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생약복합제제(HPL-4)의 품질관리를 위한 분석법 개발

        김세건,서르마 디박 쿠마르,라미차네 라마칸타,이경희,한상미,정현주 한국생약학회 2014 생약학회지 Vol.45 No.4

        HPL-4 is a new herbal formulation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In this study, we took HPL-4 to develop a metho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nine marker compounds (protocatechuic acid, chlorogenic acid, liriodendrin, nodakenin, b-D-(3-O-sinapoyl)frucofuranosyl-a-D-(6-O-sinapoyl)glucopyranoside, quercitrin, 6-gingerol,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present in the formulation. The analytes were separated by UPLC system consisting of diode array detector at 205 nm and RP-amide column, and solvent system of ACN/0.1%H3PO4. Analytical method was validated to evaluate its linearity,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precision, and accuracy. All standards showed good linearity (R2>0.99) in the rage of 0.25-400.0 mg/mL. The LOD and LOQ were within the range of 0.021-0.148 and 0.070-0.448 mg/mL, respectively.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as less than RSD 4.0% and the accuracy was range from 92.00-104.81% with RSD<4.2%.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UPLC method is precise, accurate and effective, and could be applied for quality control of HPL-4 formulation.

      • KCI등재후보

        전승교육과정의 실상과 문제점에 관한 일연구 : 공예·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On the Traditional Artistic Crafts

        김세건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2 비교문화연구 Vol.8 No.2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status quo of transmission training and to improve the cultural policy through the point of view of the "man cultural property"They are expected to preserve and educate the traditional artistic craft that is a par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though the korean government has strived to designate and preserve many crafts and arts since 1962 when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 was promulgated, the major parts of traditional artistic crafts are at the point of disappearance because they do not successfully adjust in the new environment of commercialization. The result of study is as such: first, the policy considers intangible culture as the property in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substantialism. This perspective disregards a proper sociocultural context. The policy has focused on the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rather tha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refore the policy has attached importance to the discovery, designation and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n it's transmission training and promotion enhancement. Second, human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considered as "pensioner"nd do not have played a more significant role to preserve, educate, promote and create traditional culture. Rather they are in the controls and oppressions of government which is an important subject of cultural policy. In this process, both subjects have been suspicious to each other. It is necessary for both to recuperate confident relations for a new environment to promote and creat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 KCI등재

        멕시코 농촌에서 꼼빠드라스고의 구조와 역할

        김세건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1 비교문화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멕시코 한 농촌인 산 안드레스 데 라깔에서 꼼빠드라스고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구조 및 특징을 지니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자고 한다. 산 안드레스를 비롯한 라틴 아메리카 농촌 지역은 가족 중심의 사회로 공식적인 어떤 친척조직도 형성하지 않는다. 이는 식민지의 산물이다. 즉 가족과 친척을 기본 사회구조로 한 깔뿔리는 정복 과정에서 토지 등의 물적 토대를 상실하였다. 정복이후 가족·친척관계는 개인들간의 관계를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기본 요소로 일상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지만 종족과 같은 규범화된 제도와 조직으로 발전하지는 않는다. 이를 보완·대체하는 것이 꼼빠드라스고이다. 꼼빠드라스고는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의 혼합(mestizaje)의 결과로 사회·문화적 환경과 부딪치면서 형성·변화되어 온 역사적 산물이고, 또한 지금도 변화하고 있다. 식민지 초기의 꼼빠드라스고는 서구의 카톨릭 국가에서처럼 세례, 견진례, 성체, 결혼에서 대부자 관계를 축으로 한 의례적 후원관계가 중심을 이루었다. 그러나 점차 식민지 후반으로 오면서 사람 외에 성상 등을 비롯한 물체들을 꼼빠드라스고 체계에 포함시키면서 대부자 관계보다는 대부모 관계가 중요시되는 라틴 아메리카적 독특성을 획득하기 시작하였다. 꼼빠드라스고는 단순히 원주민 친척관계를 대신하는 의사친척관계의 한 종류에 머물기보다는 친척, 우정, 정치·경제적 연망이 적절하게 포함할 수 없는 새로운 사회 관계망을 형성한다. 결국 꼼빠드라스고는 개인, 가족 나아가 공동체 사이에서 공식적, 의례적, 사회적 관계를 가능하게 하는 통합과 분리의 메커니즘으로 라틴 아메리카 사회와 문화의 핵심인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how the compadrazgo is constructed in daily life in a mexican peasant society, San Andres de la Cal, Morelos. Secondly I will observe characters of the compadrazgo structure and it’s function and role. The social structure of San Andres de la Cal, such as other Latin-American societies, is based on family. Moreover this society does not have formal kinship organizations. The spanish conqueror transformed indigenous societies based upon Calpulli. In this process the traditional kinship relation was weakened and replaced by the system of catholic ritual kinship sponsorship which centered in the padrino-ahijado dyad. The compadrazgo system that we know today is an acculturative complex that has been transformed and created by native people. In the colonialization with the extension of sponsorship to images and material objects, this system began to transcend the padrino-ahijado dyad and increasingly began to shape the compadres-compadres dyad. The compadrazgo is a mechanism of integration and separation that has made possible construction of ritual and social relation. The compadrazgo system is the first distinctive aspect of Latin America social structure.

