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 시사 다큐프로그램의 제작관행의 변화 연구 : EBS'지식채널ⓔ'의 영상 표현 방법(자막 영상 사운드)을 중심으로

        김선진(Kim Sunj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최근 TV 시사다큐 프로그램 제작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생산 양식의 변화를 EBS <지식채널ⓔ>사례를 중심으로 제작 관행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는 기존의 수용자 중심 연구 내용 연구와 달리 작품 생산 과정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절차적 우선순위의 변화가 갖는 함의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제작 관행과 구별된 자막 영상 사운드의 사용방식이 어떤 의미를 재현하는지를 영상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이런 변화는 어떤 환경적 배경에서 형성된 것인지 거시적 원인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지식채널ⓔ>는 기존 다큐 프로그램의 제작 방식이 영상을 핵심적 미학 요소로 활용하고 그 외사운드 자막 CG 등을 부차적 요소로 활용하는 데 반해 이를 역전시킴으로써 제작 관행의 타파를 꾀하고 있다. 이런 변화의 거시적 환경 요인으로는 사회 문화적 요인과 기술적 요인을 기술하였다. 사회문화적으로는 권위주의의 해체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는데 제작내용과 형식에 모두 영향을 미쳐 주제범위가 확장됨과 동시에 제작관행에서 벗어난 새로운 미학적 표현 양식이 나타나게 된다. 기술적 요인으로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의 등장과 확산으로 인한 매체간 융합적 경향을 들 수 있다. 이로인한 수용자 환경의 다원화와 매체간 경쟁의 심화는 관습적 제작 틀을 벗어나 새로운 감성적 소구 필요성이 높아진 데서 또한 그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sed the changes of production style which appeared in recent production process of TV current affairs documentary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ion convention focusing on EBS <Knowledge Channel e>. This work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clarified the implication of those changes in procedural priority by focusing on the production process itself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udience oriented studies and content analyses. Specifically it examined its text visual and sound and their composition style from the visual aesthetic perspective and macro causes of the changes in terms of production environment. This study shows that <Knowledge Channel e> tries to avoid the existing production convention by reversing the production priority of components between visual and text which is very different approach from the traditional production style. The macro causes of these changes was explained as the sociocultural factor and technical factor. The sociocultural cause is the dissolution of authoritarianism. It affects both production content and form. As a result it expands the scope of theme in production content and make new aesthetic production style appear in production form. The technical cause can be found in the emergence and proliferation of various digital media and the trend of media convergence. These changes trigger new emotional appealing needs for audience which are induced by diversified user environment and severe competition between media.

      • KCI등재

        텔레비전 리얼 버라이어티 시청자 유형 연구

        김선진(Sunjin Kim)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6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1 No.-

        본 연구는 수용자에게 대표적 오락 매체인 TV를 시청하는 행위는 본질적으로 재미와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예능 오락 프로그램 중 대표적인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수용자가 무엇을 재미로 인식하고 있는지, 수용자들의 재미 유형을 분석하였다. 수용자들의 주관적 인식을 분석하는 데 유용한 연구방법인 Q방법론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시청에서 수용자의 재미 유형은 크게 ‘웃음과 감동 추구형’, ‘도전과 경쟁 추구형’, ‘선택과 참여 추구형’ 등 세 가지로 분석되었다. 핵심적 특성을 중심으로 요약하면, ‘웃음과 감동추구형’은 다양한 재미 요소 중에서 무엇보다 코믹한 내용에서 유발되는 ‘웃음’과 인간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감동’을 중시한다. ‘도전과 경쟁 추구형’은 도전, 경쟁과 같은 모험적 요소를 즐기고 스릴과 흥분, 일탈적 즐거움을 추구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선택과 참여 추구형’은 내재적 동기를 중시하여 자기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한 것에 대해 재미를 느끼고 프로그램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의 관여와 참여를 재미로 인식하는 유형이 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인과론적 관점의 TV시청행위 연구를 보완하고 그동안 경시되었던 재미를 중요한 TV시청요인으로 인식함으로써 TV수용자 연구의 이론적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V 방송제작자들에게 TV의 오락성을 구성하는 재미 구현 전략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실용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types for TV audience of real variety, mainly focused on fun factors using Q methodology developed by William Stephenson. As a result of study, It has produced three fun types of real variety TV audience, such as "laughter and impression seeking type", "challenge and competition seeking type", and "choice and participation seeking type". If summarizing the critical characters, "laughter and impression seeking type" considers laughter caused by comic content and impressive content caused by empathy as important for fun. They emphasize the emotional fun, and are emotion oriented people. "Challenge and competition seeking type" enjoys adventurous factors like challenge and competition, and seeks thrill, excitement, and deviant enjoyment. They consider cognitive fun as important for fun, in that they enjoy the type of game related problem-solving, and constrained by rules. "Choice and participation seeking type" considers intrinsic motivation as important, enjoys self determined choice, and recognizes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with program as fun. They are types of knowing own mind, and having independent disposition.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by TV producers, providing insight how to fortify fun factors for their program strategically.

