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배움의 HRD를 위한 배움 도구로서 web 2.0의 가능성’에 관한 토론

        김성길 한국배움학회 2010 한국배움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1

        인간은 배움의 본능을 타고난 존재(Homo Eruditio)다. 삶에 필요한 태도, 기술, 지식 등을 배워서 자신의 행동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을 태생적으로 가지고 태어난 것이다. 이런 각자의 배움 력에 기초해서 기존의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새롭게 계발시켜 나간다. 또한 타인과의 협력과 공유를 통해 조직 차원으로 발전시켜 나간다. 이런 점에서 인간이 보여주는 가장 본질 적인 모습은 새로운 것을 접하고 익히고 만들어내는 배움의 실천행위인 것이다. 지금껏 기업의 교육훈련을 통칭하는 HRD의 성격에 비추어 볼 때, HRD는 개인의 성장과 계발보다는 조직의 발전과 생존에 더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경쟁과 성과에 초점을 맞춘 채 도구적이고 기능적인 방식으로 발전한데 기인하는 것이다. 인간에 대한 본질적 이해와 역사에 대한 총체적 비전이 결여된 채, 단기간의 이익과 임기응변식 처방에 집중한 탓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연구 개발된 HRD 패러다임과 전략을 실질적으로 검증하지 않은 채, 외국의 이론들을 기업현장에 번역하여 적용해왔던 것이다. 기능적인 아이디어는 인간을 도구로 파악하는 인간 이해에 대한 한계를 지닌다. 말하자면, 인간은 쓸모 있는 도구들의 모음으로서만 가치가 있을 뿐, 스스로의 세계를 창조하고 리포매팅(reformatting)하는 주체로서 인정받지 못한다는 것이다(김성길, 2009). 지금의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가 새로운 인간 이해에 바탕한 HER(Homo Eruditio Reformatting)로 변용해야 할 필요가 여기에 있다.

      • 다양과 통합: 배움학적 상상력

        김성길 한국미래교육학회 2012 미래교육연구 Vol.2 No.3

        미래는 다양성과 통합의 시대다. 다양성과 통합이라는 미래교육의 본질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목적, 교육의 주체, 교육의 대상, 교육의 내용, 교육의 방법, 교육의 행정 등 기존의 교육 활동 전반에 대한 새롭고 다양한 관점과 통합적인 패러다임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미래사회는 창의성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창의성을 강조하는 미래의 인재에게 요구되는 요건이 바로 배움학적 상상력이다. 배움학적 상상력은 단순한 지식의 확보를 넘어선다. 배움학적 상상력은 머릿속 생각이나 마음속 결심(決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배움학적 상상력은 생각과 결심에 더해 손과 발의 결단(決斷)과 결행(決行)을 요구한다. 미래교육의 본질로서 다양성과 통합성을 회복하기 위한 배움학적 상상력은 새로운 미래교육의 방법론이다. Albert Einstein said that 'imagination is more important than knowledge'. The core of creativity is the ability to see relationship and patterns and make combinations and connections between unfamiliar things. The science of erudition can maximize the creativity that is the core of the future education.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the essence of future education and discussing the methodology of future education. This study describes the characters of future society, and debates the essence of future education, that is to say, diversity and integration. And this study recommends the imagination for the science of erudition as the methodology of future education.

      • KCI등재

        인명구조요원의 자원봉사 참여과정과 경험

        김성길,김인형,임새미 한국융합과학회 2020 한국융합과학회지 Vol.9 No.3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n in-depth look at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lifesaving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values and meanings of volunteer activities for those who are volunteering as lifesaving personnel. Methods: To this end, ethnography research was used for lifesaving volunteers. In selecting the study participants, 'objective sampling' was used. As one of the techniques for objective sampling, 10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typical case selection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Conclus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ifesaving personnel's volunteer participation process and experience, first, lifesaving volunte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obtaining information about lifesaving personnel, starting with 'exploring lifesaving volunteer activities'. This was a problem arising from structural difficulties in the course of lifesaving education, and changes in lifesaving education were discussed. The second is ‘challenge as lifesaving personnel’, in which the challenge was swimming skills and to serve the community according to the challenge. Third, even if there is difficulty in ‘overcoming difficulties in volunteer activities’, they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due to the satisfaction of the support. Among them, it was found that many efforts were made to overcome a spouse's worries or opposition. Fourth, efforts to continue volunteer activities included physical fitness to overcome physical aging and efforts to manage fears of accidents and nature.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명구조요원으로써 자원봉사 활동을 하고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인명구조 자원봉사 활동의 과정과 경험은 어떠한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현재 활동하고 있는 인명구조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목적 표집’을 사용하였으며, 목적 표집의 기술 중 하나로서 전형적 사례 선택을 사용하여 연구참여자 10명을 선정하였고, 심층면담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결론: 인명구조요원의 자원봉사 참여과정과 경험은 어떠한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첫째, 인명구조 자원봉사자들은 ‘인명구조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탐색’, 둘째, ‘인명구조요원으로의 도전’, 셋째, ‘자원봉사 활동과정에서의 난관극복’, 넷째,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노력’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Implications of Erudition in Lifelong Education

