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hort-term comparative study of thre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laparoscopic surgery for total extraperitoneal primary inguinal hernia repair

        김아윤,최성일,염정현 대한내시경복강경외과학회 2021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Vol.24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ort-term outcomes of two-dimensional (2D) and three-dimensional (3D) laparoscopic surgery for total extraperitoneal (TEP) primary inguinal hernia repair. Methods: This was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observational database study of 38 patients who underwent laparoscopic TEP inguinal hernia repair from March 1, 2019 to August 30, 2019 at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in Seoul, Korea.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ratio, age, or body mass index between the two groups. The 2D group had two patients with direct hernia and 18 patients with indirect hernia. The 3D group had five patients with direct hernia, 11 patients with indirect hernia, and two patients with femoral hernia. The mean operation time was 38.2 minutes in the 2D group compared with 37.2 minutes in the 3D group. There was no severe intraoperative bleeding in either group. During the operation, peritoneal tearing occurred in 12 out of 20 patients in the 2D group compared with five out of 18 patients in the 3D group (p = 0.02). The average length of hospital stay was 1.3 days in both groups. The numeric rating scale score was 3.3 and 3 in the 2D group and the 3D group, respectively. In the 2D group, two patients re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because of the postoperative occurrence of seroma and varicocele. Conclusion: A 3D laparoscopic surgery is feasible and safe for inguinal hernia repair and showed less peritoneal tearing compared with 2D laparoscopic surgery for primary inguinal hernia repair.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심신 건강증진을 위한 요가프로그램 제안

        김아윤 한국요가학회 2022 요가학연구 Vol.- No.27

        본 연구는 2021년 현대 사회에서의 청소년들이 실질적으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청소년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요가프로그램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청소년들이 겪는 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017년 제7기 2차년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건강설문행태 설문지와 신윤희(2010)가 개발한 청소년 건강 행위 이행 정도 도구를 본 연구자가 연구대상 및 목적에 맞게 보완하여 설문지를 만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경기도 광명시에 거주하는 남녀 고등학교 3학년 15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 조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이 실질적으로 경험하는 ① 정신건강 ② 학업 ③ 대인관계 ④ 학교환경 ⑤ 수면습관 ⑥ 식습관 ⑦ 체중조절 ⑧ 신체활동 ⑨ 흡연 음주습관 ⑩ 물질사용 습관 ⑪ 성생활 ⑫ 미디어 시청습관 ⑬ 생활습관 자세 관련 스트레스까지 총 13개의 주 된 스트레스를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는 청소년에게는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위해 중점을 둔 마음챙김 기반 통합요가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겪는 구체적인 스트레스를 줄이고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증진하는데 목적을 둔 마음챙김 기반 통합요가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stress experienced by adolescents in the modern society in 2021 and to propose a yoga program to reduce the stress of adolescents. In order to specifically understand the stress experienced by adolescents,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the health questionnaire behavior of the online survey of youth health behavior in the 7th term and 2nd year of 2017 and the youth health behavior developed by Shin Yun Hui (2010), a questionnaire was created by supplement the tools to suit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researcher. Based on thi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151 third-year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Gwangmyeong, Gyeonggi-do.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dolescents’ practical experiences ① mental health ② academic ③ interpersonal relationships ④ school environment ⑤ sleeping habits ⑥ eating habits ⑦ weight control ⑧ physical activity ⑨ smoking and drinking habits ⑩ substance use habits ⑪ sex life ⑫ media viewing habits ⑬ lifestyle habits a total of 13 major stresses were identified including posture-related stress. These results show that adolescents need a mindfulness-based integrated yoga program that focuses on improving their mental health and lifestyle. Therefore, in this study, a mindfulness-based integrated yoga program aimed at reducing specific stress experienced by adolescents and promot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was proposed.

