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사선이 마우스 위장관에 미치는 gastrin의 면역조직화학적 영향

        김부순 한국위생과학회 2002 한국위생과학회지 Vol.8 No.2

        방사선 조사가 위장관 각 부위(위저부, 유문부,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결장 및 직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비교적 방사선에 민감한 strain으로 알려진 C57BL/6 마우스의 위장관 부위에 국소적으로 2 또는 4 Gy의 gamma선을 조사하여, 8시간 후 위장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위장관에 존재하는 내분비세포의 혈 중 gastrin의 수치와 호르몬을 생산하는 내분비세포의 수적 및 분포의 변화를 각각의 항혈청을 이용한 면역조직화적 방법으로 위장관 각 부위에서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gastrin 면역반응세포는 정상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군에서 유문부와 십이지장에 국한되어 관찰되었으며, 유문부에서는 방사선 조사선량에 비례하여 정상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십이지장에서는 수적 변동은 관찰되지 않고, 방사선 조사선량에 비례하여 탈과립을 보이는 세포들이 수적으로 증가되었다. 한편 혈중 gastrin 함량은 상층 조사군에서만 정상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며, 중간층 및 하층 조사군에서는 정상군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방사선 조사 후 내분비세포의 감소는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염색되는 내분비세포의 과립이 혈 중에 유리된 결과로 생각되며, 다른 인자에 의한 탈과립의 자극보다는 방사선이 직접 면역반응세포에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local gamma irradiation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radiation sensitive C57BL/6 mice strain, the histological profiles of the 8 portions of gastrointestinal tract(fundus, pylorus, duodenum, jejunum, ileum, cecum, colon and rectum) were observed 8 hours after irradiation(subdivided into 3 parts, upper, middle and lower irradiated group).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were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using specific antisera against glucagon with their serum levels by radioimmunoassay(RIA). Gastrin-immunoreactive cells were restricted in the pylorus and duodenum of all tested groups in this study. They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mount of irradiated gamma ray in the pylorus. And also, degranulation of these immunoreactive cells with amount of irradiated gamma ray was demonstrated. However, serum gastrin levels increased with amount of irradiated gamma ray in the case of upper irradiated group. In lower and middle irradiated group, however, no change of serum gastrin levels was observed. In conclusion, Hormone in blood increased, well corresponding to those of decrease of immunoreactive hormone- producing cells in gastrointestinal tract.

      • 방사선조사가 금식 흰쥐 위에 미치는 미세구조의 변화

        김부순,성연문 대구보건대학 1998 대구보건대학 論文集 Vol.18 No.-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ultrastructural influence of radiation on rats stomach tissue, the difference between NPO and con in the rats stomach was measured after a single irradiation to 15 Gy dose, the results follow ; Widening of intercellular space, and swelling and degeneration of secretory granules in chief cells were observed from NPO rats of a day after irradiation. In mucosal epithelial cells of con rats of 7 days after irradiation, destruction of microvilli was similar to from NPO rats of a day after irradiation but morphology was cuboidal. Parietal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were active as well as mucous epithelia structures were stable like to control rats from con of 14 days after irradiation. But NPO rats were not until 28 days after irradiation that mucous epithelial structures were stable too.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we know obviously that NPO will be a factor of stomach abnomalities while hospital patients are treated with high-energy irradiation.