      • KCI등재
      • 볼텍스 튜브를 적용한 냉방기에 대한 해석적 연구

        김선진(Sunjin Kim),신동규(Dong Kyu Shin),공임모(Im Mo Kong),김민수(Min Soo Kim)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4 No.11

        Electric fan and air-conditioner have been widely used as a cooling system. However, these systems have some disadvantages such as low cooling capacity or large volume, refrigerant leakage, high installation cost. A simple system composed of compressor and heat exchanger could be a solution of these problems but poor cooling effect of this system might be another problem. In this study, a vortex tube was used to improve the poor cooling effect of the system. Because vortex tube is a simple device which separates compressed air into hot and cold streams without any moving part, it was expected that the cooling effect of the system will be improved by vortex tube. To evaluate the effect of vortex tube, the cooling effect of the system was analyzed by numerical approach with vortex tube. The result shows that the cooling effect is improved remarkably when the vortex tube is applied. Furthermore cooling effect of various cold mass ratio could be applied to establish a strategy of cooling system with vortex tube.

      • KCI등재후보

        낚시성 기사 제목의 활용 실태 연구 : 네이버 뉴스캐스트 주요 일간신문을 중심으로

        김선진(Kim Sunj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The domination of portal on News has steadily been strengthened. News title editing of news media which results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ones and posted ones in portal news has been proliferating nationwide. This study researches the correlations between editing degrees and media type news media and news content kind etc. and classifies news title's editing types. The research objects was classified to daily newspaper economic newspaper information industry professional newspaper sports newspaper and internet newspaper. Then selecting representative 2 newspapers for each area this study compared their original news titles which had been shown on their internet sites with their headlines on naver newscas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most domestic news media are remarkably editing the portal news titles at the rate of 3 out of 10 articles. This increases the uncertainty of their meaning to intentionally induce reader's click. Eventually this hurts news media's credibility and public trust. The result that the leading news media more often and more much rely on the hooking news title editing darkens the future of Journalism. This study emphasizes that it's right time that the news media should consider their proper social responsibility not try to pursue the only commercial interest. 포털의 뉴스 지배력이 갈수록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언론사가 제공한 원 뉴스 제목이 포털에 게시된 뉴스의 제목과 현저히 달라지는 편집행위가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낚시성 기사 제목의 편집으로 인해 언론의 기본요건인 신뢰성이 위협받고 있다는 문제 의식으로 본 연구는 네이버에 뉴스를 제공하는 국내 주요 언론사의 낚시성 기사 제목의 편집 정도와 유형 매체별 언론사별 면종별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언론사를 크게 종합지 경제지 전문지 스포츠신문 인터넷신문 등 다섯 개 영역으로 나눠 각 영역별로 대표성 있는 2개 신문을 선정하여 해당 매체 웹사이트와 네이버 뉴스캐스트 각 영역별 헤드라인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주요 언론사들은 대부분 포털뉴스 제목 편집을 통해 상당한 수준으로 기사 제목을 바꾸고 있으며 기사 10건당 3건의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의도적으로 독자들의 클릭만을 유도하기 위해 뉴스 제목의 모호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언론의 신뢰성 공신력에 지속적인 손상을 입힌다는 점에서 시급히 개선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론지를 표방하고 국내 언론을 선도하는 종합지 경제지 들이 오히려더 자주 더 많이 뉴스 제목을 편집하고 있으며 낚시성 편집에서도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은 우리 나라 저널리즘의 미래를 어둡게 하고 있다. 언론사들은 상업적 이익만을 좇을 것이 아니라 언론으로서의 본연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더욱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때라 판단된다.