      • KCI등재

        강원도 농촌 공동노동조직의 특성: 두레와 소겨리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세건 역사문화학회 202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5 No.2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ngwon­do joint labor organization, focusing on Dure. Basic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rming process such as plowing, sowing, weeding, and harvesting, which influenced the joint labor organization. This affected the joint labor organization. In general, a joint labor organization called Sogyuri was formed separately in the fields and Dure in the rice fields. In Gangwon­do, Dure existed in a wide variety of forms due to the influence of Sogyuri.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in Gangneung's quality and Wonju's Dure and Dureuknaemi, Hori farming is generally the main and in the southern Yeongseo and Yeongdong areas, where rice paddies are abundant, villages or half­unit Dure for planting and weeding were formed. This Dure had a similar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to the “standard Dure” in the rice farming area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in places where there were not many rice paddies, a small Dure, which was also called Dre, was formed with about 5-6 households. In particular, in the mountainous area of Gangwon­do, where field farming centered on field farming was carried out, Dure was called Dure or Dre, but the content was close to Sogyuri or Poomasi. In the mountainous area of Gangwon­do, the core of the labor organization was the Sogyuri centered on axial force. Dure generally worked together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rice fields. Above all, this Dure differed greatly in the period and duration of organization from the “standard Dure”, which is formed by concentrating on rice planting and weeding of rice paddies, and rather had the characteristics of Sogyuri. In Gangwon-do, there was Sogyuri at the basis of Dure, and many Dure were also Sogyuri itself.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of Sogyeori was also reflected in the labor organization of rice paddy farming. This point was not only in the Gyuri farming area of Gangwon­do, but also in the field farming area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hort, Gangwon­do Dure had a variety of features that could not be captured as a standard Dure, and above all, it was closely related to Sogyuri to the extent that it could not be properly understood without understanding Sogyuri. 이 논문은 두레를 중심으로 강원도 공동노동조직 특성을 살펴보았다. 기본적으로 논농사와 밭농사는 갈이, 파종, 김매기, 수확 등의 농사 과정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공동노동조직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체로 밭에는 소겨리, 논에는 두레라는 공동노동조직이 형성되었다. 강원도에서 두레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다. 우선 호리농경이 주를 이루고 논농사가 많은 영서 남부와 영동 지역에서는 모내기와 김매기를 위한 마을 또는 반 단위의 두레가 구성되었다. 이 두레는 한반도 남부 벼농사 지역의 ‘표준 두레’와 비슷한 조직구성, 운영방식 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논이 많지 않은 곳에서는 5­6가구 정도가 참여하는 ‘소두레’가 결성되었는데, 이를 드레라고 부르기도 했다. 특히 밭농사 중심의 논밭병행 영농이 행해진 강원도 산간 지역에서 두레 또는 드레라고 불렀지만, 그 내용은 소겨리 또는 품앗이에 가까웠다. 이들 지역에서 공동노동조직의 핵심은 축력을 중심으로 한 소겨리였다. 두레는 대체로 논밭을 구분하지 않고 함께 일하였다. 무엇보다 이 두레는 논농사의 모내기와 김매기에 집중되어 형성되는 ‘표준 두레’와는 조직구성 시기, 지속 기간 등에서 차이가 컸고, 오히려 소겨리의 특성을 그대로 지니고 있었다. 두레의 바탕에는 소겨리가 있었고, 두레가 소겨리 그 자체이기도 했다. 소겨리의 조직원리가 논농사의 노동조직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났다. 이점은 강원도의 겨리농경 지역뿐만 아니라 한반도 북부의 밭농사 지역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요컨대 강원도 두레는 표준 두레로는 담아낼 수 없을 만큼 다양한 모습을 지니고 있었고, 무엇보다 소겨리에 관한 이해 없이는 제대로 파악될 수 없을 정도로 소겨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 KCI등재

