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영화사에서 모더니즘의 탈존이라는 문제: 1990년대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의 단독성을 해명하기 위한 노트

        김소연(Kim Sohyoun)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5

        본 연구는 한국적/민족적 리얼리즘론을 중심으로 (탈)계보화되어온 한국영화사를 모더니즘이라는 키워드와 함께 재고해보려는 시도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작업으로서 모던, 모더니티, 모더니즘이 맺고 있는 개념적 관계를 해명한다. 또한 모더니티에 대한 저항으로서 등장한 서구 모더니즘 영화의 역사성을 이해하기 위해 혁명(성)이라는 역사적 필터와 모더니즘이 맺는 관계를 재확인한다. 본 연구가 특히 주목한 사건은 서구 모더니즘 실천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누벨 바그 영화와 직결되어 있는 68혁명이다. 본 연구는 68혁명의 역사적 의미를 라캉의 담화 이론에 입각하여 분석한다. 서구 모더니즘 영화사에 대한 이러한 참조를 기반으로 본 연구가 궁극적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것은 한국 모더니즘 영화사의 단독성이다. 본 연구는 한국 모더니즘 영화의 역사가 단일한 혁명이 아니라 혁명들을 통과하며 형성되었고, 따라서 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의 이질성을 순차적으로 경험해야 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따라서 평면적인 양식사적 접근, 있음/없음의 이항대립적 논리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야말로 한국 모더니즘 영화의 단독성에 접근하기 위한 왕도임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1960년대 한국영화와 1990년대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의 역사적 맥락과 모더니즘 실천의 차이를 이해하고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의 단독성을 이해함으로써, 세계 각국의 영화운동을 ‘뉴 웨이브’로 명명하며 스스로를 보편사로서 확립해온 세계영화사를 탈존시킬 수 있게 됨을 지적한다. This study makes attempts to reconsider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which has been genealogized or degenealogized with the discourse of Korean/national realism, through the keyword of modernism. It also identifies the conceptions of modern, modernity and modernism and their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study looks into how revolutions are connected to modernist practi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icity of western modernist cinema as the resistance against modernity. The 68 revolution, which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western modernist cinema, is particularly analyzed based on the Lacanian theory of 4 discourses. Based on the above study, this study claims that the history of Korean modernist cinema has been through a couple of revolutions for about 3 decades and through the heterogeneous historical backgrounds for modernity and postmodernity. In conclusion, this study focuses that not only the simple approach based on styles but also the binary logic of existence vs. nonexistence of modernism in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should be overcome in order to grasp the singularity of Korean modernist cinema, especially the Korean new wave cinema.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o understand the singularity of “Korean new wave cinema” by reveal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cinema in the 1960s and the one in the 1990s could create the ex-sistence of the history of world (western) cinema,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standard universal history of cinema.

      • KCI등재

        사이보그 앨리스를 성구분하기

        김소연(Kim, Sohyoun)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2

        성차의 문제를 둘러싼 논쟁의 근본적 한계는 이원론에 입각해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자연/문화, 인간/기계, 감성/이성, 동성애/이성애 등으로 증식해가는 이항대립은 성차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역효과를 낳는다. 이글은 젠더 이후 세계를 상상했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론이 이러한 이원론을 극복하려는 노력임에, 또 라캉의 여성성 이론과 논리적으로 상동적임에 주목한다. 라캉에게 여자는 보편성과 예외의 이항대립적 구조를 넘어서는 비전체적 존재였다. 이 글은 해러웨이의 사이보그와 라캉의 여성성에 대한 사유를 교차시켜 〈그녀〉와 〈루시〉를 비평한다. 그리하여 여주인공들의 사라짐은 상징계 밖으로 벗어나는 게 아니라 상징계를 무한히 탈구시킬 실재의 위상을 띠게 되는 것이라고, 위협적이고 불길한 존재가 되는 것이라고 독해한다. Most disputes about sexual difference appear to be based on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binarism. However, the series of binary oppositions such as nature/culture, human/machine, sensibility/rationality, heterosexuality/homosexuality etc. tend to produce the ultimate side effect of reinforcing existent ideologies about sex and gender. This paper focuses not only on Donna Haraway’s attempt to conceptualize cyborg femininity while overcoming the binarisms, but also on Jacques Lacan’s theory of sexuation, since both concepts have an analogous logical structure. For Lacan, women refer to the sexual difference itself, rather than the man/woman binarism. Therefore, the femininity functions as ‘not-all’, bringing fissures into universality. In contrast, masculinity occupyies the position of exception, opposing universality. Women have the similar topological status with the cyborg, which pursues the after world of gender, or non-gender. The posthumanity in Her and Lucy can be read properly through Haraway’s cyborg ontology and Lacan’s feminine subjectivity. The disappearance of the heroines in those films does not mean escaping from the symbolic but discovering the topological position of the real, thus becoming threatening beings.

      • KCI등재

        사이보그 소녀의 탄생 설화 - 포스트휴먼 가상-자아와 여성성의 문제설정

        김소연(Kim Sohyoun)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4

        포스트휴먼 영화들이 풍성한 가운데 어른 남성이나 어른 여성으로 표상된 사이보그들 속에서 사이보그 소녀 캐릭터들의 등장이 눈에 띈다. 사이보그 소녀 캐릭터들을 관통하는 공통점은 그들이 주로 자아의 확립이라는 서사를 통해 다뤄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특히 <엑스 마키나>의 사이보그 소녀/여성 캐릭터인 에이바가 어떻게 가상-자아를 확립하는지에 주목하고 그 과정을 프로이트와 라캉의 자아 및 정체성 개념에 비추어 해명한다. 이를 위해 라캉의 거울 단계 이론과 스크린 개념을 경유하여, 영화 속에 등장하는 7회차에 걸친 튜링 테스트의 광학적 스타일이 에이바의 주체화 과정을 시각화하는 전략을 분석한다. 또한 왜 에이바가 케일럽을 버려둔 채 네이든의 연구시설을 떠나는지를 해명하기 위해 해러웨이의 ‘젠더 없는 세계의 젠더’라는 관점에서 사이보그 소녀의 존재론의 특이성을 탐구한다. Among the abundance of post-human movies, cyborg girl characters, neither mature male nor mature female, stand out. It seems common that these characters primarily appear in the narratives about establishing self. I focus on how Ava, a cyborg girl/woman character in Ex Machina, could build her virtual-self in light of Freud"s and Lacan’s concepts of self and identity. Above all, based on Lacan’s theory of the mirror stage and the concept of screen, I analyze how the optical style in the seven Turing tests visualizes Ava"s subjectification. I also explain why Ava leaves Caleb behind when she gets out of Nathan’s research building by exploring the unique ontology of cyborg girls from the perspective of Haraway and her theory of ‘gender in a genderless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