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포넌트화 웹 컨텐츠의 사용자 인지행동 분석을 통한 최적화 멘탈유형 연구

        김성훈(Kim Sunghoon),두경일(Doo Kyungil),김성훈(Kim Sungho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화 서비스 환경으로 진화되고 있는 컴포넌트화 웹 컨텐츠 환경에서 나타나는 사용자의 행태와 문제점을 인지행동 분석 및 평가를 통해 최적화 된 사용자 멘탈유형을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컴포넌트화 웹 컨텐츠 환경뿐만 아니라 웹 환경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개발연구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최적화 멘탈유형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해 컴포넌트화 웹 컨텐츠 환경의 구성요소와 사용자의 사고와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추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최적화 멘탈유형 도출을 위한 사용자 인지행동 분석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자의 인지행동을 기반으로 한 그룹 분석과 표준화 검증을 위한 Mouse Tracking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연령별/직업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컴포넌트화 웹 컨텐츠 환경에서의 사용자 멘탈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연령과 직업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행동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은 컴포넌트화 웹 컨텐츠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사용자 유형에 따라 일반적인 형태와 함께 각 유형에 맞는 다른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연구에서의 멘탈유형결과들을 바탕으로 개인화 웹 컨텐츠 인터페이스 및 인포메이션 디자인 측면에서도 멘탈유형이 다름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뿐만 아니라 웹 환경 구축이나 디자인 개발단계에서도 다르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본 연구결과가 학술적 차원의 기초 이론으로 활용되고 다른 형태의 계속적인 최적화 멘탈유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optimized mental types of a user regarding the conducts and problems caused by componentized web contents environment which has evolved into personalized service environment analyzing and assessing users' cognitive behavior.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suggest the optimized mental types of a user that can be utilized for design R&D based on web environment as well as componentized web contents environment. This study has drawn the factors which determine the constituents of componentized web contents environment and users' thinking and behavior through precedent studies and theoretical reviews and analyzed and assessed users' cognitive behaviors for the purpose of drawing the optimized mental types based on such factors. As a result of conducting Mouse Tracking Analysis to analyze groups based on users' cognitive behaviors and verify standardization it showed that user's mental types under componentized web contents environment varied in accordance with sex age and an occupation. Especially what the difference on users' cognitive behaviors according to age and an occupation was clear means that the services supplied under componentized web contents environment should be differently supplied in accordance with each user type together with a common service type. On the basis of such results for the mental types it should check that a mental types varies even in the field of personalized web contents interface and information design and a mental types should be differently applied in web environment establishment or design development as well as web services supplied thereunder. Hereafter other types of the optimized mental types should be constantly examined and studied and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hereof will be utilized as a fundamental theory for scientific researches.

      • 인포테인먼트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김성훈(Kim, Sunghoo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3 No.-

        많은 스마트 미디어 디바이스의 발전과 보급으로 인하여 스마트 미디어 시대로의 도래가 이루어 졌다.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 양질의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에 따라 문화콘텐츠 산업 또한 디지털콘텐츠 산업을 넘어 스마트 미디어를 활용한 콘텐츠 산업이 필요한 시점에 오게 되었다. 따라서 스마트 미디어 디바이스의 가장 큰 특징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문화콘텐츠 제작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효과적인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으로 사용자에게 흥미와 재미를 제공해주는 인포테인먼트 디자인을 그 방안으로 도출하였다. 사용자가 인포테인먼트의 특징인 새롭고 흥미로운 경험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이용하게 되면,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며, 이는 문화콘텐츠의 충성도로 이어져 문화콘텐츠 어플리케이션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기엔’ 어플리케이션을 인포테인먼트 세부요소인 감각적 자극(비주얼 펀, 다이내믹 영상, 사운드), 인지적 재미(스토리텔링, 인터랙션, 이벤트), 경험적 흥미(유머, 게임, 놀이)의 3가지 요소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요인들은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각 요소를 고려한 인포테인먼트 디자인 구현이야 말로 문화 콘텐츠 산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라 할 수 있겠다. The advent of Smart Media age is realized due to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any Smart media devices. Various Smart devices gave great influence on environment that can use good quality contents beyond restriction on time and space. Thus, cultural content industry also is at the point that requires content industry utilizing Smart media over digital content industry. So the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that uses application, the biggest feature of Smart media device, became necessary. This study deducted infotainment design that provides interests to users as the plan for effective activating of cultural content through application, the biggest feature of Smart media device, became necessary. This study deducted infotainment design that provides interests to uses as the plan for effective activating of cultural content through application. When user uses the content based on new and interesting experience, Immersion to content gets increased, leading to loyalty to cultural contents and increasing the value of cultural content application. Thus in this study ‘Gyeonggi Content Agency’s application was analyzed as infotainment’s detailed 3 elements of sensible stimulation(visual fun, dynamic video, sound), cognitive interest(storytelling, interaction, event). Through this the result that each element gives positive influence on cultural content activating plan has been drawn, and the realization of infotainment design that considered each element can become the plan to activate cultural content industry.