      • KCI등재

        『August : Osage County』의 바이올렛 역할 창조 연구: 경계선 성격장애와 루스 자포라의 <액션 시어터> 즉흥 훈련을 중심으로

        김아윤,조준희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2

        This study analyzed the role Violet of 『August: Osage County』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ity dis- orders DSM-5 and applied Katie Mitchell's improvisation to build images of the character and establish transcrip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physical-based role creation process in three dimensions with Ruth Zaporah's “Action Theater” which is impromptu acting training. In the process of analyzing Violet's transcription, it was difficult to accept her unusual and serious drug addiction with the universal perception and ideological framework. As I judged that an objective criteria to identify the character's tendency and building a corresponding inner world could help to play the role with confidence, Violet's behavior was analyzed with DSM-5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hows maladaptive behavior patterns when he/she is separated from a person of attachment, and it shows emotional instability. Based 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Violet's thre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fear due to loss of the attachment object,' 'long-lasting emotional instability,' and 'frequent anger expression and aggression against family.' After that, Katie Mitchell's improvisation has been applied to explore and visualize the legitimacy of changes in the character's psychology and physical behavior in order to establish a clear psychological foundation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to perform Violet, Ruth Zaporah's action theater improvisation training was used to express a typical pattern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hysically. In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the physical behavior of the character was em- bodied in three dimensions by introducing training methods such as 'hard straight/soft curve', 'bipo- lar', 'phrase and gestures', and 'props'. By creating a character based on objective criteria, this study attempted to clearly establish the tran- scription of Violet with remarkable psychological instability. Through this, this study would be mean- ingful in that it ultimately embodies and develops unscripted prior narratives not revealed in the script by body-based training and presents them as a practical methodology for creating the role of Violet. 본 연구는 『August : Osage County』의 바이올렛을 DSM-5(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에 근거한 성격장애의 관점으로 분석하고 케이티 미첼(Katie Mitchell)의 즉흥극을 적용하여 인물의 영상과 전사를 확립하였다. 또한 루스 자포라(Ruth Zaporah)의 <액션 시어터(Action Theater)> 즉흥연기 훈련을 통해 신체적 기반의 역할 창조 과정을 입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바이올렛의 전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보편적인 인식과 관념적 틀로 그녀의 비상식적이고 심각한 약물중독의 행동을 수용하기 어려웠다. 객관적 기준에 근거하여 인물의 성향을 파악하고 이에 상응하는 내면세계를 구축하는 방법이 역할에 대한 확신과 명확한 캐릭터를 연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DSM-5로 분석한 바이올렛의 행동은 경계선 성격장애의 특성을 드러냈다. 경계선 성격장애는 애착하는 사람과의분리 시 부적응적 행동 패턴을 보이며 정서의 불안정성이 심하게 나타난다. 위의 경계선 성격장애를 중심으로 ‘애착 대상의 상실로 인한 두려움’, ‘오랜 기간 지속되어온 정서적 불안정성’, ‘가족들에 대한 빈번한 분노 표출과 공격성’이라는 바이올렛의 세 가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후 경계선 성격장애의 명징한 심리적 토대를 확립하기 위해 케이티 미첼의 즉흥극을 적용하여 인물의 심리와 신체적인 행동 변화의 정당성을 모색하고 시각화하였다. 그리고 바이올렛을 실연함에 있어 경계선 성격장애의 전형적인 패턴을 신체적인 행동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 루스 자포라의 액션 시어터 즉흥연기 훈련을 적극 활용하였다. 실제 프로덕션 과정에서는 ‘딱딱한 직선/부드러운 곡선’, ‘양극성’, ‘구절과 제스처’, ‘소품들’ 훈련법을 도입하여 인물의 신체적 행동을 입체적으로 형상화하였다. 본 연구는 객관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역할을 창조함으로써 심리적으로 불안정성이 두드러지는 바이올렛의전사를 명확하게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대본에 드러나지 않은 전사들을 신체 기반 훈련으로 구현하고 발전시켜 바이올렛 역할 창조의 실제적인 방법론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이사야 63:7-64:11의 공동체 탄식 기도