        양봉꿀벌이 생산한 감로꿀의 항산화 활성

        김세건,김효영,최홍민,이혜진,한상미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4

        To evaluate biological activity of honeydew honey produced by Apis mellifera L. in Korea, we measured antioxidant activity by using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ABTS [2,2-az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assays. Korean honeydew honey respectively scavenged 26% and 86% of DPPH and ABTS radicals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10 mg/mL. In the result of FRAP assay, Korean honeydew honey showed activity (126 µM of FRAP value) to reduce Fe 3+ to Fe 2+ .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73.41 mg GAE/kg. Korean honeydew honey exhibited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due to having high radicals scavenging ability and reducing power of ferric ion as well as the presence of phenolic compound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honeydew honey has great potential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국내 생산 감로꿀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와 ABTS [2,2-az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라디칼 소거능,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국내 생산 감로꿀은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최고농도 10 mg/mL에서 DPPH에 비하여 ABTS 라디칼 소거능이 3배 이상 높게 측정되었다. FRAP 분석에서는 ferric ion (Fe 3+ )를 126 μM의 ferrous (Fe 2+ )로 환원시켰다. 또한, 국내 생산 감로꿀에 함유된 폴리페놀성 화합물의 총량은 73.41 mg GAE/kg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국내 생산 감로꿀의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가지며 천연 항산화제로 알려진 페놀성 화합물을 존재로 인하여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생산 감로꿀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바이다.