      • KCI등재

        청소년의 봉사 활동과 공동체 의식

        김성훈(Kim, Sungho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청소년의 봉사 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1 코호트 2-4차 연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이원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한 패널분석이다. 이 분석방법은 청소년의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변화하는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자료, 곧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 활동 경험은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킨다. 하지만 봉사 활동 경험과 마찬가지로 봉사 활동의 형식적 측면이라고 할 수 있는 봉사 활동 시간은 공동체 의식의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은 청소년의 봉사 활동이 충분히 내실 있게 이루어지고 있지는 못하다는 점을 함축한다. 둘째, 봉사 활동의 질적 측면과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봉사 활동 만족도와 봉사 활동 동기는 공동체 의식의 변화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봉사 활동 만족도는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타적 동기로 한 봉사 활동은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는 데 비해, 성적 때문에 한 봉사 활동은 공동체 의식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봉사 활동을 실시하려 할 때는, 봉사 활동 만족도를 높이고, 이타적 동기를 강화하며, 성적을 얻으려는 동기를 약화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봉사 활동을 준비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s of adolescents’ volunteering activities on their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analyzed the 2nd-4th waves of the 7th grade cohort of the Korea Youth and Children Panel Survey dataset. The method of analysis was panel data analysis using two-way fixed effects mod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volunteering enhances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However, the hours of volunteering, regarded as another formal aspect of volunteering, does not by itself increase their sense of community. This implies that the contents of adolescents’ volunteering activities remain under-developed. Second, satisfaction in volunteering and motives of volunteering, which can be related to substantive aspects of volunteering, affect their sense of community. Satisfaction in volunteering increases their sense of community. Altruistic volunteering increases their sense of community, however volunteering to get better grades tends to decrease their sense of community. When one tries to set up volunteering services and activities to increase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one needs to prepare volunteering services that can increase satisfaction in volunteering, reinforce altruistic motives, and reduce the motives of getting better grades.

      • KCI등재

        동일 골격근량 적용 시 체지방량의 차이가 남성의 최대 근력에 미치는 효과

        김성훈 ( Sunghoon Kim ),최종욱 ( Jonguk Choi ),허성훈 ( Sunghoon Hur ),이종삼 ( Jongsam Lee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6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4 No.2

        We investig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 content and maximal muscle strength when skeletal muscle mass was matched. Muscle mass was measured from 140 preliminary selected people, and 30 males were finally selected and divided into one of four experimental groups: low body fat (group 1, ≤11.9%), low-moderate fat (group 2, 12.0%-16.9%), moderate-high fat (group 3, 17.0%-22.9%), high fat (group 4, ≥23.0%). All subjects undertook one repetition maximum (1RM) test of abdominal and back upper body`s and lower body`s, and bench press, squat, and back strength dynamometer was used. Repea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s post-hoc test was adopted to specify mean differences among groups.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α=0.05. 1RM of bench press was not different among groups (p>0.05) even though values from group 2 was marginally higher (15.9%) than group 1 values (p=0.091). 1RM of squat was higher in group 4 compared to group 2 and group 3 (p<0.05), and maximal back muscular strength was higher in group 1 and group 3 than group 2 (p<0.05). However, total 1RM values, sum of 1RM obtained from different exercises, did not reveal any statistical differences. No notabl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ercent body fat (%BF) and maximal muscular strength. Interestingly, negative correlation of muscular strength was observed between %BF and relative (per kilogram) body mass (p<0.001), but not with between %BF and relative skeletal muscle mas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maximal muscular strength is influenced not by fat mass but by skeletal muscle mass.

