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반도 중서부 홍성지역 내에 분포하는 사문암체의 지질연대학 및 지구조적 의미

        김성원,박승익,Kim, Sung Won,Park, Seung-I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6 자원환경지질 Vol.49 No.4

        한반도 중서부 홍성지역은 지구조적으로 중국의 친링-다비에-수루대와 대비되는 충돌대일 가능성이 고려되는 지역이다. 홍성지역은 다수의 다양한 시기의 렌즈상 사문암체가 렌즈상 염기성암체와 함께 분포한다. 주 연구대상 사문암체 중 백동과 원노전 암체는 신원생대 알칼리화강암과 그리고 비봉암체는 고원생대 유구편마암과 접촉한다. 백동암체는 신원생대 알칼리화강암 암괴 및 고생대 후기 변성염기성 암괴를 포함하며, 비봉암체는 신원생대 알칼리화강암의 암괴를 포함한다. 세 암체 모두에서 중생대 관입암체가 인지되며, 비봉암체는 백악기의 화산암을 포함한다. 사문암체의 사문암에 대한 SHRIMP U-Pb 쇄설성 저어콘 연대결과는 백동 암체에서 시생대 후기부터 고생대 중기, 원노전과 비봉 암체에서 시생대 후기부터 백악기 전기까지 연대 범위를 보여준다. 비록 사문암화 과정에서 연대측정을 수행할 광물이 생성되지는 않지만, 가장 젊은 쇄설성 저어콘의 연대인 백동 사문암체의 고생대 중기와 원노전과 비봉 사문암체의 백악기 연대는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과 달리 이들 사문암체가 고생대 중기 이후 혹은 백악기 전기 이후 사문암화되었을 가능성 또는 재동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사문암체 내에서 나타나는 백악기 초기의 연대들은 사문암화 작용이 한반도 중서부 내에 분포하는 백악기 초기 화성작용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홍성지역의 연구대상 사문암체의 사문암과 사문암 내의 다양한 시기의 암괴들로부터 측정된 연대 결과들은 사문암화된 초염기성암의 사문암화 시기 및 사문암화 되는 지구조 환경 해석에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공하며, 연구지역의 다른 사문암체들을 포함한 사문암체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지질연대학적 연구가 필요함을 지시한다. The Hongseong area of the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is considered to be a part of collision zone that is tectonically correlated to the Qinling-Dabie-Sulu belt of China. The area includes the elliptical-shaped serpentinized ultramafic bodies, together with mafic rocks. The studied bodies are in contact with the surrounded Neoproterozoic alkali granites at the Baekdong and Wonnojeon bodies and the Paleoproterozoic Yugu gneiss at the Bibong body. The Baekdong body contains the blocks of the Neoproterozoic alkali granites and the Late Paleozoic metabasites. The Bibong body also includes the Neoproterozoic alkali granite blocks. The Mesozoic intrusive rocks are also recognized at the Baekdong, Wonnojeon and Bibong bodies. On the other hand, the Early Cretaceous volcanic rocks are occurred at the Bibong body. The detrital zircon SHRIMP U-Pb ages of the serpentinites at three bodies range variously from Neoarchean to Middle Paleozoic at the Baekdong body, and from Neoarchean to Early Cretaceous at the Wonnojeon and Bibong bodies. Although serpentinization does not generally produce minerals suitable for direct isotopic dating, the youngest Middle Paleozoic age at the Baekdong body and the Early Cretaceous age at the Wonnojeon and Bibong bodies indicate the possible upper age limit for the (re)serpentinization. Especially, the Early Cretaceous serpentinization ages may be related to the widespread Early Cretaceous igneous activity in the central-southern Korean Peninsula. Age results for the serpentinite bodies and the included blocks of the studied serpentinized ultramafic bodies in the Hongseong area, therefore, provide several possible interpretations for the serpentinization ages of the ultramafic rocks as well as the geotectonic implications of serpentinization, requiring more detailed study including other serpentinized ultramafic bodies in the Hongseong area.