        김아윤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1 구약논집 Vol.21 No.-

        Isaiah 63:7-64:11 is a communal lament prayer with the atypical element of confession of sin. Because of its form, unique expressions, and description of Zion’s desolation, it has often been regarded that originally it was an independent text for the destructed temple liturgy, only later incorporated into the book of Isaiah in the late editorial process. Thus,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is passage as an integral part of Isaiah 56-66 and its relationship to Isaiah 59:15b-63:6.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at Isaiah 63:7-64:11 is a carefully constructed prayer based upon the promises of salvation in Isaiah 59:15b-63:6 and that the prayer claiming God’s character and his promises is the most powerful way to motivate God to act. Canonical and literary approaches are used to attain the goal of this study. First, we will examine the promises given in 59:15b-63:6. Second, we will observe how the prayer in 63:7-64:11 expresses the lament for the unfulfilled promises and implores YHWH to act by adopting and creatively modifying the key terms, imagery, and themes of 59:15b-63:6. In 59:15b-63:6, the coming of Divine Warrior will result in the reversal of the fortunes of Zion and her inhabitants. However, the absence of YHWH, the desolation of Zion, and the defilement of her inhabitants described in 63:7-64:11 stand in stark contrast with this magnificent vision of Zion’s future glory. Hence, “the remembrancers of God”(62:6) remind YHWH of his faithful love toward Israel in the past(63:7-14) and lament the people's sin and Zion's desolation seeking God's theophanic presence. From these observations, we can conclude that the prayer in Isaiah 63:7-64:11 functions as a persistent reminder to YHWH of his faithful love and promises of his salvation portrayed in Isaiah 59:15b-63:6. 비정형적인 요소를 가진 공동체 탄식시로 알려진 이사야 63:7-64:11은 시온과 시온 백성의 회복을 그리고 있는 이사야 60-62장과 현저하게 달라지는 분위기, 황폐한 시온의 상황 묘사, 독특한 표현 때문에 본래 이사야서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다가 후대 편집 과정에서 이사야서 최종본의 현재 위치에 삽입된 것으로 여겨져 왔다. 본 연구는 정경적, 문학적 관점에서 이사야 63:7-64:11의 공동체 탄식 기도가 선행 본문인 59:15b-63:6에 나타난 시온의 회복과 구원의 약속에 근거한 기도이며, 하나님의 성품과 말씀에 근거한 기도가 하나님이 일하시도록 하는 촉구는 가장 강력한 방법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59:15b-63:6에 약속된 시온의 회복과 구원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사야 63:7-64:11이 어떻게 선행 본문(59:15b-63:6)의 어휘, 이미지, 주제를 활용하여 주어진 약속이 성취되지 않고 있음을 탄식하고 하나님의 직접적이고 강력한 개입을 간구하는지 고찰하였다. 59:15b-63:6은 자신의 원수에게 보응하고, 죄과를 떠나는 자를 구속하시는 하나님의 도래 (59:15b-21; 63:1-6)가 시온의 외적 회복(60:1-22)과 시온 백성의 내적 변화(61:1-62:12)가 이루어질 새 시대를 가져 올 것을 약속한다. 하지만, 이사야의 공동체가 경험하는 현실은 약속의 성취와 너무나 동떨어져 있다. 그래서, ‘여호와로 기억하시게 하는 자들’ (62:6)은 63:7-64:11의 기도를 통해 하나님이 하신 약속을 기억하고 성취하시도록 촉구한다. 하나님의 진노와 부재를 경험하는 공동체는 먼저 하나님의 언약적 사랑의 신실함을 찬양하면서 하나님이 자신의 자비하신 성품과 과거에 행하신 사랑의 행동을 기억하시도록 한다(63:7-14). 그리고, 하나님이 하신 약속을 기억하시도록 이미 주어진 약속(59:15b-63:6)에 근거하여 현재 시온의 황폐함과 시온 백성들의 죄를 탄식하며, 하나님의 임재로 개입 하셔서 현재의 비참한 상황에서 구원해 주시기를 간구한다(63:15-64:11).

      • KCI등재

        아브라함은 우리를 모르고: 이사야 63:16에 대한 새로운 접근

        김아윤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3 구약논집 Vol.26 No.-

        This paper examines the textual meaning of the expression "Abraham does not know us" in Isaiah 63:16. Much of the previous scholarship on Isaiah 63:16 is dominated by diachronic approaches. They have viewed Isaiah 63:16 in terms of how the Jewish community in the exilic or post-exilic period understood and embraced the Abrahamic tradition or how they rejected or undermined the Abrahamic tradition and developed a new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God's fatherhood to fit their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However, this dichotomous framework of affirmation and rejection,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Abrahamic tradition presented by the diachronic approach tends to overlook the ethical dimension of Isaiah 63:16 in the context of the entire book of Isaiah.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meaning of Isaiah 63:16 in light of its direct literary context, 63:7-64:11[12], as well as Isaiah 1-5 and Genesis 18:19, which have been neglected by previous studies. From this effort, we can summarize the meaning of "Abraham does not know us" as follows: First, it implies the sinfulness of the people of Israel, which lacks justice and righteousness. Abraham does not recognize or would not acknowledge present Israel as his descendants, which has failed to build the community of justice and righteousness as expected of Abraham's descendants in Genesis 18:19 and has become like Sodom and Gomorrah. Second, it serves to emphasize God's fatherhood by negatively referring to the nation's relationship with Abraham, their most important ancestor. 본 논문은 이사야 63:16 “아브라함은 우리를 모르고”라는 표현을 통해 본문이 전달하고자 하는 뜻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통시적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는 이사야 63:16의 기존 연구는 포로기나 혹은 포로후기 시대 유대 공동체가 아브라함 전승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했는지 혹은 아브라함 전승을 거부하거나 약화시키면서 자신들의 상황에 맞게 하나님의 아버지 되심이라는 새로운 신학적 이해를 발전시켰는가 라는 틀에서 많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통시적 접근법이 제시하는 아브라함 전승의 긍정과 부정, 연속성과 불연속이라는 이분법적 틀은 이사야서 전체의 맥락에서63:16이 가지는 윤리적인 측면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63:16의 직접 문맥인 63:7-64:11[12]과 함께 선행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이사야 1-5장과 창세기 18:19에 비추어 이사야 63:16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브라함은 우리를 모르고”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현재 이스라엘에 정의와 공의가 없는 범죄한 현실을 암시한다. 창세기 18:19에서 하나님이 아브라함의 후손들에게 기대하셨던 정의와 공의의 공동체를 이루는 데 실패하여 소돔과 고모라와 같이 된 현재의 이스라엘을 아브라함은 자기 후손으로 알아볼 수도 인정할 수도 없다. 둘째, 민족의 조상 아브라함과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언급함으로써 하나님의 아버지 되심을 강조하는 기능을 한다.

