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ow Concentration PM10 Had No Effect on Nasal Symptoms and Flow in Allergic Rhinitis Patients

        김영효,고광필,강일규,정주현,오대규,장태영,김선태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7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Vol.10 No.2

        Objectives. Since Korea is geographically close to China (the origin site for Asian sand dust [ASD]) the health influence of ASD event will be still greater in Korea.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M10 (particulate matter with aerodynamic diameter <10 μm, below 150 μg/m3) on the clinical course of allergic rhinitis (AR). Methods. We enrolled 47 healthy volunteers (group A) and 108 AR patients sensitized to house dust mites (group B). For 120 consecutive days (from February 1st to May 30th, 2012), all subjects reported their daily nasal symptoms and performed 2 peak flowmeter readings to measure peak nasal inspiratory flow (PNIF).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ily concentration of PM10, symptoms, and PNIF of patients. We also investigated changes in symptoms and PNIF 2 days before and after ‘dusty’ days (daily concentration of PM10 >100 μg/m3)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B in nasal symptoms and PNIF during the 120-day period. Changes in nasal symptoms and PNIF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fore or after a PM10 concentration rise above 100 μg/m3. Conclusion. Low concentration PM10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nasal symptoms and PNIF in AR patients.

      • 중금속 함유 폐수 슬러지 건조-용융기술

        김영효,채종성,김신영,김수연,김근호,엄태인,문승현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범정부적으로 2016년부터 유기성 폐수슬러지 해양배출이 전면 금지되고 육상처리를 권장하고 있어 주로 산업체에서 배출하는 폐수슬러지 육상처리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슬러지 처리의 어려움으로 산업체의 경쟁력을 저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폐수 및 일부 하수슬러지에는 다양한 중금속과 미생물 분해가 어려운 유기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기존 기술로 처리가 곤란한 실정이다. 육상처리 기술 중에서 비용이 저렴한 방법은 주로 매립에 준하는 것이므로 슬러지에 포함된 유기물에 의해 지구온난화지수(GWP)가 이산화탄소보다 21배 높은 메탄을 다량 배출하고 있으며, 중금속에 의한 지하수와 토양 오염이 우려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금속 함유 산업슬러지를 건조 후 용융로에서 보조연료와 열분해 가스로 1,500℃이상의 고온 화염을 형성하여 폐수슬러지에 포함된 회분과 중금속을 용융 슬래그로 배출·유리화함으로써 분진발생 감소와 회분에 포함된 중금속성분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 폐수슬러지를 용융하기 위하여 용융로 및 2차버너를 제작하여 용융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열 회수 장치를 설치하여 열 회수 실험 또한 수행하였다.

      • KCI등재

        Effect of Endonasal Dilator on Nasal Airflow and Sleep Test Index on Sleep Apnea Patients

        김영효,장태영 대한비과학회 2019 Journal of rhinology Vol.26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We aimed to evaluate effects of endonasal dilators (END) on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obstructivesleep apnea (OSA) by improving nasal airflow. Materials and Method: In 13 patients with OSA, changes of total nasal volume (TNV) and minimal cross-sectional area(MCA) before and after END use were evaluated. The change in peak nasal inspiratory flow (PNIF) was also measured. Subjectscompleted Epworth Sleepiness Scale questionnaire before and 2 weeks after END use. Finally, changes in apnea-hypopnea index(AHI), respiratory distress index (RDI), oxygen desaturation index (ODI), sleep time, sleep position and loudness of snoring (indecibels) were obtained by repetitive portable polysomnography. Results: After END use, TNV (11.4±3.1 cm3 to 19.4±5.7 cm3) and MCA (0.7±0.2 cm2 to 0.9±0.1 cm2) increased significantly(p=0.001). PNIF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END (147.3±39.5 to 194.6±57.6 liter/min, p=0.001). Among 11 patientsundergoing 2-week follow-up, 7 reported improvement in daytime sleepiness. Although AHI, RDI and ODI showed no statisticallysignificant change before and after END (p>0.05), the proportion of subjects sleeping in the supine position increased from38.0 to 44.5%. Conclusion: END may be an effective adjunctive tool for patients with OSA with the potential to improve nasal airflow anddaytime sleepiness.