      • KCI등재

        강원도 겨리연장의 부분별 목재 종류와 산림지식

        김세건 국립민속박물관 2019 민속학연구 Vol.0 No.44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에서 가장 널리 쓰인 겨리연장의 핵심 부분인 성에, 번데기, 모로리, 멍에 등에 사용되는 목재가 지역별로 어떻게 다르고, 그 차이가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강원도는 밭 중심의 논밭병행농업이 행해졌던 곳으로 겨리·호리연장, 훌치, 왜쟁기, 인걸이 등 매우 다양한 연장이 발달했는데, 그 가운데에 겨리연장이 있었다. 강원도에서는 지역마다 심지어 같은 지역일지라도 개인마다 연장감으로 사용한 목재가 서로 달랐다. 연장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성에감은 기본적으로 곧고 단단하여 잘 휘지거나 부러지지 않아야 하고, 가벼워야 했다. 성에감으로는 자작나무, 다릅나무, 박달나무, 들무(들메)나무, 느릅나무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연장의 핵심축인 번데기를 만드는 목재는 대체로 성에감과 비슷했는데, 길이가 성에보다 짧아서 상대적으로 목재를 구하기가 쉬웠다. 연장을 끄는 힘의 원천이자 연장의 기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인 모로리는 다른 부분과 달리 강원도 전역에서 물푸레나무로 만들었다. 소의 축력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 멍에감은 소 목등에 부담을 주지 않고자 대체로 가볍고 단단하며, 무엇보다 표면이 잔가지가 없이 매끄럽고 무르며, 말라도 잘 트지 않는 나무가 좋았다. 이런 특성을 지닌 나무로는 소나무, 잣나무, 버드나무, 사시나무, 피나무, 황철나무 등이었다. 지역마다 연장에 사용된 나무는 매우 다양하고, 각 나무에 대한 농민들의 지식은 매우 상대적이었다. 농민들은 끊임없는 창조성을 발휘하면서 그 자신들만의 연장 등 농기구를 마련하였다. 연장 그리고 지게, 가래, 써레 등 다양한 농쟁기들을 만드는 기술은 오랫동안 축적된 것으로 선대(先代) 사람들과 함께 일하면서 보고 느끼고 배우고, 거기에 자신만의 색깔을 더하면서 후대에 이어진 것이었다. 이는 끊임없는 시행착오의 과정이었다. 이 시행착오를 통해 궁극적으로 적당한 농기구를 얻었다. 끊임없는 시행착오 속에서 얻어진 농기구를 관통하는 원칙은 다름 아닌 적재적소(適材適所)였다. 연장을 구성하는 각 부분이 자신에게 알맞은 목재로 만들어지는, 이른바 적재적소 원칙이 지켜질 때 그 연장은 제 기능을 할 수 있었다. 적재적소는 기본적으로 적당한 재를 아는 것과 동시에 그 재가 쓰일 적당한 장소를 아는 것을 아는 총체적 지식을 필요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difference in the wood used in the core parts of the most popular gyurri-yeonjang(bi-plow) in Gangwon province. Gangwon-do was a place where farming and paddy field farming was conducted in the center of the field. There were various kinds of plows such as a gyurri·hori-yeonjang, a improved plow, a Julchi(small plow) etc. The gyurri-yeonjang was a key. In Gangwon Province, the wood used to make the plows was different from region to region and even from person to person. The beam(seong-ae) that occupied the most part of plow was basically straight and solid, so it had to be light and not bent or broken. Representative woods were birch, elm, and amur maackia trees. The wood for making the body(bundegi), which is the core of the plow, was mostly similar to the seong-ae, but its length was shorter, so it was relatively easy to find timber. The leg(morori), that determines the function of the plow, was made from ash wood all over Gangwon Province. The yoke was made of light, smooth woods such as pine and lime tree without burdening the bovine neck. The woods used in the yeonjang vary widely, and the knowledge of the peasants on each wood is very comparative. The yeonjang was able to function when the so-called right-of-fit principle, in which each part of the plow was made of suitable wood, was kept.

      • KCI등재

        지방정치 중심으로써의 무니시삐요(municipio)의 변화와 특징 : 떼뽀스뜰란 무니시삐오를 대상으로

        김세건 부산외국어대학교 이베로아메리카연구소 2007 이베로아메리카 Vol.9 No.2

        Ⅰ. 들어가는 말 2 Ⅱ. 무니시삐오의 약사 6 Ⅲ. 연구지의 자연·인문지리적 배경 10 1. 지리적 배경 10 2. 떼뽀스뜰란의 역사 11 Ⅳ. 지방의 중앙화: 정치행정의 말단 끄나풀로서의 무니시삐오 15 Ⅴ. 중앙과 지역 사이에서: 자유무니시삐오를 향하여! 21 Ⅵ. 나가는 말 29