      • KCI등재
      • 방사선이 마우스 위장관에 미치는 glucagon의 면역조직화학적 영향

        김부순,조광호,박상옥 한국위생과학회 2002 한국위생과학회지 Vol.8 No.1

        방사선 조사가 위장관 각 부위(위저부, 유문뷰,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결장 및 직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비교적 방사선에 민감한 strain으로 알려진 C57BL/6 마우스의 위장관 부위에 국소적으로 2 또는 4 Gy의 gamma 선을 조사하여, 8시간 후 위장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위장관에 존재하는 내분비세초의 혈 중 glucagon의 수치와 호르몬을 생산하는 내분비세포의 수적 및 분포의 변화를 각각의 항혈청을 이용한 면역조직화적 방법으로 위장관 각 부위에서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는 정상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군에서 위저부에 국한되어 관찰되었으며, 수적 변동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방사선 조사선량에 비례하여 탈과립을 보이는 세포들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혈중 glucagon함량은 상층 조사군에서만 증가되었으며, 중간층 및 하층 조사군에서는 정상군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방사선 조사 후 내분비세포의 감소는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염색되는 내분비세포의 과립이 혈 중에 유리된 결과로 생각되며, 다른 인자에 의한 탈과립의 자극보다는 방사선이 직접 면역반응세포에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local gamma irradiation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radiation sensitive C57BL/6 mice strain, the histological profiles of the 8 portions of gastrointestinal tract(fundus, pylorus, duodenum, jejunum, ileum, cecum, colon and rectum) were observed 8 hours after irradiation(subdivided into 3 parts, upper, middle and lower irradiated group).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were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using specific antisera against glucagon with their serum levels by radioimmynoassay(RIA). Glucagon-immunoreactive cells were restricted in the fundus of all tested groups including non-irradiated normal group, similar number of these immunoreactive cells were demonstrated in all tested groups. While increasing of cell numbers showing degranulation were found found dependent with amount of irradiated gamma ray. However, serum glucagon levels increased with amount of irradiated gamma ray in the case of upper irradiated group. In lower and middle irradiated group, no changes of serum glucagon levels were demonstrated in this study. In conclusion, Hormone in blood increased, well corresponding to those of decrease of immunoreactive hormone- producing cells in gastrointestinal tract.

      • KCI등재후보

        Assessment of Entrance Surface Dose and Image Distortion in Accordance with Abdominal Obesity in the Chest Radiography

        김부순(Boo Soon Kim),박정규(Jeong Kyu Park),권순무(Soon Mu Kwon) 한국방사선학회 2015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9 No.7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보정 하였을 때 대사 증후군의 예측에 가장 높은 연관이 남녀 모두에서 비만-복부 비만군이라고 보고되고 있으며, 의료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방사선에 대한 피폭선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흉부 X선 검사에서 복부의 비만정도를 가정하여 흉부팬텀에서 앞쪽방향(forward)으로 각도를 부여한 후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입사표면선량과 영상의 왜곡 정도를 평가하였다. 흉부팬텀의 각도가 앞쪽방향으로 5° 증가할 때 마다 폐의 가로직경은 1.22%, 세로직경은 0.44% 증가하였다. 심장직경은 앞쪽방향으로 5° 증가할 때 마다 1.01% 증가, CTR은 0.27% 감소가 관찰되었다. 그 중 폐의 가로직경이 가장 큰 증가, 폐의 세로직경이 가장 작은 증가를 보였고 CTR은 작은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팬텀에 입사하는 표면선량 측정의 경우, 흉부팬텀의 각도가 앞쪽방향으로 5° 증가할 때 마다 6.12%의 비교적 큰 증가를 보였다. 임상에서 흉부 X-선 후전방향촬영을 시행하는 경우, 복부비만 등으로 인해 흉부의 각도가 기울어짐에 따라 영상의 왜곡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노출되는 선량이 증가되고 재촬영으로 추가적인 방사선 피폭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올바른 위치잡이에 주의를 기울여 환자의 방사선피폭 감소에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Abdominal obesity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index to predict of insulin resistance syndrome/metabolic syndrome in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is matter of fact that radiation dose are increasing with development of medical treatment and device. In this study, we estimated distortion between reference image and entrance surface dose when take a chest radiography forward chest phantom assumed abdominal obesity. When angle of chest phantom incline 5° forward, thoracic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ameter increase 1.22% and 0.44% each. Also cardiac transverse diameter increase 1.01% and cardio-throracic ratio (CTR) decrease 0.27% in the same situation of incline to 5° forward. Thoracic transverse diameter shows the largest increase, and CTR was decreased. But entrance surface dose to phantom increase significantly 6.12% when angle of chest phantom incline 5° forward. In conclusion, we have to pay attention to accurate positioning, to prevent a distortion of image through incline, and make patients not to expose to additional radiation.

      • KCI등재후보

        진단방사선의 노출 조건에 따른 열형광선량계와 광자극형광 선량계의 선량값 상대비

        강영한,권순무,김부순 한국방사선학회 201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6 No.6