      • KCI등재

        Enhanced Bidirectional Connectivity of the Subthalamo-pallidal Pathway in 6-OHDA-mouse Model of Parkinson's Disease Revealed by Probabilistic Tractography of Diffusion-weighted MRI at 9.4T

        김아윤,오지우,임형준,백현만 한국뇌신경과학회 2020 Experimental Neurobiology Vol.29 No.1

        An important challenge in Parkinson’s disease (PD) based neuroscience and neuroimaging is mapping the neuronal connectivity of the basal ganglia to understand how the disease affects brain circuitry. However, a majority of diffusion tractography studies have shown difficulties in revealing connections between distant anatomic brain regions and visualizing basal ganglia connectome. In this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basal ganglia connectivity between 6-OHDA induced ex-vivo PD mouse model and normal ex-vivo mouse model by using diffusion tensor imaging tractography from diffusion-weighted images obtained with a high resolution 9.4 T MR scanner. Connectivity pattern of the basal ganglia were compared between five 6-OHDA and five control ex-vivo mouse brains using results of probabilistic tractography generated with PROBTRACKX. When compared with control mouse, 6-OHDA mouse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s to motor territory-related subthalamopallidal and pallido-subthalamic connectivity. Multi-fiber tractography combined with diffusion MRI data has the potential to help recognize the abnormalities found in connectivity of psychiatric and neurologic disease models.

      • KCI등재

        YHWH’s Response in Isaiah 65-66: Confrontation, Confirmation, and Call to Choose

        김아윤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2 구약논집 Vol.23 No.-

        Scholars agree that there are connections between the prayer of lament in Isaiah 63:7–64:11 and Isaiah 65–66 and that Isaiah 65–66 functions to some degree as a response to the prayer.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consensus about whether Isaiah 65–66 as a whole or in part is a response to the prayer. Also, the nature of YHWH’s response contained in Isaiah 65–66 is debatable. This paper seeks to determine the scope of YHWH’s response in Isaiah 65–66 and examines the nature of this response to the preceding prayer. When all of Isaiah 65–66 is seen as YHWH’s response to the prayer, God’s response is both confronting and confirmative. Isaiah 65–66 functions as a final call for the rebellious to repent of their evil ways and to choose YHWH before their final judgment becomes reality.

      • KCI등재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 (시편 120-134)의 구성적 주석적 연구