      • KCI등재후보

        비금속 포스트 코어가 전부도재관에 미치는 광학적인 영향

        김성원,조인호,임주환,임헌송,Kim Sung-Won,Cho In-Ho,Lim Ju-Hwan,Lim Heon-So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0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0 No.5

        Recently as the esthetic concerns about dental prosthesis have been increased, the nonmetallic post and core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clinically to improve the color and the low optical transmittance of conventional casting metal post and core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optical transmittance and the shade changes of all-ceramic crowns with two nonmetallic post and core system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classified as follows : Total 27 specimens(9 samples in each group) were evaluated. Group I : Natural teeth as a control group Group II : CosmoPost and $Empress^{(R)}$ core (Ivoclar-Vivadent, Liechtenstein) Group III : $LIGHT-POST^{TM}$ and $LIGHT-CORE^{TM}$ (Bisco, U.S.A.) In all group, all-ceramic crowns were fabricated with the same shade of IPS $Empress^{(R)}$ II (Ivoclar-Vivadent, Liechtenstein) after abutment preparation, and then two kinds of spectrophotometers, UV 3101 PC (Shimadzu, Japan) and CM 503i (Minolta Co. Ltd. Japan), were used to measure the optical transmittance and the color valu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each group without all-ceramic crowns, was siginificantly decreased in order of Group III, I and II (p<0.05). 2.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each group with all-ceramic crowns cemented, were siginificantly decreased in order of Group I, II and III (p<0.05). 3. In comparison with the shade of all-ceramic crow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regardless of the cementation. 4. In comparison with the shade changes in each group after the cementation of all-ceramic crow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thought that the selection among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doesn't influence greatly the esthetic restoration, because the differences of optical transmittance were so small that those were clinically insignificant.

      • KCI등재

        PRAM을 위한 (GeTe)<sub>x</sub>(Sb<sub>2</sub>Te<sub>3</sub>) (x=0.5, 1, 2, 8) 박막의 물성 및 상변환 특성 연구

        김성원,송기호,이현용,Kim, Sung-Won,Song, Ki-Ho,Lee, Hyun-Yong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1 No.7

        In this work, we report several experimental data capable of evaluating the phase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s of GeSbTe pseudobinary thin films comprehensively utilized as phase change materials. The phase transformation of the GeSbTe thin films was confirmed by XRD measurement from amorphous to hexagonal structure via fee structure except for $Ge_8Sb_2Te_{11}$. In addition, X-ray photoelectron spectra analysis revealed to weaken Ge-Te bond for $Ge_2Sb_2Te_5$ and to strengthen the bonds of all elements for $Ge_8Sb_2Te_{11}$ during the amorphous to crystalline transition. The values of optical energy gap $(E_{OP})$ were around 0.71 and 0.50 eV and the slopes of absorption in extended region (B) were ${\sim}5.1{\times}10^5$ and ${\sim}10{\times}10^5cm^{-1}{\cdot}V^{-1}$ for the amorphous and fcc-crystalline structures, respectively. Finally, the kinetics of amorphous-to-crystalline phase change on the GeSbTe films was characterized using a nano-pulse scanner with 658-nm laser diode (power; $1{\sim}17$ mW, pulse duration; $10{\sim}460$ ns).

      • KCI등재

        유동층 반응기 희박상 내 탄소나노튜브 응집체의 크기 및 형상 측정

        김성원,Kim, Sung Won 한국화학공학회 2017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5 No.5

        CNT 유동층 반응기(내경 0.15 m, 높이 2.6 m) 희박상 내 CNT 입자(평균입도 $291{\mu}m$, 벌크밀도 $72.9kg/m^3$)의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레이저 슬릿광 형상 측정법을 이용하여, CNT 응집체의 크기 및 형태를 측정하였다. 기포유동층 조건에서 CNT 반응기 내 축방향 고체체류량 분포는 하부 농후상과 상부 희박상을 갖는 S자 형태를 보였다. 기체 유속이 증가할수록 비산되는 CNT 응집체의 Heywood 직경과 Feret 직경이 증가하였고, 응집체 내 CNT 입자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기체의 유속이 증가할수록 CNT 응집체의 종횡비는 증가하고, 원형도는 감소하였다. CNT 응집체의 원마도와 견고도는 기체의 유속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응집체의 형상 분석 정보에 기반한 희박상 내 응집체 형성 원인을 제안하였다. Size and shape of carbon nanotube (CNT) agglomerates in the dilute phase of a bubbling fluidized bed ($0.15m\;i.d{\times}2.6m\;high$) have been determined by the laser sheet technique. Axial solid holdup distribution of the CNT particles showed S curve with dense phase and dilute phase in bubbling fluidization regime. Heywood diameter and Feret diameter of the CNT agglomerates in the dilute phase of bubbling fluidized bed increased with increasing gas velocity. The CNT particle number in the agglomera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gas velocity. Aspect ratio increased and circularity, roundness and solid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gas velocity. A possible mechanism of agglomerates formation was proposed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 KCI등재

        Educational Ministries in Korean Churches amid the COVID-19 Pandemic

        김성원,서은선,Kim, Sung-Won,Suh, Eun-Sun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 2021 기독교교육논총 Vol.- No.65