      • 폐수슬러지 용융특성 연구

        김영효,채종성,김근호,박덕헌,엄태인,문승현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하·폐수 슬러지는 75% 이상이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본격적인 처리에 앞서 이를 탈수, 건조시키는 기술이 중요하며, 그 중 유중건조기술은 하수슬러지를 단시간에 많은 양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건조기술로써 슬러지의 함수율을 감소시켜 발열량을 높이면 하수슬러지는 건조연료화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폐수슬러지는 하수슬러지와 달리 중금속 함유량이 많고, 각종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폐수슬러지 속에 포함된 중금속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최종 건조물을 연료화로 재이용 할 수 없어 폐수슬러지의 재활용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종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폐수슬러지 성분에 포함된 다량의 중금속 등을 용융 기술을 이용하여 처리하여 용출량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처리된 용융 부산물의 품위에 따라서 재이용, 재활용을 하기 위해서 용융실험을 수행하여 폐수슬러지를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 중금속 함유 폐수 슬러지 건조-용융기술

        김영효,채종성,김신영,김수연,김근호,엄태인,문승현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심포지움 Vol.2016 No.2

        범정부적으로 2016년부터 유기성 폐수슬러지 해양배출이 전면 금지되고 육상처리를 권장하고 있어 주로 산업체에서 배출하는 폐수슬러지 육상처리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슬러지 처리의 어려움으로 산업체의 경쟁력을 저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폐수 및 일부 하수슬러지에는 다양한 중금속과 미생물 분해가 어려운 유기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기존 기술로 처리가 곤란한 실정이다. 육상처리 기술 중에서 비용이 저렴한 방법은 주로 매립에 준하는 것이므로 슬러지에 포함된 유기물에 의해 지구온난화지수(GWP)가 이산화탄소보다 21배 높은 메탄을 다량 배출하고 있으며, 중금속에 의한 지하수와 토양 오염이 우려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금속 함유 산업슬러지를 건조 후 용융로에서 보조연료와 열분해 가스로 1,500℃ 이상의 고온 화염을 형성하여 폐수슬러지에 포함된 회분과 중금속을 용융 슬래그로 배출·유리화함으로써 분진발생 감소와 회분에 포함된 중금속성분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 폐수슬러지를 용융하기 위하여 용융로 및 2차버너를 제작하여 용융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열 회수 장치를 설치하여 열 회수 실험 또한 수행하였다.

      • KCI등재

        급성 상악동염에 병발한 하비갑개 및 비배부 농양 1례

        김영효,장태영 대한비과학회 2012 Journal of rhinology Vol.19 No.2

        An 8-year-old boy visited our clinic suffering from painful swelling of the left cheek and eye pain. His left nasal dorsum and left cheek were severely swollen with reddish discoloration and tenderness by light touch. A CT scan revealed left maxillary sinusitis and abscess extending to the left inferior turbinate and subcutaneous soft tissue beneath the skin covering the left maxillary sinus. Because of unsuccessful 3 days of medical treatment, surgical drainage of the abscess of the turbinate, nasal dorsum, and eradication of inflammation in the maxillary sinus was performed. Clinical suspicion and prompt imaging workup could hasten the definite diagnosis and appropriate surgical management, as in our case.

      • 중금속 함유 폐수 슬러지 건조-용융기술

        김영효,채종성,김신영,김수연,김근호,엄태인,문승현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범정부적으로 2016년부터 유기성 폐수슬러지 해양배출이 전면 금지되고 육상처리를 권장하고 있어 주로 산업체에서 배출하는 폐수슬러지 육상처리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슬러지 처리의 어려움으로 산업체의 경쟁력을 저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폐수 및 일부 하수슬러지에는 다양한 중금속과 미생물 분해가 어려운 유기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기존 기술로 처리가 곤란한 실정이다. 육상처리 기술 중에서 비용이 저렴한 방법은 주로 매립에 준하는 것이므로 슬러지에 포함된 유기물에 의해 지구온난화지수(GWP)가 이산화탄소보다 21배 높은 메탄을 다량 배출하고 있으며, 중금속에 의한 지하수와 토양 오염이 우려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금속 함유 산업슬러지를 건조 후 용융로에서 보조연료와 열분해 가스로 1,500℃이상의 고온 화염을 형성하여 폐수슬러지에 포함된 회분과 중금속을 용융 슬래그로 배출․유리화함으로써 분진 발생 감소와 회분에 포함된 중금속성분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 폐수슬러지를 용융하기 위하여 용융로 및 2차버너를 제작하여 용융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열 회수 장치를 설치하여 열 회수 실험 또한 수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