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용전기자극기 성능 및 안전성 평가 방법 연구

        김산,장무영,황윤수,이기훈,허찬회,홍충만,Kim, San,Jang, Moo-Young,Hwang, Yoon Su,Lee, Ki-Hun,Hur, Chan-Hoi,Hong, Choongman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49 No.11

        선진국의 고령사회 도래 및 웰빙 확산, 중국, 인도 등 후발 공업국의 급성장에 따라 최근 전자의료기기시장이 크게 확대 되고 있다. 이중 다소비 생활밀착형 전자의료기기중 하나인 개인용전기자극기는 통증완화, 재활치료, 근육운동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자극기로써 가정에서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만큼 그 안전성 및 성능 확보는 사용자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개인용전기자극기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는 가이드라인이 아직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수준에 부합하는 개인용전기자극기의 안전성과 성능을 평가하기위해 관련 국내외 규격을 검토하였고 시험항목, 기준 및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시험항목에 대한 시험검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국제 조화된 안전성 및 성능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개인용전기자극기의 품질 및 안전성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국내 전자의료기기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electronic medical device industry and the relevant market have been greatly expanded ow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dvent of the aged society and the spread of the desire for well-being in developed countries, and rapid development of China, India and other emerging markets. The electrical stimulator is one of electronic medical devices most commonly used in homes. The electrical stimulator is widely used for pain relief, rehabilitation, muscle conditioning and others. Since it is mainly used in homes, it is very important to assure the safety and performance for protection of users. However, there is no guideline on evaluation of safety and performance of such electrical stimulator for home use. In this study, various local and foreign references were reviewed to develop the internationally harmonized procedures for safety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electrical stimulator and test items, specifications and methods are proposed. In addition, such proposed test items were validated to decide the internationally harmonized tests for safety and performance evalu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quality and safety of electrical stimulators for home use and help the Korean medical device industry hav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택견 품밟기의 운동학적 접근

        김산,배효우 한국무예학회 2019 무예연구 Vol.13 No.2

        This study examines the value of martial arts movement as poombarbgi approach to kinesiological tactility, a unique gesture of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 Taekkyeon. The poombarbgi can be divided into two steps: ogeumgil is rhythm of the third beat, rhythmic bending of the knee, and step of moving the foot in a triangular shape. Here, the ogeumgil quality is a method of manifesting the force by using the ground reaction force, and the rhythm of the 3-piece rhythm is a method of mak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force become the sole by relaxing the tension of the upper body. Also, the step that moves the foot to the triangle is a method of training how to move the body to the actual competition field by using the hypotenuse of the triangle. Using your reaction force by you lower your weight, using the hypotenuse of a triangle, we can see it in Chinese and Japanese martial artsUse your reaction force by you lower your weight, using the hypotenuse of a triangle, Poobarbgi that Coexist with elements that exert their power and use that power effectively, was a highly martial performing method. 품밟기는 한국의 전통무예인 택견을 다른 지역의 무예들과 구분할 수 있는 독특한 움직임이며, 이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포괄적인 운동학적 관점으로 품밟기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택견의 품밟기를 운동학적 관점으로 품밟기가 가지는 무예 동작으로서의 가치를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품밟기는 3박자의 리듬을 사용하여 무릎을 리드미컬하게 구부리는 오금질과 삼각형 모양으로 발을 움직이는 스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오금질은 결국 지면반력을 사용하여 힘을 발현하는 방법이며, 3박지의 리듬은 상체의 긴장을 완화하게 하여 힘의 시작점을 발바닥으로 만들게 하는 방법이다. 또한 삼각형으로 발을 움직이는 스텝은 삼각형의 빗변을 이용하는 몸놀림으로 실제 겨루는 현장에 맞게 몸을 움직이는 방법에 대한 수련법인 것이다. 자신의 몸무게를 낮추어 지면 반력을 사용하는 것이나 삼각형의 빗변을 사용하는 방법은 중국이나 일본의 무예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이나, 힘을 발휘하고 그 힘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요소가 함께 공존하는 품밟기는 완성도 높은 무예적 수행 방법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