        본 연구는 교육사역에서 모델이 되는 교회를 규모별로 선택하여 코로나 시기에 실시한 사역을 조사함으로 미래 교회사역의 방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4개 교회 목회자의 사역 경험이 자료의 주된 출처가 된 사례연구를 활용했다. 교회마다 독특한 사역이 실행되었지만, 새벽 특별기도회, 가족예배, 가족단위 별 여름성경학교, 성경쓰기 또는 읽기 프로그램, 온라인 제자훈련 프로그램 등이 일반적이었다. 이 밖에도 각 교회에서는 토크쇼, 번개팅, 보이는 라디오, 전교인의 성경 필사본 제작 등 교회의 특징 및 필요 그리고 코로나 시기의 특성을 반영한 특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회의 목회철학을 반영한 목회 프로그램 실시, 공동체 의식 강화, 가족의 영적 기능 회복, 온라인 교수법 활용, 소외계층에 대한 심리적 지원 등이 교육목회 방향으로 제시되었다. 이 외에도 기독교의 공공성 회복과 교단이나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아 시대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과 온라인 자료를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future Christian ministry by examining the educational/pastoral ministries of Korean churches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study used the case study method, where pastors from four different churches were the primary sources of data. Although each church has its own unique ministry, special early morning prayer meetings, family worship services, family Vacation Bible Schools, Bible writing and reading programs, and on-line discipleship training programs were common. In addition, each church implemented special programs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hurch, like a talk show, visible radio, surfing meeting, and book-making of Bible manuscripts. Based on these results, ministry programs reflecting the church's pastoral philosophy, strengthening community consciousness, restoring the spiritual function of the family, utilizing online teaching methods,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 underprivileged are proposed. In addition, the recovery of Christian publicity and the help from denomination or specialized institutions to develop the programs and online materials were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the direction of educational/pastoral ministry in a time of COVID-19 and post-COVID-19 is proposed.

      • KCI등재SCOPUS

        국내 주요 검색 포털의 디렉터리 서비스 정보자원 선정 및 분류작업 개선방안

        김성원,Kim, Sung-Wo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5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6 No.4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유통량은 크게 증가하였으나 정보의 저장, 유통, 그리고 검색의 비효율성이 상존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당수의 검색 포털은 분류체계에 따라 정보자료를 조직화하여 제공하는 디렉터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표적 인터넷 검색 포털에서 제공되고 있는 디렉터리 서비스의 실제 분류작업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디렉터리 서비스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While the amount of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internet has dramatically increased recently, certain inefficiencies still exist with regard to the storage, distribution,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As a means of improving efficiency in accessing information, many search portals provide directory services to present organized guidance to informat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hemes. This study examines the classification activities practiced by the major search portals in Korea and makes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directory services.

      • KCI등재

        비선형 증발량 및 증발산량 시계열의 모형화를 위한 신경망-유전자 알고리즘 모형 2. 불확실성 분석에 의한 최적모형의 구축

        김성원,김형수,Kim, Sung-Won,Kim, Hung-Soo 한국수자원학회 200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0 No.1

        본 논문에서는 본 연구논제(2007)에서 개발된 COMBINE-GRNNM-GA(Type-1)으로부터 최적형태의 구조를 가진 모형을 구성하고, 입력층노드의 기상인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불확실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훈련과정중에 가장 최소의 평활인자를 가진 입력층변수는 COMBINE-GRNNM-GA(Type-1)에서 제거되었으며, 변형된 COMBINE-GRNNM-GA(Type-1)은 기상학적 변수의 새로운 최소 평활인자를 구하기 위하여 재훈련된다. 최소 평활인자를 가지는 입력층 노드는 모형결과치에 대하여 가장 유용하지 않는 기상인자인 것을 암시하고 있다. 게다가, 민감하거나 민감하지 않은 기상인자들이 불확실성 분석을 통하여 선택되어진다. 최적 COMBINE-GRNNM-GA(Type-1)은 최소 비용과 노력으로 결측 혹은 미계측 증발접시 증발량과 계측되고 있지 않은 알팔파 기준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마지막으로 치적 COMBINE-GRNNM-GA(TyPe-1)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에서 전반적인 가뭄해석 및 관개배수 시스템 구축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증발접시 증발량 지도 및 알팔파 기준증발산량 지도도 구축되어질 수 있다. Uncertainty analysis is used to eliminate the climatic variables of input nodes and construct the model of an optimal type from COMBINE-GRNNM-GA(Type-1),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this issue(2007). The input variable which has the lowest smoothing factor during the training performance, is eliminated from the original COMBINE-GRNNM-GA (Type-1). And, the modified COMBINE-GRNNM-GA(Type-1) is retrained to find the new and lowest smoothing factor of the each climatic variable. The input variable which has the lowest smoothing factor, implies the least useful climatic variable for the model output. Furthermore, The sensitive and insensitive climatic variables are chosen from the uncertainty analysis of the input nodes. The optimal COMBINE-GRNNM-GA(Type-1) is developed to estimate and calculate the PE which is missed or ungaged and the $ET_r$ which is not measured with the least cost and endeavor Finally, the PE and $ET_r$. maps can be constructed to give the reference data for drought and irrigation and drainage networks system analysis using the optimal COMBINE-GRNNM-GA(Type-1) in South Korea.

