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종류와 Cattell-Horn-Carroll(CHC) 인지요인과의 관계

        김수연 ( Su Yhen Kim ),하대현 ( Dae Hyun Ha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6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한 보고들을 살펴보면 이야기 텍스트 이해를 설명적 텍스트 이해보다 더 쉬워한다. 이런 차이는 주로 배경지식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나 텍스트 이해는 개인의 인지 능력의 영향을 받으며, 인지적 능력의 부족이 이해 능력에 어려움을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어떤 인지적 요인들이 관여하는지를 새로운 지능이론의 관점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지능 검사는 현대의 지능이론으로 새로이 제안되는CHC(Cattell-Horn-Carroll) 지능 이론에 따르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CHC 지능검사의 신뢰도는 .60-.79이며, 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개인내의 이야기 텍스트를 설명적 텍스트보다 더 이해하기 쉬워한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개인 간 차이로 이야기 텍스트를 더 잘 이해하는 집단과 설명적 텍스트를 더 잘 이해하는 집단 간의 인지적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야기 텍스트 이해를 잘하는 집단이 Gc(결정지능)와 Ga(청각처리)는 p<.05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Gsm(단기기억)은p<.01에서 의미 있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이런 결과는 어려서의 읽기 경험은인지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이야기 텍스트를 어려서부터 접하고 경험한 아동의 Gc, Ga, Gsm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여 준다.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ive/expository texts and CHC cognitive ability in 4,5,6 grade elementary school. They were easier to understand the narrative texts than the expository, because of they had not only prior knowledge but also cognitive ability related text comprehension. On the view of recent CHC cognitive ability, this study investigated two types(narrative/ expository) of texts related cognition. The measures of CHC had high reliability and good validity - explorator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was more comprehensible to understand narrative text than expository text. The second group was more comprehensible to understand expository text than narrative text. Between two groups was verified from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indicated that the first group was more significant to effect on Gc(comprehension knowledge), Ga(auditory processing) and Gsm (short-term memory) play an important role than the second group.

      • KCI등재

        텍스트 이해력과 관련된 CHC 인지요인과 초인지의 관계

        김수연 ( Su Yhen Kim ),하대현 ( Dae Hyun Ha ) 한국독서학회 2007 독서연구 Vol.0 No.17

        텍스트 이해력과 관련된CHC 인지요인과 초인지의 관계김수연텍스트 이해력을 설명하는 중요변인으로 연구되어져 오는 지능과 초인지의 관계를 살피고자 하였다. 지능과 초인지 관계의 방법론적인 차이를 줄이고 초인지의 자기 점검을 초인지 과제 수행중의 능력으로 살펴 텍스트 이해력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지능외의 독립변인으로 초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능과 초인지의 관계를 성차에 따라 분석함으로써성차가 지능과 초인지의 관계에 어떻게 작용되는지를 살펴 지능과 초인지 관계를 좀 더구체화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4,5,6학년을 대상으로 384명의 아동들의 자료를 분석하여 초인지의 성차와 학년차를 확인했으며, 지능과 초인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초인지와 지능은 성차가 발견되어 지는 변인이다. 두 변인의 관계성의 성차의 영향을 살피기 위해 남녀에 따라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인원을 대상으로 했을 때 초인지와 지능은 모두 중요변인으로 초인지 조정과 지능은 상호작용을 하였지만, 성차에 따라 분석 시, 남녀의 차이에따라 주 효과가 여아는 초인지 조정과 점검, 지능에서 남아는 초인지 조정과 지능만이 나타나며, 상호작용 효과도 여아는 나타나지 않지만, 남아는 지능과 초인지 조정에서 나타난다. 남아는 지능이 높은 아동이 초인지 조정이 높지만, 여아는 독립된 예언 변인으로 초인지가 텍스트 이해력에 작용한다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C cognitive abilityand metacognition in 4,5,6 grade elementary school 384 student. This study examined the main effects, interaction effects of intelligence,metacognition on text comprehension. Metacognition adjustment had significantcorrelations with all cognitive ability. But, metacognition monitoring hadindependent cognitive ability. Sex differences between metacognition and cognitiveabilities on text comprehension analysis two-way ANOVA(Tukey method). The boy`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 on text comprehension between cogniton and metacognition. The girl revealed the main effect of intelligence and metacognition, but didn`t have the significant of interaction effec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with and emphasis on the sex differenc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with an emphasis on the sex differences.

