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 혹은 교회? -대화의 기도에 영향을 끼친 요인에 대한 연구

        김영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3 기독교교육논총 Vol.36 No.-

        This research is the follow-up study after Kim (2012) researched onthe possibility of dialogical prayer conducted in California in 2010 with23 students aged 9~12 years old students. That research resulted thatthe students are able to have a conversation (dialogue) with God in theirprayer. This research conducted in Seoul, Korea with 59 students aged9~12 years old in three Presbyterian Churches. The research questionsare as follow: First, what are the concept of prayer and dialogicalprayer among 9 to 12 years old students? Second, Do 9 to 12 years oldstudents have the experience of dialogical prayer?, Third, What are thefactors influencing dialogical prayer?Through this research, the results are almost same as the result ofproceeding research conducted by Klingburg, Cole, and Kim that childrenare able to experience dialogical prayer but one thing new is the way ofcommunicating. This time one student says that when prayer, God gavehim some great thought to solve the problem. That is not found in thepreceeding results. Another interesting result in this research is thatthe most influencing factor is “family” and “by themselves” as the samerate. This means children learn dialogical prayer by themselves. Thiscan imply that we, Christian educators, should be aware of the timethat God is working in children’s lives through dialogical prayer andthat to lead the children not to be misled due the lack of correct knowledge. Therefore, we, Christian educators, should be encouraged to producethe teaching material or practice tips on dialogical prayer with thenecessary discernment booklets so that children are able to experiencethe intimacy with God in their prayer. 이 연구는 김영주(2012)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9세~12세의 어린이23명을 대상으로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대화의 기도 가능성이 있는지 연구 한 후,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에따라, 좀 더 심도 있는 질문으로 어린이들과의 면담을 한 질적 연구 보고서로써, 한국 서울의 장로교(통합)교회 중 세 개의 주일학교에서 실시되어졌다. 만 9세~12세 어린이들 59명을(남30; 여29)대상으로 대화의 기도에 영향을 끼친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인터뷰를중점적으로 실시하였으며, 대화의 기도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도 하여 어린이들의 대화의기도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 되는지 파악하였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9세~12세 어린이들이 기도에 대한 개념과 대화의 기도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가지고 있는가? 둘째, 9세~12세 어린이들이 대화의 기도에 대한 경험이 있는가? 셋째, 9세~12세 어린이들의 대화의 기도에 영향을 끼친 요소는 무엇인가?이 연구를 통하여, 어린이들은 선행연구인, 클링버그, 콜, 김영주가 연구한 결과와 같이대화의 기도가 가능하며, 또 대화의 기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으며, 대화를 주고받는 양상도 서로 흡사하나 한 가지 다른 점은 기도에 대한 대답으로 어떤 생각이 떠오르게해주셨다 라는 것으로 지난 번 연구에서는 밝혀지지 않았던 결과를 얻었다. 대화의 기도에 영향을 끼친 요인 중에서 새로운 것은 어린이들이 “스스로” 하나님과대화하는 것을 알았다는 것으로, 그것은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가정” 이란 장과 비율이동등함으로, 어린이들이 아무도 가르쳐주는 사람 없이 대화의 기도에 대한 잘못된 지식에 빠지기 전에 기독교교육가들이 대화의 기도를 가르쳐야 하는 시기가 된 것으로 받아들여도 무리가 아닐 것이라 본다. 그러므로 우리는 식별지식과 맞물려 말씀을 통하여 하나님의 성품과 뜻을 알아가는 교육과 하나님의 지혜를 추구하는 교육 또한 많은 신앙의 선조들의 식별 방법이 대화의 기도 교육과 함께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실시될 수 있도록 교재와 훈련 프로그램 등이 제작되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싶다.

      • KCI등재

        고급한국어 작문수업을 이용한 담화중심 문법교육: 동사어미오류를 중심으로

        김영주 이중언어학회 2007 이중언어학 Vol.33 No.-

        김영주. 2007. 2. 고급한국어 작문수업을 이용한 담화중심 문법교육: 동사어미오류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3, 1-34. 본 연구는 고급한국어 작문수업에서 문법 교육의 시행이 효과적인지 또한 적용한 방법들이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이 문법 교육을 가장 필요한 과목으로 여기고 있음을 파악한 후 작문수업을 이용해 적극적인 형태중심 수업을 시도하기 위해 학습자들의 작문 숙제에서 추출한 동사어미 사용오류를 바탕으로 담화중심 문법교육을 실시한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학습자들의 오류를 유형별로 정리한 전체 수정(holistic correction) 자료를 준비하여 교실활동을 하였고, 재교육이 필요한 문법사항은 자료를 만들어 다시 설명하였으며. 또한 담화중심 연습문제를 개발해 실제언어상황에서와 같이 학습자들이 동사어미 사용을 연습할 수 있도록 작문수업을 활용하였다. 학습자들은 평소 가장 부족하다고 여긴 동사어미 사용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으며 수업 중 실시한 활동들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다만, 문법 재설명은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여 여전히 강의 위주의 문법 수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고급학습자들도 문법교육을 최우선으로 필요로 하며 학습자 작문오류를 이용한 담화 중심 문법교육이 유효하고 학습자들의 반응도 긍정적임을 증명하였다.(Brigham Young University)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산출을 통해 본 부사격 조사 ‘에’의 습득 연구

        김영주,진 궈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6 국어교육연구 Vol.38 No.-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quisition of the adverbial case marker ey by analyzing its use in spoken language by 80 Chinese Korean L2 learners (level 3 to 6, 20 learners in each level) along with 20 Korean native speakers as a comparison group. The study employed two speaking tasks: telling the story of cartoon and telling the story of a silent film. Two hundred spoken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and correct use and the accuracy rate of each usage of ey. The study found that (1) the accuracy rate of Chinese learners reached 75% of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s; (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mediate level (3/4) and advanced level (4/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3 and 4 or between 5 and 6; (3) no significant discrepancy was detected between the mean score of this study and the mean score of GJT in Guo & Kim (2016), which indicated that knowledge of ey and use of ey developed similarly. However, detailed observation of development showed that knowledge of ey developed gradually from level 4 while use of ey developed more dramatically, with differences depending on usages of ey.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구어 산출 과제를 통해 부사격 조사 ‘에’의 사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부사격 조사 ‘에’의 세부 용법을 고려하여 구성한 구어 과제는 그림 보고 말하기와 (무성) 동영상 보고 (회상하여) 말하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3급에서 6급까지 각급 20명씩 총 80명의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두 과제를 실시하여 부사격 조사 ‘에’의 사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중국인 학습자의 정답률(72.72%)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정답률(96.92%)에 비해 75%의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2) 숙달도에 따른 ‘에’의 정답률을 보면 중급(3/4급) 내 그리고 고급(5/6급) 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중급과 고급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궈진·김영주(2016)에서 도출한 GJT에서의 각 용법별 정답률과 구어 산출 과제에서의 정답률 간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발달 특징을 보면, 지식은 4급부터 대부분의 용법에서 완만한 발달을 보이는 반면, 사용은 지식보다 용법에서 차이를 보이며 더 역동적으로 발달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