        『武藝圖譜通志』의 勢에 대한 연구

        김산,김주화 한국체육사학회 2004 체육사학회지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special quality through analyzing martial arts in a book of "Muyedobotongji" focus on Se(勢), the essential element of Korean martial art. Through that I examined that Qiosun dynasty interchanged martial art with Chinese and Japanese and likeness of martial arts reciprocally. Jangchang(長槍, the large lance), Jookjangchang(竹長槍, the large lance made of bamboo), Gichang(旗槍, the lance with flag) were used carving enemy, and Dangfa(당파), Nangsun(狼선) were used gaining control over opponent's weapon, i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er, and the origin of these martial art were from China. At sword with short hilt, Ssangsoo-do(雙手刀), Jedok-geom(提督劍) and Ssang-geom(雙劍) were from China, and Wae-geom(倭劍) was form Japan, and Ye-do(銳刀), Bonguk-geom(本國劍) were originally from Korea. At sword with long hilt, Weol-do(月刀) and Hyeoh-do(俠刀) were used carve with big brandish and Hyeoh-do was used spearing as like Jangchang, and the origin of Weol-do, Hyeoh-do were from China. Kwonbeob(拳法, weaponp-free martial arts), Konbong(棍棒, large dub), Pyeon-kan(鞭棍, the large club with small club), these were from China. The Se of Masangmuye(馬上武藝, the martial art with house), Masang ssang-geom(馬上雙劍), Masang Weol-do(馬上月刀) and Masang pyeon-kon(馬上鞭棍), was named together when these were introduced.

      • KCI등재

        최초의 솔각 전문서적 '중화신무술 솔각과 상편'에 관한 연구

        김산 한국체육사학회 2022 체육사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and meaning of 'Chinese New Martial Arts Solgak and Sangpyeon', which is in an important position in modern Chinese martial arts teaching, through a literature review method. Maryang’s new Chinese martial arts system, which created a step-by-step teaching system by classifying and combining the Chinese martial arts of the Republic of China, which can be said to be the period of China’s modernization, into Western byeongsik gymnastics elements, is a meaningful attempt to modernize Chinese physical education. Among them, 'Chinese New Martial Art Solgak Sangpyeon', a book about Solgak, which can be called Chinese style wrestling or ssireum, is the first book to professionally describe the Solgak techniqu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eaningful book as the first attempt at the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 중국 무예교습에 중요한 위치에 있는 '중화신무술 솔각과 상편'의 내용과 의미를 문헌고찰의 방법으로 고찰함에 있다. 중국의 근대화 기간이라 할 수 있는 민국시대 중국 무술을 서양의 병식체조적 요소로 분류하고 조합하여 단계적 교수체계를 만든 마량의 중화신무술 체계는 중국 체육의 근대화에 의미 있는 시도라고 할 것이다. 그중 중국식 씨름이나 레슬링이라 할 수 있는 솔각에 관한 서적인 중화신무술 솔각과 상편은 솔각 기술을 전문적으로 기술한 첫 서적이면서 중화신무술 체계의 서술 방법으로 인해 전문적 신체 문화였던 솔각을 일반적 교육체계로의 첫 시도로서 의미 있는 서적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

        忠武公 李舜臣의 《亂中日記》․《李忠武公全書》에 나타난 Combat Sports -MechiKoff & Estes(1998)의 이론에 근거를 토대로-

        김산,안진규,박용범 한국체육사학회 2011 체육사학회지 Vol.16 No.1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and analysing Lee Sunshin combat sports in a real level written in 《Lee Chungmugong Literary Collection》and 《Nanjung Ilgi》based on MechiKoff & Estes(1998) theory and also at describing and understanding a link between the Combat Sports at the time and the Combat Sports at the present time. Shedding light on combat sports written in 《Lee Chungmugong Literary Collection》and 《Nanjung Ilgi》begins on the viewpoint of considering sports to be a kind of culture. The fact that sports phenomena shown in today's sports can be found in naval battles about 400 years before too may satisfy one of the conditions which can include sports in an area of culture. Today competition comes into existence in sports fields yet and the efforts to be alive in the competition that is efforts to struggle for preeminence offer strong motives to sports persons as well as audiences. That is combat sports before about 400 years come into existence today too and take an important role in the existence of the sports. As long as combat sports don't pass away sports we know will come into existence forever and will make us crazy about sports. 이 연구는 MechiKoff & Estes(1998)의 이론에 근거하여 이순신의《亂中日記》와 《李忠武公全書》에서 나타난 당시 실제 전투스포츠를 조사․분석함으로써 현시대의 스포츠와의 연결고리에 관한 언급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이순신의《亂中日記》와 《李忠武公全書》에서 나타난 전투스포츠를 현대스포츠와 연결하여 조명한 점은 체육을 하나의 문화로서 보는 견지에서 출발하였다. 둘째, 현시대의 스포츠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체육현상들이 400여 년 전의 해전에서도 찾아 볼 수 있었으며, 또 체육을 문화의 영역으로서 끌어들일 수 있는 조건 들 중, 한 기준을 충족시켜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현시대의 스포츠현장에서는 아직도 경쟁이 존재하고 있으며, 또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노력, 즉 탁월성을 쟁취하기 위한 노력은 스포츠를 행하는 사람이거나 보는 관람자들에게 강한 동기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이순신의 400여 년 전의 전투스포츠는 오늘날 스포츠에서도 잔재하고 있었으며 또 이러한 전투스포츠는 오늘날 스포츠가 존재하는데 중요한 요소로서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전투스포츠가 사라지지 않는 한 우리가 알고 있는 스포츠는 영원히 존재함과 동시에 현시대의 스포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