      • KCI등재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문화콘텐츠산업 발전방안 고찰

        김선진 (Kim Sunjin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최근 심화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 대응 문제를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현 정부가 설정한'저탄소 녹색 성장'을 실현 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에너지 저소비 저공해형 산업인 창조형 서비스 기반 산업으로 산업 구조가 전환 고도화해야 한다. 문화콘텐츠산업은 그와 같은 서비스 기반 산업 중에서 창의성 감성 상상력 등 무형자산을 기반으로 하고 환경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저공해산업이며 고부가가치 고성장 산업이란 점에서 저탄소 녹색 성장을 견인할 신성장동력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산업이 향후 저탄소 녹색성장을 선도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와 발전방향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우리 문화콘텐츠산업은 현재 타 산업 대비 경제 기여도와 수요기반이 미미하고 세계 시장에서 비중도 낮은 편이며 산업성장을 위한 저작권 인식이 취약한 문제를 안고 있다. 우리 문화콘텐츠산업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첫째 기업은 콘텐츠 융복합화를 통한 기존 콘텐츠 자원의 재활용 기회를 넓혀야 한다. 둘째 소비자는 창조적 프로슈머의 역할에 적극 동참하고 창작물을 널리 공유하는 개방적 태도를 가져야 한다. 셋째 정부는 건강한 콘텐츠 생태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공공콘텐츠 기반 구축 공정 경쟁 환경 조성 콘텐츠 이용 인프라 조성 등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in terms of promotion of Culture Content Industry. Korea should transfer and upgrade the industry structure to low energy consumption and low pollution industry like creative service based industry to realize the 'Low Carbon Green Growth' which the present government is pursuing in the long term.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is drawing attention as the new growth engine towing the 'Low Carbon Green Growth' in the next age. It's because it is based on the intangible assets like creativity sensibility and imagination. It is also the low pollution industry which doesn't cause environment problem. Additionally it is high value high growth industry.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what are the main problems to be solved and the developing direction for Culture Content Industry's leading the 'Low Carbon Green Growth'. The present Korean Culture Content Industry has several problems. Those are firstly its economy contribution and demand base are comparatively low compared with other industries. Secondly it has low proportion in the world market compared with leading advanced nations. Lastly it is facing the problem of low copyright understanding.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propositions to solve the problems and contribute the 'Low Carbon Green Growth'. The Enterprise should reuse the existing content resources through content convergence. The Consumer should take the role of creative prosumer and have the open mind to share his own intellectual creation. The Government should take the role of establishing the public content foundation fair competition environment and content usage infrastructure to establish healthy content ecosystem.

      •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용 영구자석 모터의 열적 모델링과 냉각 시스템 최적 운전 제어에 대한 연구

        김선진(Sunjin Kim),김귀택(Gwiteak Kim),정융(Yoong Jung),김민수(Min Soo Kim) 대한기계학회 2017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7 No.11

        Because of the environmental issues, hybrid/electric vehicles are becoming the focus of the automotive industry and research field. From this trend, permanent magnet (PM) motors are receiving much attention because hybrid/electric vehicles can replac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a PM motor to generate driving force. Li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PM motor can produce power and also heat losses during the driving mode. So PM motor need cooling system to maintain the temperature lower than the temperature limit. So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for the cooling system can directly affect the mileage extension of electric vehicle. So in this paper, optimal operation control of motor cooling system is studied based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PM motor. For the optimizing PM motor cooling system, thermal modeling of PM motor is also conducted. If heat losses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PM motor are considered, cooling system control can be conducted efficiently. From the saving power of the cooling system, mileage extension of electric vehicle is calculated for the given driving mode. If the algorithm of the cooling system control is applied for another system of electric vehicle like battery or any other electrical component, electric vehicle driving range will be extended or battery size can be minim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