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우주인 배출과 우주실험

        김연규(Youn Kyu Kim),이소연(So-Yeon Yi),고산(San Ko),강상욱(Sang-Wook Kang),이주희(Joo-Hee Lee),최기혁(Gi-Hyuk Choi)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8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6 No.2

        본 논문에서는 우주인 선발부터 발사/귀환까지 한국 우주인 배출 사업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아울러 사업 수행을 통해 얻은 기술 및 결과에 대해 자세히 소개될 것이다. 한국 우주인 배출 사업은 우주인 선발, 훈련, 우주실험 등과 관련된 유인우주기술을 습득하고 이 사업을 통해 국민들에게 과학과 우주에 대해 관심을 유도하여 과학문화를 확산하는 목적을 가지고 2005년 11월에 시작되었다. 2006년에는 우주인 선발 기준을 마련하고, 한국 우주인 배출을 위한 우주인 선발과정을 1차에서 4차까지 진행하여 우주인 2인을 최종 선발하였다. 그리고 2007년에는 우주인 2인이 러시아 가가린 훈련센터에서 우주인 훈련을 받았다. 그리고 한국 우주인이 국제우주정거장(ISS: International Space Station)에서 수행할 18가지의 우주과학실험과 3가지의 국제공동 실험을 개발하였다. 2008년 4월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박사가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발사장에서 소유즈 우주선을 타고 ISS로 올라가 계획된 우주실험 및 임무를 수행하고 무사히 귀환하였다. 위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우주인 선발, 훈련, 우주실험 장비 개발 등)을 자세히 기술할 것이다. This paper entirely explains the Korean astronaut program from astronaut selection to launch and return and introduces technology and results through this program in detail. The Korean astronaut program launched Nov. 2005 with the objectives to develop the manned space technology such as astronaut selection, training and space experiment and to disseminate concerns to the public about the science and space. In 2006 to select the Korean astronauts, the standards for selecting astronauts were set and then the selection processes from 1st stage to 4th stage were performed. In 2007, the 2 Korean astronauts took the astronaut training and the 18 domestic science experiments and 3 international experiments which the Korean astronaut, Dr. Yi, performed in ISS last April were developed. In April 2008, the Korean astronaut was transported to ISS by Soyuz in Baikonur in Kazakhstan and returned to the ground with performing the mission and space experiments. This paper will explain these processes as the above(astronaut's selection, training, space experiment, etc.) in detail.

      • 가속형 우주저울의 설계 및 측정 결과 분석

        김연규(Youn-Kyu Kim),김광식(Kwang-Sig Kim),이주희(Joo-Hee Lee),김종우(Jong-Woo Kim),최기혁(Gi-Hyuk Choi)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6 항공우주기술 Vol.5 No.1

        이 논문은 국제우주정거장 (ISS)내의 미소중력의 환경에서 5㎏이하의 살아있는 고체, 반고체, 액체 (용기내) 등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형 우주저울(SMMD)에 대한 것이다. 먼저, 여러 가지 개념을 구현하기 위하여 3가지 형태(가속형, 원심력형, 진동형)의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그 중에서 성능이 가장 우수한 가속형 장비를 우주저울로 선택하였다. 이 논문은 이전 가속형 시스템에서 야기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드왜어 및 소프트웨어를 좀 더 발전된 형태로 개선한 볼 스크류를 이용한 가속형 우주저울을 개발을 설명한다. 이 장비를 가지고 저울로써의 기능과 정확도 등의 성능 시험을 하였다. 측정 분석 결과 현 시스템의 측정 범위는 20g ~ 2㎏ 까지 가능하며, 그 정확도는 0.5% 이내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장비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현 장비를 우주환경에 맞는 FM 개발을 위한 우주급 시스템으로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In this study, we will explain acceleration type SMMD(small mass measuring device) which is able to measure the mass of solid, semisolid and liquid(in a container) materials in the microgravity environment of ISS(International Space Station). First of all, we developed the 3 types(acceleration, centrifugal force, vibration) of systems and selected the acceleration type among them, of whim performance is the best, as the SMMD. This paper is showing the development of acceleration type SMMD using the ball screw motor. this system is improved in hardware and software and solved the some problem for acceleration type test model. With the system, we did performance test for function as a balance and accuracy. The measurement result showed that the range of measurement is 20g to 2㎏ and the accuracy of the system is within 0.5%. With the base of the system, We need to improve the system for developing Flight Model with adapting the space environment.