      • KCI등재

        강원도 겨리농경지역에서 ‘밭갈애비’의 주요 갈이 기술과 특징

        김세건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9

        본 논문은 강원도의 겨리농경지역에서 밭갈애비로 인정받기 위해 요구되는 쟁기질 기술에 무엇이 있으며 어떤 특징이 있는지와 밭갈애비의 위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강원도는 두 마리 소가 끄는 겨리연장으로 논밭갈이를 했던 겨리농경지대 가운데 하나였다. 겨리농경은 기본적으로 부림소, 인간 그리고 연장의 상호관계에서 갈이 작업이 이뤄졌다. 이 관계의 핵심은 인간, 즉 밭갈애비 또는 성군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돌이 많고 비탈이 심한 강원도 산간지역에서는 술받침이 없는 선쟁기형 연장이 중심 농기구로 사용되었다. 선쟁기형 연장은 쟁기질할 때 술받침이 있는 쟁기를 다루는 것보다 훨씬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였다. 논밭을 갈며 열두 군데를 살펴야 하는 밭갈애비는 누구나 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논밭갈이를 위해 밭갈애비와 부림소가 연장이라는 도구를 통해 형성된 연장사회기술체계에서 밭갈애비는 축력과 연장을 연결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서로 길들이는 핵심 주체였으며 연장사회기술체계의 설계자이자 실행가였다. 밭갈애비는 섣불리 일반화할 수 없는 자신만의 경험과 지식체계를 형성하였으며, 이는 연장사회기술체계가 지닌 독특한 적응성과 생명력의 바탕이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what plowing techniques are required to be recognized as the plower(Bat-gal-aibi), what are their characteristics, and what social status the plower have in the rural agricultural region of Gangwon-do. Gangwon-do was one of the Gyuri farming areas where two cows pulled a Gyuri-plow. The Yeonjang(Plow) sociotechnical system was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cows, human and plow. The heart of this relationship was the human, or the plower. Especially in the mountainous region of Gangwon - do, where there are many stones and slopes, so - called the upright plow-type Yeonjang that no has the bottom was the central agricultural equipment, which required much higher technology than the plows that have the bottom. Therefore, anyone could not be a plower. In the Yeonjang sociotechnical system, the plower connected the cows and plow, and above all, was the designer and practician of this system. The plower formed his own system of experience and knowledge that cannot be generalized, which is the basis for the unique adaptability and vitality of the Yeonjang socialtechnical system.

      • 옥수수 다루기를 통해서 본 멕시코 농촌 근대화

        김세건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1999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옥수수 다루기 방식의 변화를 통해서 농촌 근대화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옥수수는 멕시코 농민들의 주요 경작물과 먹거리일 뿐만 아니라 삶과 문화의 요체를 형성하였다. 즉 농민들은 옥수수 생산을 통해 자연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그들만의 문화를 창조하였다. 그러나 각 농촌의 자연적·사회문화적 다양성과 독특성을 무시한 채, 특히 새로운 개량종의 도입을 통하여 생산성의 '신화'를 달성하고자 했던 농촌 근대화는 궁극적으로는 자연환경은 말할 필요도 없고 사회문화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악화를 초래하였다. 궁극적으로 농민들은 점차 그 자신들의 주체성을 상실한 채, 어디서, 어떻게, 누구에 의해 형성되었는지도 모르는 생산품과 문화의 단순한 소비자로 전락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se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rural modernization in the Mexican peasant society by examining the management of the maize. The maize has become the principal product and food, as well as comprised the life and culture of the Mexican peasants. That is, the peasants have had relations with the nature and the other persons, and created their unique and proper culture through the production of the maize. But the introduction of the hybrid seeds without considering the natural varieties and cultural uniqueness causes natural and sociocultural problems. Consequently Mexican peasants have gradually lose their subjectivity, and become simple consumers of the products and culture that they don't know where, how and who produces and creates.