        개인피폭선량계인 열형광선량계(TLD)와 광자극형광선량계(OSLD)를 진단방사선 영역에서 사용할 때 에너지와 조사 횟수, 투시촬영 시간, 산란선 노출 일 수 등에 따라 측정값이 차이가 있는지를 상대비와 상대비 간격으로 알아보았다. 에너지에 따라서는 TLD의 상대비(1.81±0.41)가 OSLD의 상대비(1.40±0.26)보다 높았고, 조사 횟수에 따라서는 TLD의 상대비(2.10±0.10,)보다 OSLD의 상대비(2.33±0.09)가 더 높았다. 투시촬영 시간에 따른 상대비와 산란선 노출일수에 따른 상대비는 두 선량계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산란선 노출일수에 따른 상대비의 간격이 0.2 이내로 나타나 직접선의 대비 간격보다 좁았다. 이는 직접선의 측정결과보다 산란선의 측정에 있어 TLD와 OSLD의 결과값에 신뢰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 피폭상황에 따라 선량계 간에 상대비가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음을 인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가지 선량계를 이용하여 교차평가를 함으로써 선량 측정 결과값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radiation dose value through energy, exposure number, fluoroscopy time, the number of days of exposed scatter X-ray when TLD and OSLD is used in diagnostic radiology. The difference of value were measured by relative ratio and interval. Energy makes high relative ratio of TLD(1.81±0.41) than OSLD(1.40±0.26), exposure number makes high of OSLD(1.40±0.26) than TLD(2.10±0.10).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lative ratio of TLD and OSLD in fluoroscopy time and the number of days of exposed scatter X-ray. But interval of relative ratio in the number of days of exposed scatter X-ray was narrowed in less 0.2. That means, the measurement of scatter X-ray could more confident in TLD and OSLD than the measurement of direct ray. In conclusion, we have to recognize the relative ratio of TLD and OSLD could be vary depending on exposed condition of radiation. And in some cases, double test of TLD and OSLD get more creditable results of dose value.

      • KCI등재후보

        관상동맥조영술과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에서 환자 선량과 암 발생 생애귀속위험 평가

        강영한(Yeong-Han Kang),김부순(Bu-Sun Kim),박종삼(Jong-Sam Park)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0 방사선기술과학 Vol.33 No.3

        관상동맥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관상동맥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CA)과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과정에서 환자에 대한 유효선량을 알아보고, 이 선량으로 인한 암 발생위험을 CA와 PCI를 구분하여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CA를 시행한 환자 60명과 PCI 시술을 받은 환자 58명을 대상으로 DAP(dose-area product)를 측정하였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s) 프로그램(PCXMC 1.5)을 이용하여 유효선량과 장기선량을 산출하였다. 암 발생의 생애귀속위험의 평가는 전리방사선 생물학적 효과 위원회의 7차 보고서(BEIR Ⅶ)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DAP 값 평균은 CA군에서 53.76 Gy ․ cm 2 이었고, PCI군에서는 165.82 Gy. cm 2 이었다. 유효선량은 CA군에서 평균 1.28 mSv이었고, PCI군에서는 3.94 mSv이었다. 장기선량은 폐에서 CA군 2.17 mSv, PCI군 6.71 mSv이었고, 여성 유방선량은 CA에서 5.45 mSv, PCI에서 16.82 mSv이었다. 암 발생 생애귀속위 험은 CA에서 남성은 1,508명 중 1명, 여성은 1,357명 중 1명이었고, PCI에서는 남성 553 중 1명, 여성은 482 명 중 1명이었다. DAP 값은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을 기본으로 하여 장기선량과 유효선량을 계산할 수 있는 지표가 되었다. CA와 PCI 과정에서 환자에게 노출되는 방사선량은 무시할 수 없는 암 발생의 생애귀속위험이 된다. 또한 암 발생 위험은 PCI군에서 더 높았고,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 dose to an average patient from Coronary Angiography (CA) an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And to estimate the lifetime attributable risk (LAR) of cancer associated with radiation exposure from CA and PCI. The dose-area product (DAP) values to the patient were recorded from 60 CA and 58 PCI. A Monte Carlo based program PCXMC was used to calculate the effective dose from DAP values for each patient. Lifetime attributable risks were estimated with models developed in the National Academies' Biological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Ⅶ report. The mean DAP values was 53.76 Gy ․ cm 2 for CA and 165.82 Gy ․ cm 2 for PCI. Mean effective dose were 1.28 mSv in CA, 3.94 mSv in PCI. Results of Calculate organ dose, lung doses was 2.17 mSv in CA and 6.71 mSv in PCI. Female breast doses was 5.45 mSv in CA and 16.82 mSv in PCI. LAR estimates for CA varied from 1 in 1,508 for man to 1 in 1,357 for women. In PCI procedure varied from 1 in 553 for man to 1 in 482 for women. DAP can be used as the dose indicator to calculate the organ dose and effective dose of patient based on Monte Carlo simulation. These dose estimates derived from our simulation models suggest that CA and PCI are associated with a nonnegligible LAR of cancer. This risk varies markedly and is considerably greater for women, PCI than for man, 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