      • 지능형 로봇의 발전 동향

        엄위섭(Eom, We-Sub),김연규(Kim, Youn-Kyu),이주희(Lee, Joo-Hee),최기혁(Choi, Gi-Hyuk),심은섭(Sim, Eun-Sup)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3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1 No.1

        본 논문은 지능형 로봇의 발전 동향에 관하여 기술한 것이다. 지능형 로봇 기술은 기계, 전기·전자, S/W, 제어, 통신, 재료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의 융합 분야이다. 점차 진화해가는 로봇에 대한 정의 및 분류를 통하여 지능형 로봇에 대한 특징, 주요 활용분야와 기술수준에 대해 소개하고, 현재 연구가 진행중인 지능형 로봇의 주요 핵심기술을 설명하였다. 또한, 최근 국내외의 연구동향에 대하여 기술하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자동차, 가전, 스마트 홈, 조선, 항공·우주 등 산업전반에 걸쳐 활용이 가능한 지능형 로봇 연구 개발에 참고가 되기를 희망한다.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trend of intelligent robots is described. Intelligent robot technologies are converging fields of high technology like the mechanics, electricity and electronics, software, controls, communications, materials, etc.. It is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major application fields, level of technologies and major core technologies of intelligent robots introducing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robots that are continued to evolve. In addition, recent research trends are described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are analysed. Based on results of the analysis about intelligent robot technologies that can used to industries such as car, consumer-electronics, smart home service, shipbuilding, aerospace, etc., We hope to be referred that our country will research and develop in the future.

      • KCI등재

        다중보상 알고리즘을 활용한 우주실험용 소질량측정시스템의 정확도 향상 연구

        이종원(Jong-Won Lee),김연규(Youn-Kyu Kim),이주희(Joo-Hee Lee) 한국기계가공학회 2021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20 No.8

        Scientists at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ave been studying space life sciences to prepare for future manned space explorations, and require experimental specimen such as rodents for mass measurement. However, it is challenging to use mass measurement systems in space owing to the errors caused by factors such as mechanical-electronic noise. Therefore, to minimize the measurement errors, we propose a new algorithm called multiple calibration, which divides the mass range and calculates the sample weight by using the correction equation of each interval. We performed test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o that of normal methods. As a result, the measurement accuracy improved by over two times using the multiple calibration method. Furthermore, we conducted mass measurements on various samples and confirmed that our method is valid for mass measurements.

      • NASA의 무인 행성탐사용 로버 발전 동향

        엄위섭(Eom, We-sub),김연규(Kim, Youn-kyu),이주희(Lee, Joo-hee),최기혁(Choi, Gi-hyuk),심은섭(Sim, Eun-sup)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2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0 No.2

        본 논문은 미국의 NASA에서 개발되어 화성 탐사 임무를 수행하였거나 현재 수행중인 무인 행성탐사용 로버의 발전동향에 관한 것이다. Mars Pathfinder, MER, MSL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탐사 임무의 목표 및 목적, 로버의 특징, 주행 장치, 탑재된 과학 장비의 기능, 임무 기간 동안 이동한 경로와 임무 종료 등에 관해 개략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부여된 임무의 다양성과 발사체, 과학 장비, 시스템 제어, 우주 기술 등의 발전에 힘입어좀 더 구체적이고 정밀한 탐사 자료의 획득을 위해 점차 대형화 되어 가는 로버의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로버 연구 개발에 참고가 되기를 희망한다.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trend of NASA"s unmanned planetary exploration rover that had performed or has performed the Mars exploration is summarized. For each program such as Mars Pathfinder, MER and MSL mission, goals and objectives of the exploration mission, characteristics of rovers, mobility system of rovers, roles and functions about equipped science instruments, travel path of each rover during the period of mission and missions terminated are summarized. In addition, features of rovers that are larger for acquiring more specific and precise data about Mars exploration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uch as granted mission diversity, projectiles, science instruments, system control and space technologies, etc. Based on results of the analysis, We hope to be refered about a rover that our country will research and develop in the future.

      • KCI등재

        전역 광소멸법을 이용한 확산화염 내 그을음 입자의 농도 측정에 관한 연구

        류명호 ( Myung-ho Ryu ),이종원 ( Youn-won Lee ),김연규 ( Youn-kyu Kim ),이원주 ( Won-ju Lee ),박설현 ( Seul-hyun Park ) 조선대학교 공학기술연구원 2016 공학기술논문지 Vol.9 No.4

        In the present study, non-intrusive technique for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s of soot particles formed within the flames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As part of this study, the full-field light extinction apparatus that enables us to obta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ot particle concentration within the flame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the 3 point abel deconvolution algorithm was coded using a Fortran software to deter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of soot particles. The abel inversion analysis clearly indicates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ot particles within the flame can be faithfully reconstructed from the projected light extinction image captured by a CCD camera.

      • 국제우주정거장의 가압모듈에서 연기거동 및 감지에 관한 수치 모델링

        박설현(Park, Seul-Hyun),이주희(Lee, Joo-Hee),김연규(Kim, Youn-Kyu),황철홍(Hwang, Cheol-Ho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추계

        최근 국제우주정거장에서 화재안전에 관한 중요성의 인식으로 화재의 감지/소화의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각종 실험과 연구를 진행하는 가압모듈을 대상으로 환기, 연기거동 및 감지에 관한 수치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수치모델링은 NIST에서 개발된 FDS (Fire Dynamic Simulator)가 사용되었다. 국제우주정거장 내부는 마이크로중력환경으로 부력이 존재하지 않아 화재 발생 시 화염 및 연기거동은 지상에서의 현상들과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현재 가압모듈에서 적용되고 있는 환기조건의 변화에 따른 연기거동 및 감지특성에 대한 연구는 향후 국내의 국제 우주정거장 실험 참여를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