시대에 문학의 목적, 혹은 그 지향점은 아주 분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운동』은 바로 이러한 시대에 시의 무용성을 주장한다. 한국문학사의 맥락에서 80년대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는『시운동』의 이런 주장은 현실 괴리적이고, 또 그런 점에서 파격적인 것으로 다가온다. 본 논문은 80년대 정치적 현실 담론과의 쟁투 속에서 예외적인 발언을 하는 『시운동』의 시적 사유를 안재찬과 남진우, 그리고 이문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들은 조금씩 다른 시 세계를 보이고는 있지만, 공통적으로 현실과 삶을 직접적으로 재현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사회적 상상력을 구상할 수 있는 근원적 힘으로서의 시적 상상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안재찬은 사회적 담론이 놓쳐버리는 타자의 신체성을 끊임없이 상기시키고, 남진우는 사회적 상상력으로는 다가가지 못할 상호가역적인 세계를 이미지로 보여주며, 이문재는 담론적 언어 속에 함몰되지 않으려는 움직임을 상실의 감각으로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이들은 공통적으로 상상력의 결과물을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상상하는 ‘힘’ 그 자체를 이미지화한다. 다시 말해 ‘상상하다’라는 동사를 주어의 자리로 올려놓는 것이다.『시운동』은 현실의 운동을 언어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운동하게 함으로써 우리의 현실을 능가하는 저 너머의 세계에서 전해오는 들리지 않는 목소리가 이쪽 현실 세계로 넘어올 수 있는 통로를 만드는 존재들이며, 이를 통해 언어가 현실을 능가할 때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수 있음을 보여주는 존재들이라 하겠다. This paper analyzes peculiar imagination and its meaning developed in the coterie magazine “Si Undong”[Poetic Movement]. Reflecting o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Korean poetry in the 1980s is commonly characterized by small literary coteries’s active engagements in coterie magazines and mooks. The writers organized the movement in order to express their disapproval of state power. It is no wonder that literary writers as well as poets were engaging in dissident movement considering the political situation in 1980s South Korea. In short, poem functioned as a weapon against the authoritarian regime. However, “Si Undong”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others by declaring their motto of “the poem’s uselessness.” One might think that this easily alienates them from the real politics of the era and they are exceptional to the mainstream literature. In analysis of poetic thoughts of the group’s members, such as An Chaech’an, Nam Chin’u, and Yi Munjae, I focus on how dramatically they were exceptional. Despite minor differences in detail, they posited that poetic imagination was the only source that drove us toward a new society, distancing themselves from representing or intervening in real life and planning the future that replaces the present reality. An constantly reminds of corporeality of the other, which necessarily slips through social discourse. Nam presents the world of interchangeability, which prevents social imagination’s penetration. Yi keeps reviving movements that cannot degenerate into discursive language in his sense of loss. To sum up, they imagine the faculty to imagine itself, not the result of imagination’s working. In their poems, the verb “imagine” comes in the place of the subject. “Si Undong” opens the way through which unheard voices from the other side finally becomes audible on this side by letting language move itself, not by representing movements in reality via language. They present the language’s new possibility that transcends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