      • KCI등재SCOPUS

        모바일 정보서비스 구현을 위한 요소기술

        김성원,Kim, Sung-Wo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8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9 No.3

        현대인의 바쁜 일상은 원하는 정보를 즉시 획득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증대시키고 있고, 정보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도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의 제공은 정보서비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렇게 시간,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는 정보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궁극적인 대안으로 모바일 정보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정보전달의 매개로 삼아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과 서비스 제공 문제를 살펴보았다. 먼저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되고 있는 정보서비스 제반 환경을 살펴보았고,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시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콘텐트, 네트워크, 플랫폼, 이용환경 등의 제반 구성요소를 실무적인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As the need for immediate access to the required information has increased in today's busy daily life, information service providers' capability of providing service whenever and wherever possible has become a critical element of improving service quality. Naturally, the demand and supply for mobile information service has rapidly increased since it is an ultimate option of satisfying information needs without temporal and special constraints.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s of system implement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handset as a tool of information access. First, it examines overall conditions of mobile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 and then explores the general components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mobile information service, including contents, network, platform, and use environment.

      • KCI등재

        이종골 이식을 동반한 지르코니아와 타이타늄 임플란트의 골유착에 관한 연구

        김성원,조인호,Kim, Sung-Won,Cho, In-H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2 No.1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외과적으로 형성한 골 결손부에 이종골 이식과 함께 식립한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골유착에 대한 기계적 안정성과 조직학적 반응을 타이타늄 임플란트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6마리 돼지의 경골에 인위적으로 형성한 골 결손 부위에 대조군인 18개의 상용 타이타늄 나사형 임플란트와 실험군인 18개의 샌드블라스팅한 지르코니아(Y-TZP) 나사형 임플란트를 각각 식립하고 차폐막을 이용하여 이종골을 이식하였으며 1주, 4주, 12주후에 각각 2마리씩 희생시켜 조직 시편을 제작하였다. 식립 직후와 식립 1주, 4주, 12주 후에 각각 페리오테스트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측정하였고, 광학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관찰과 조직계측학적 분석을 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임플란트의 표면 특성과 골-임플란트 계면을 관찰하였다. 결과: 페리오테스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안정성 분석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조직학적 분석 결과, 각 군 모두 4주에 이식골의 재흡수와 조골세포의 활발한 활동에 의해 신생골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골-임플란트 접촉률 분석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특히 4주와 12주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2시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골 면적률 분석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대조군은 균일한 다공성의 거친 표면을 나타냈고 실험군은 무정형 입자들이 불규칙하게 산재된 표면을 보여 주었다. 각 군 모두 4주에 임플란트 표면과 골 조직 사이에 빈 공간이 관찰되었고 12주에는 일부 공간에서 골 조직으로 채워진 양상을 보였다. 결론: 차폐막을 이용한 이종골 이식을 동반하는 경우 본 실험에 사용된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골-임플란트 접촉률은 양극산화 표면처리를 한 타이타늄 임플란트에 크게 미치지 못하므로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표면 처리 방법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zirconia implants with titanium implants from the view point of biomechanical stability and histologic response on osseointegration when those were placed with xenograft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s: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was experimented with eighteen titanium implants which had anodized surface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erimented with eighteen sandblasted zirconia (Y-TZP) implants. At the tibias of six pigs, implants were installed into bone defect sites prepared surgically and treated with resorbable membranes and bovine bone. Two pigs were sacrificed after 1, 4 and 12 weeks respectively. Each implant site was sampled and processed for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e stability of implants was evaluated with a $Periotest^{(R)}$. And the interfaces between bone and the implant were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sults: In stability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iotest value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 histologic analysis with a light microscope after 4 weeks, there was new bone formation with the resorption of bovine bone and the active synthesis of osteoblasts in both groups. In bone-implant contact percentag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P<.05). In bone area percent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analysis of both groups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re was a gap between bone and a surface at 4 weeks and it was filled up with bone formed newly at 12 weeks. Conclusion: When accompanied by xenograft using membrane, bone to implant contact percentage of zirconia implants used in this experiment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titanium implants by surface treatment of anodic oxidation.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improvement of zirconia implant is needed through ongoing research on surface treatment methods for its practical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