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범용 DSP를 이용한 MPEG - 2 오디오 부호화기

        김성윤,오현오,윤대희 에스케이텔레콤 (주) 1998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8 No.3

        단일칩 제조 기술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많은 수요가 예상되고 계산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복호화기의경우 단일 칩으로 제조되는 등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방송국, 녹음 스튜디오 등 한정된 수요만을 가지고 있는 부호화기의 경우는 개발이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실제로 MPEG-2 알고리듬을 방송이나 멀티미디어 시스템 등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부호화 및복호화 시스템이 필요하며 계산량이 많은 부호화기를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다[3]~[5]. 본 논문에서는 범용 디지털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현된MPEG-2 계층 2(Layer II) 오디오 부호화 실시간 병렬처리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이전에 제작된 시스템은 각 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Slave 보드 5개와 채널매트릭싱(Matrixing), 비트 할당, 양자화, 비트 팩킹, 그리고PC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Master 보드 1개로 이루어져 있었다[6],[7]. 1 채널의 서브밴드 분석과 심리 음향 모델 처리를 담당하는 Slave 보드는 2개의 DSP를 사용하고 있으며, 서브 밴드 분석과 심리 음향 모델 분석이 끝난 각 채널의 데이터를 함께 묶어서 처리해야 하는 비트 할당과 양자화 과정, 그리고 비트열 포맷팅 작업을 담당하는 Master 보드는 1개의 DSP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전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은전반적인 하드웨어의 구조는 문제가 없었으나 마스터 계산능력이 부족하여 낮은 비트율만 지원할 수 있었다. 따라서하드웨어 구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마스터 보드를 재설계하여 계산능력을 향상시켰고 소프트웨어적인 성능 향상을 개선된 시스템은 다채널 처리의 확장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Master 보드에도 DSP를 2개 사용한 동시에 연산 처리 능력을 확장하기 위해 기존의 33MHz CPU뿐 아니라 최대50MHz CPU의 사용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추가된 1개의 DSP에서는 다채널 비트 할당 과정만을 전담하도록 하였다. 또, 구성된 시스템 내에서 높은 비트율로 다채널 부호화가 가능하도록 몇가지 고속 알고리듬을 적용하였으며 메모리범용 DSP를 이용한 MPEG - 2 오디오 부호화기김 성 윤·오 현 오·윤 대 희김성윤, 오현오, 윤대희 : 연세대학교

      • Cholinergic Mechanisms on Cardiovascular Regulation in the Ventrolateral Medulla of the Rat

        김성윤,고택립,이상복,Kim, Seong-Yun,Koh, Taek-Lip,Lee, Sang-Bok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87 대한약리학잡지 Vol.23 No.2

        혈압과 심박수의 중추조절에 대한 복외측 연수의 choline성 수용체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urethane으로 마취한 흰쥐에서 신경흥분성 아미노산인 L-glutamate(300 ng/site)를 복외측 연수에 미세주사하여 승압부위 (VLPA)와 감압부위 (VLDA)를 각각 기능적으로 확인하였다. VLPA와 VLDA에 각각 여러가지 choline성 약물들과 choline성 수용체의 길항제들을 양측으로 미세주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관찰하였다. 1. VLPA에 ca.bachol(300 ng/site)를 미세주사한 후 현저한 혈압상승 및 빈맥이 일어났으며, 이 반응은 hexamethonium ($4\;{\mu}g/site$)의 전처치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았다. 2. VLPA에 physostigmine (200 ng/site)과 oxot.emo.me (300 ng/site)을 미세주사한 후 각각 현저한 혈압상승이 일어났다. 3. VLPA에 atropine($4\;{\mu}g/site$)을 미세주사한 후 현저한 혈압하강 및 서맥이 일어났다. 4. VLDA에 acetylcholine(500 ng/site)과 dimethylphenylpipe.azinium (500 ng/site)을 미세주사한 후 각각 현저한 혈압하강 및 서맥이 일어났다. 5. VLDA에 acetylcholine(500 ng/site)을 미세주사한 후 유발된 혈압하강 및 서맥반응은 hexamethonium($4\;{\mu}g/site$) 전처치에 의하여 차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흰쥐의 복외측 연수의 승압부위에서는 muscarine성 수용체를 통하여 혈압상승 및 빈맥반응이 일어나고 감압부위에서는 nicotine성 수용체를 통하여 혈압하강 및 서맥 반응이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ole of cholinoceptors in the ventrolateral medulla on central control of blood pressure (BP) and heart rate (HR). In rats anesthetized with urethane and paralyzed, microinjections of the neuroexcitatory amino acid L-glutamate (300 ng/site) were performed to functionally identity the vasopressor area (VLPA) and the vasodepressor area (VLDA) in the ventrolateral medulla oblongata. 1. The bilateral microinjection of carbachol (300 ng/site) into the VLPA produced significantly an increase in BP and HR which was not blocked by bilateral pretreatment of hexamethoium ($4\;{\mu}g/site$). 2. The bilateral microinjection of physostigmine (200 ng/site) and oxotremorine (300 ng/site) into the VLPA produced significantly an increase in BP respectively. 3. The bilateral microinjection of atropine ($4\;{\mu}g/site$) into the VLPA produced significantly a decrease in BP and HR. 4. The bilateral micro injection of acetylcholine (500 ng/site) and dimethylphenylpiperazinium (500 ng/site) into the VLDA produced significantly a decrease in BP and HR respectively. 5. The depressor and bradycardiac responses elicited by the bilateral microinjection of acetylcholine (500 ng/site) into the VLDA were blocked by bilateral pretreatment of hexamethonium ($4\;{\mu}g/sit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vation of cholinoceptors in VLPA produce hypertensive and tachycardiac responses which may be mediated by muscarinic receptors, and the activation of cholinoceptors in VLDA produce hypotensive and bradycardiac responses which may be mediated by nicotinic receptors.

      • 政策倫理의 確保方案에 관한 硏究

        김성윤 단국대학교 정책과학연구소 2000 정책과학연구 Vol.10 No.-

        공무원은 바람직한 사회를 구현하는 주체자이다. 정책윤리란 공무원이 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자이거나 개척자로서 공적 목적달성을 위해 지켜야 할 최고의 행동규벌이다. 부정부패가 없는 투명한 사회의 건설은 국제화된 시대에 세계 공통의 보편적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 어느 나라이든 부패척결을 구호로 내세우지 않은 정부가 없고, 부패방지를 위한 구체적 청사진을 제시하지 않은 정부는 드물다. 그런데도 부패는 근절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이유는 무엇이며, 왜 부패가 근절되어야 하는 것을 제1장에서, 그리고 제2장에서는 정책윤리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어떻게 정책윤리가 왜곡되고 있는가를 논해 보고 제4장에서 정책윤리의 확보방안을 살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