      • KCI등재후보

        입학사정관 평가를 위한 학교생활기록부 정성적 평가 모형 탐색

        김수연 (Kim, Su-yhen),김시라 (Kim, Cy-la)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

        고교교육 정상화와 대학의 학생선발권을 위해 등장한 정책이 입학사정관 제도이다. 입학사정관을 통한 전형의 목표는 기존의 전형요소로 활용된 수능성적이나 내신의 한계를 넘어서, 학생들의 학교 생활과 관련된 요소들이 포함되어져서 학생들을 다면적,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있다. 학교생활기록부의 교과영역은 현재 대학 입학에서 전형요소로 사용되고 있는데 반해, 비교과영역은 대부분 계량화 하기 어려운 질적 자료이기 때문에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생활기록부의 수상실적을 중심으로 그 동안의 양적 접근을 넘어서 학생의 정보적 특성과 의미를 고찰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된 교내상이 89%, 교외상이 11% 정도를 차지하는 상황이나, 실제 대학입학 전형 요소로써는 교외상만이 수상실적으로 수용되고 있다. 수상실적을 통해 학생의 재능과 열정, 기여도, 지속성, 리더십 등을 살필 수 있는 모든 정성적 내용이 수용 되어져야 한다. 이와 함께 특별활동 영역의 의미도 살펴보았다. 정량화하기 위한 도구로 비교과 영역들이 활용되어진다면 수상실적등의 비교과 영역 반영을 최소화 하게 된다. 정성적이고 포괄적인 평가 방법을 이용해 학교생활기록부의 모든 자료가 학생을 표현해주고 알려주는 자료로서 가치를 가지고 활용될 수 있을 때 입학사정관 제도는 의미 있는 제도로 정착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and its reliance on standardized test scores. Instead,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should consider a synthesis of standardized testing, such as the SAT and high school GPA, and student abilities demonstrated in addition to these standard measures. For a long time now, the high school GPA and SAT scores of student have been used as the primary tool to determine which high school students are admitted to college. But special activities and community outreach by the student have not been adequately included in admission decisions because they involve qualitative data that is hard to evaluate. This study seeks to broaden the debate about the attributes of candidates for college admission and offer tools that admission officers can use in the admission process to assess those attributes. First, leadership skills, persistence, talent, and passion for learning should be included in admission evaluations of students. Also special activities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If data is collected from school records on admission decisions and evaluated, a more meaningful college admission system can be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욕구만족도, 자기결정동기가 청소년 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수연(Kim Su-Yhe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2

        고등학생들의 자원 봉사활동은 자원봉사의 개념보다는 봉사학습의 개념으로 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지는 경험학습의 일종이다. 최근의 학습동기 이론인 Deci와 Ryan(2000)의 자기결정동기와 사회 환경적 요인으로, 아버지, 어머니, 교사,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발생된 욕구 만족도와 봉사학습과의 관계를 고등학교 3학년 294명을 대상으로 상관관계,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교사>친구>어머니>아버지 의 순으로 욕구만족도와 봉사활동은 정적 상관을 보이며, 자기결정동기와 봉사활동도 정적상관을 보였다. 봉사활동의 이기적 동기는 전반적인 욕구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외재동기와 봉사활동의 이기적 동기의 상관은 정적으로 나타났다. 욕구만족도와 자기결정동기, 봉사활동의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통해 부분매개모형이 선정되었으며, NFI 0.981, TLI 0.980, CFI 0.987, RMSEA 0.090의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봉사활동을 봉사학습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하여 최근의 학습동기이론인 자기결정동기와 환경변인으로서의 욕구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봉사학습이 학습과정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후속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ory and Basic needs satisfaction i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Korea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in relation to teenagers have to involve service-learn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94, 3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 Basic Needs Satisfaction Scales for the Father, Mother, Teachers, and Peers, was developed a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volunteer service activites. Basic Needs Satisfac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in terms of egoistic motiv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or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volunteer service activites. Finall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structed using Amo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basic needs satisfaction and self-determination with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Partial Mediation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