        김아윤 ( Kim Ayu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ACTS 신학저널 Vol.50 No.-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라는 공통된 표제어를 가진 시편 120-134편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가장 중요한 주제로 많은 학자가 ‘시온의 회복’을 꼽지만, 시편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연 윌슨(Wilson)은 ‘여호와 하나님 한 분 만을 전적으로 신뢰함’이라는 주제가 시편 120-134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가장 강력한 주제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그의 연구는 시편 전체의 편집 의도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시편 120-134편을 자세히 살피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시편 120-134편의 최종 배열의 구조 분석을 통해 윌슨이 언급한 ‘오직 여호와를 신뢰함’이 성전에 올라가며 부르는 노래 전체를 아우르는 주제임을 밝히고, 주석적 분석을 통해 개별 시편 들이 중심 주제와 어떻게 연결되면서 유일하고 전적인 신뢰의 대상인 ‘여호와께로’ 나아가는지 고찰하였다. 시편 120-134편은 시편 120-124(A), 125-129(B), 130-134(A’)로 나눌 수 있다. 제1부 시편 120-124편에서는 여호와를 신뢰하는 예배자들이 ‘샬롬’ 이 없는 상황, ‘샬롬’이 없는 이방 땅에서 ‘샬롬’의 도시 예루살렘/시온에 계신 여호와께로 올라간다. 제2부 125-129편은 제1부에서 시인이 갈망하였던 ‘평안’과 ‘복’을 받는 자들이 누구인지 밝혀주고 있다. 이들은 ‘여호와를 의지하는 자들’로 ‘의인들’ ‘선 한 자들’ ‘마음이 정직한 자들’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로도 불린다. 여호와께서 과거에 베풀어 주신 은혜와 구원에 감사하고 현재와 미래에도 그렇게 행하실 것을 믿는 자는 여호와를 의지하고 그분만을 경외한다. 그런 개인들에게 풍요와 다산의 복으로 대변되는 ‘복’을 주신다. 제2부에서는 복을 주시는 여호와에 대한 신뢰의 고백과 누가 여호와께서 주시는 복을 받는 자인가에 대해 노래한다면, 제3부에서는 ‘하나님의 집’ 성전이 있는 시온/예루살렘을 향하여 떠나는 발걸음이 예루살렘 성내로, 다시 성전으로 가까워갈수록, ‘여호와께로 향하는’ 사람들의 마음은 자신의 내면 깊은 곳의 죄를 인식한다. 하나님만이 하실 수 있는 용서와 속량을 구하며 더욱 온전히 주님만 의지하는 개인과 공동체에 주님이 주시는 미래 소망과 ‘복’이 이들을 충만한 기쁨과 감사로 이끈다. Because of the ambiguous title “Song of Ascents” and the complexity of Psalms 120-134, scholars have sought to discover their prominent unifying features. While many scholars agree that the Zion theme is the main feature that ties the psalms together, Gerald H. Wilson remarks that Psalms 120-134 are “an almost unbroken song of reliance on YHWH alone.” This study concurs with Wilson’s point of unity. It argues that trusting in the LORD alone is the central theme of the Song of Ascents. Furth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destination of the Song of Ascents is not Zion but YHWH himself, who chose to dwell in and bless from Zion. A structural analysis shows that Psalms 120-134 can be divided into three units: 120-124(A), 125-129 (B), and 130-134 (A’). In the first unit (Pss 120-124), a worshiper begins his journey from a place of hostility toward the city of Shalom (Jerusalem), seeking shalom. He has a firm trust that YHWH,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would come to his help. The second unit (Pss 125-129) describes the status of shalom, the experience of blessings from Zion in terms of daily life in an agricultural society. It also tells who is qualifies to receive these blessings. “Those who trust in the LORD” are the ones who can enjoy the promised benefits. They are also called the righteous, the good, the upright, and those who fear the LORD. The third unit (Pss 130-134) deals with the problem of sin, which YHWH alone can forgive. The pilgrim realizes his sins and the sins of Israel before the presence of the LORD as he approaches Zion, which leads to complete reliance on the LORD for forgiveness and redemption. The pilgrimage towards YHWH ends with a prayer for the Davidic dynasty and the people of Israel, celebrating the blessings for Israel as a worshipping community and praising the LORD who blesses those who trust and obey him.

      • KCI등재

        수산가공식품 중 알레르겐 고등어 혼입여부 신속 검출을 위한 간접효소면역분석법의 개발

        이정은,김아윤,김솔아,김효인,박지혜,심원보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indirect ELISA) based on a monoclonal antibody (MAb) that is specific to mackerel thermal stable-soluble protein (TSSP), that can be used for the rapid detection of mackerel in processed marine foods. Among the four MAbs (3A5-1, 2, 9, and 12) developed in previous studies, the 3A5-2 MAb that showed high specificity and sensitivity were selected and used to develop the indirect ELISA method. The detection range of the indirect ELISA was 0.02%-0.001% and the detection limit of 0.001% was shown. No cross-reaction to other marine products and food ingredients was observed by the indirect ELISA. Processed marine foods containing mackerel with ≥ 0.3 O.D. value at 405 nm were estimated as positive samples by the indirect ELISA. Therefore, the indirect ELISA can be used as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to identify mackerel authenticity and adulteration in processed marine f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