        김성길,박신영 한국성인교육학회 200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1 No.4

        The incompleteness and instability of human beings is evidence that shows men are learners. The process of human deficiency and recovery is iterated, but before this process, man is born to encounter something new, to be familiarized with it, and to create something new out of it. It is human nature to learn; Erudition is a qualification for birth and destiny. Teaching and learning come after erudition. Teaching only helps reveal the learning nature, and learning is a means and a tool for erudition. This paper reviews the true meaning of erudition in three parts: Erudition that precedes teaching, erudition that pursues sharing and spiritual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erudition that deconstructs in order to create. Erudition is the basis of lifelong, and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an alternative point of view for its practice.

      • KCI등재

        시호(Bupleurum falcatum L)의 캘러스로부터 형성된 부정근의 Saikosaponin 함량

        김성길,조덕이,소웅영 한국식물생명공학회 1995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2 No.1

        시호 캘러스로부터 유도된 부정근의 saikosaponin 함량을 분석하였다. 캘러스로부터 부정근 발생은 0.1 mg/L a4-D가 첨가된 MS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배양기간에 따른 부정근 형성은 오래된 캘러스에 비해 4주 배양한 캘러스가 효과적이였다. 캘러스당 부정근 형성율은 캘러스의 크기가 900-1000 $\mu$M에서 가장 높았다. Saikosaponin의 총 함량은 배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Saikosaponin a와 d의 함량은 배양 150일에서 g부정근 건물 중량당 각각 2089 $\pm$ 124 $\mu$g과 4778 $\pm$ 214 $\mu$g이였으며 saikosaponin c의 함량은 60일 배양에서 3492 $\pm$ 123 $\mu$g 으로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saikosaponin contents in adventitious root formed from callus of Bupleurum falcatum L. The induction of adventitious root from callus of 4 weeks of culture was most favorable to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2,4-D. The adventitious root formation ratio per callus was highest when the size of callus was 900 to 1,000 $\mu$M The content of saikosaponin a and d was 2089$\pm$124 $\mu$g and 4778 $\pm$ 214 $\mu$g at 150 days of culture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g dry root wt, whereas that of saikosaponin c was 3492 $\pm$ 123 $\mu$g at 60 days of culture.

      • KCI등재

        다문화가정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 기초연구 : 다문화교육의 주체는 누구인가?

        김성길,한진상 한국성인교육학회 2010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cademic suggestions for developing lifelong erudition program, especially 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particular, the study investigated what institut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perate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how subjects and environment in the multicultural institutes educate them.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illuminated how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excluded from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what society needs for overcoming those impregnable situations. Currently, South Korea also has various typ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globalization. However, local situation needs to be investigated through the cultural and historical local context. Because South Korea had been a single-race nation historically, people in South Korea usually think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nly for those who are immigrants. For developing localized educational program of South Korea, we need to realize the exact situation, in which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laid in inequality. What they really suffer from is the educational system in which they cannot have opportunities to exposure themselves in a proper education. Indeed, formal educational institutes, including schools are not the very location they can rely on. Curricula of the school in South Korea are severely influenced by power relationship of social status as well as hidden curricula which are restricted from several regulations only for ‘Usual’ family. With those cultural and historical reasons, educational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replaced as simple activities, such as exploring superficial Korean culture and learning basic Korean. With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rudi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a process of assimilation from other society to ours. It connotes to educate society as a whole. To increase cultural sensitivity, we need to develop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is not for ‘them’, but for ‘us’. What are needs for the society is to increase cultural sensitivity and use it as social capital.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주체와 그들의 활동 장소를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고찰 분석함으로써 다문화가정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학문적 기초를 점검한 연구다. 그동안 한국인들은 다문화교육이 이주민들만의 교육이라고 곡해해왔다. 그나마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이 다문화교육의 주체가 되지도 못했다. 합법적으로 환영받았던 결혼이주민과 그 자녀들만이 다문화교육의 주체로 제한되었던 것이 현실이다. 실상 결혼이주민과 자녀들의 교육도 학교라는 공식적이고 권력지향적인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그로 인해, 다문화교육 활동은 한글교육과 문화체험 위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다문화교육은 사회구성원 모두의 다문화적 감수성을 키워주는 삶의 철학이다. 그동안 한국의 다문화교육이 이주민들의 적응과 동화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왔다면, 이제는 나와 너, 우리 모두를 주체로 하는 평생교육적 측면의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 사회구성원 모두가 사회 곳곳의 배움터를 활용하여 나와 다른 문화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고 이를 공공의 사회적 자본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요구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