      • KCI등재

        산림의 CO<sub>2</sub> 흡수량 평가를 위한 통계 및 공간자료의 활용성 검토 - 안산시를 대상으로 -

        김성훈 ( Sunghoon Kim ),김일권 ( Ilkwon Kim ),전배석 ( Baysok Jun ),권혁수 ( Hyuksoo Kwo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환경영향평가 Vol.27 No.2

        본 연구는 안산시 산림을 대상으로 연간 CO<sub>2</sub> 흡수량 평가를 위한 통계 및 공간자료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통계자료, 임상도(1:5,000), 산림수종 표준 탄소흡수량 자료들을 활용해 산림의 연간 CO<sub>2</sub> 흡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세분류토지피복도를 이용한 연간 CO<sub>2</sub> 흡수량 분석 및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통계자료를 이용한 경우 2010년을 기준으로 연간 CO<sub>2</sub> 흡수량의 차이가 컸다. 이는 2010년부터 산림기본통계의 작성 방법이 고도화됨에 따라 임목축적이 급격히 증가한 결과이다. 향후 통계자료를 활용할 경우 최근의 산림기본통계를 이용한 보정이 필요하다. 임상도(1:5,000)와 산림기본통계(2015, 2010)의 시기 차이를 이용한 방법은 수종들의 생장량에 따른 CO<sub>2</sub> 흡수량이 반영되지 않았다. 산림수종 표준 탄소흡수량 자료와 임상도(1:5,000)를 이용한 결과 연간 42,369 ton을 흡수하였다. 세분류토지피복도와 산림수종 표준 탄소흡수량 자료를 이용한 결과는 40,696 ton이었다. 임상도(1:5,000)를 이용하여 세분류토지피복도를 검증한 결과 p<0.01 수준에서 유의했고, 흡수량 차이는 1,673 ton이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산림활동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 평가에 있어 객관적 기준을 적용하는 일환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나아가 탄소흡수원과 관련된 토지이용 및 관리 등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vailability of spatial data for assessing absorption rates of CO<sub>2</sub> in the forest of Ansan-si and evaluate the validity of methods that analyze CO<sub>2</sub> absorption. To statistically assess the CO<sub>2</sub> absorption rates per year, the 1:5,000 Digital Forest- Map (Lim5000) and Standard Carbon Removal of Major Forest Species (SCRMF) methods were employed. Furthermore, Land Cover Map (LCM) was also used to verify CO2 absorption rate availability per year. Great variations in CO<sub>2</sub> absorption rates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year 2010. This was due to improvement in precision and accuracy of the Forest Basic Statistics (FBS) in 2010, which resulted in rapid increase in growing stock. Thus, calibration of data prior to 2010 is necessary, based on recent FBS standards. Previous studies that employed Lim5000 and FBS (2015, 2010)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CO<sub>2</sub> absorption rates of different tree species, and the combination of SCRMF and Lim5000 resulted in CO<sub>2</sub> absorption of 42,369 ton. In contrast to the combination of SCRMF and Lim5000, LCM and SCRMF resulted in CO<sub>2</sub> absorption of 40,696 ton. Homoscedasticity tests for Lim5000 and LCM resulted in p-value <0.01, with a difference in CO<sub>2</sub> absorption of 1,673 ton. Given that CO<sub>2</sub> absorption in forest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reduces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uld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supporting a wide range of decision-making processes for land use and management.

      • 효율적인 응용 계층 멀티캐스트 서비스 개발을 위한 프레임웍

        김성훈(Sunghoon Kim),강경란(Kyungran Kang),XuanTung Hoang(XuanTung Hoang),김문석(Moonseok Kim),이동만(Dongma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C

        응용 계층 멀티캐스트는 IP 멀티캐스트의 배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지만 각 응용 서비스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융통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응용 계층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공통 기능과 응용 서비스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단일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융통성이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응용 계층 멀티캐스트 프레임웍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프레임웍은 응용서비스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응용 계층 멀티캐스트 기법을 선택적으로 재배치할 수 있으므로 쉽고 빠른 응용 서비스의 개발 및 구축을 가능하게 하고 기법 개발자에는 개별 기법을 응용 프로그램과 독립적으로 확장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응용 계층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본 프레임웍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기술하며 그 효율성과 실제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TBCP 프로토타입을 구현한 결과를 기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