      • KCI등재

        강원도 겨리농경 지역의 중경․제초 농기구, 걸기채(후치․긁쟁이)의 특징

        김세건 국립민속박물관 2022 민속학연구 Vol.- No.51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name, structure, function and role of Geolgichae widely used in the field farming areas in the mountains of Gangwon-do. Kimmaegi[Weeding] was the most difficult and important agricultural work, to the extent that it was called ‘war on weeds.’ This conception was reflected in overall agricultural culture such as farming methods, agricultural equipments, and cultivated crops. In particular, various agricultural methods and agricultural equipments were products developed for effective weeding. The hoe ha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weed more precisely than any other agricultural equipments, but it was laborious, labor intensive, and slow. Using a cow-drawn plow, that is, Geolgichae was an idea of overcoming this shortcoming. Geolgichae is generally called Huchi or Geulgjaeng-i, and in Gangwon-do, it was often called Hulchi or Geolgichae. Geolgichae, called ‘Gadal Hori’ in Gangwon-do, has a sung-ae[plow heam] that splits into two. It clearly distinguishes itself from a plow, a plowing farm tool, in appearance, and functions distinctively. Geolgichae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parallel farming with rice fields centered on fields in Gangwon-do. Because of the Geolgichae, a unique two-year, three-crop cropping system based on intercropping was possible in the field farming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short, Geolgichae was developed maintaining its own unique position separate from the plow which is optimal for plowing work. 본 연구는 강원도 산간의 밭농사지대에서 널리 쓰인 걸기채의 호칭, 구조, 기능과 역할 등을 살펴보고, 갈이 연장과는 분명히 구분되는 중경․제초의 농기구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농사일 가운데 김매기는 ‘제초와의 전쟁’이라고 할 정도 가장 어렵고 중요한 일이었다. 제초와의 전쟁은 농법, 농기구, 경작 작물 등 농경 문화 전반에 투영되었다. 특히 이앙법과 같은 다양한 농법이나 중경․제초를 위한 호미, 후치 등 농기구는 제초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고민의 산물이었다. 호미는 그 어떤 농기구보다 세밀하게 김매기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호미로 하는 김매기는 그 어떤 일보다 고되고 사람 손이 많이 들고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 소가 끄는 쟁기, 곧 걸기채를 이용한 걸기질이었다. 걸기질은 기본적으로 곡물이 자라는 밭에서 헛골을 켜서 김을 매면서 북을 주는 작업으로, 김매기의 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강원도 산간 겨리농경 지역의 농민들은 겨리연장으로 걸기질하기도 했지만, 좀 더 편리하게 걸기질하고자 부림소 한 마리가 끄는 중경․제초용 쟁기, 이른바 걸기채를 만들었고, 부림소도 새로 길들였다. 걸기채는 일반적으로 후치 또는 긁쟁이라고 하는데, 강원도에서는 훌치, 걸기채 등으로 많이 불렀다. 강원도에서 ‘가달 호리’로 불리는 걸기채는 두 갈래로 가랑이진 성에를 가진 것으로 외형상 갈이 농구인 연장(쟁기)와 확실하게 구별되었고, 기능도 사뭇 달랐다. 걸기채는 밭농사지대에서 갈이에서 중경․제초 심지어 수확에 이르기까지 여느 농기구보다 쓰임새가 많은 농기구였다. 걸기채는 강원도 밭 중심의 논밭병행 영농의 특성을 담고 있는 축력 농경 문화의 하나로 인걸기와 더불어 강원도 나아가 한반도 중북부 지역의 밭농사 지대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걸기채가 있었기 때문에 사이짓기를 바탕으로 한 한반도 밭농사지대의 독특한 2년 3작 작부체계가 발전했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었다. 결론적으로 씨붙임한 뒤의 가장 중요한 작업인 중경․제초를 위한 농기구로 발생한 걸기채는 갈이 작업에 최적화된 쟁기․연장․가대기와는 독립적인 그 나름의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며 발전해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