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우화와 이솝우화의 서사 구조와 담론 비교 –동물우화를 중심으로–

        김복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2

        김복순, 2023, 한국 우화와 이솝우화의 서사 구조와 담론 비교, 어문연구, 198 : 329~357 본고는 동물우화를 중심으로 이솝우화와 한국 우화에 나타나는 담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서사 구조와 담론 주체의 세계 인식, 그리고 텍스트에 나타나는 지배담론의 성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이솝우화와 한국 우화에 공통적인 화소가 포함되거나 유사한 줄거리를 가진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서사 구조의 경우, 이솝우화는 서로 대립하는 관계를 이루는 인물들의 행위들이 필연적 논리로 연결되며 담론 형성에 필수적인 서사 요건만을 중심으로 간결하면서도 치밀하게 연결된 해결의 플롯으로 구성된 반면, 한국 우화는 서사의 구조적 논리가 다소 느슨하기는 하지만 인격화된 인물을 구축하여 개연성을 높이는 폭로의 플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담론 주체의 세계 인식은 이솝우화는 자연법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약육강식, 적자생존의 담론을 형성하는 반면, 한국우화는 사회법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인과응보와 상생의 담론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이솝우화는 개인주의적 생존을 지배 담론으로 삼은 반면, 한국 우화는 집단주의적 상생을 지배 담론으로 삼는다.

      • KCI등재

        『古今笑叢』에 수록된 喪祭 笑話의 웃음 談論

        김복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This study is an analysis about the narrator's epic strategy that makes fun of the behavior of characters in the written traditions of Funny Story related to funerals and ancestral rites. These texts contrast the social convention of the discourse community with the deviation of the character. In this way, we exaggerate the injustice and immaturity of the act and discuss about laughter. These laughs are linked to the following three discourse. The first discourse is to discipline ordinary people, who mimic the gentry law in order to share it. This discourse reflects the power of the discourse community. The second is a discourse practice that urges faithful execution of funerals and ancestral rites, which is a tool of governing ideology, to maintain the power of the discourse community. Finally, in reality, there is a gap between Confucianism's Idea and practice. The laughter in these types of stories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n open discourse competition in which the discourse community leads to new discourse. 김복순, 2018. 『고금소총』에 수록된 상제 소화의 웃음 담론, 어문연구, 180 : 165~190 본 연구는 상제(喪祭)와 관련된 문헌소화(文獻笑話)들을 등장인물들의 행위를 웃음으로 희화하는 서술자의 서사적 전략에 대한 분석이다. 이 소화(笑話)텍스트들은 인물의 일탈 행위를 담론공동체의 사회적 통념과 대비시킴으로써 해당 행위의 부당함과 미숙함을 과장하는 서술 방법을 통하여 웃음을 담론화해 나간다. 이 웃음들은 다음 3가지 양상의 담론과 결부된다. 첫째, 양반 사대부식 법제를 공유하려 흉내내는 평민을 징계(懲誡)하는 것으로 담론공동체의 권력행사가 투사된 담론이다. 둘째, 담론공동체의 권력을 고수하기 위하여 지배 이데올로기의 도구라 할 수 있는 상제법도(喪祭 法度)의 충실한 이행을 촉구하는 담론적 실천이다. 마지막으로 유교 이념의 이상적 도의와 현실적 실천 사이에 존재하는 괴리에 대한 문제를 공론화하여 담론공동체로 하여금 새롭고 정당한 담론의 전이를 이끌어 내도록하기 위한 개방적인 담론경쟁으로서의 웃음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페미니즘 시학과 리얼리티의 문제

        김복순 한국현대소설학회 2006 현대소설연구 Vol.- No.32

        On the Feminist Poetics and Reality-Focusing the Herstorical Novel- 리얼리티, 즉 무엇이 사실인가를 결정하는 싸움은 ‘우리’와 관련된 정치적 싸움이다. 페미니즘 시학은 남성 중심적 ‘방법의 젠더’, ‘이론의 젠더’를 지적하고 학문적 정당성의 측면에서 이의를 제기하는 ‘새로운 보편객관 만들기’ 작업이다.본 연구에서는 페미니즘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차이’를 논의하여 차이를 개별성에 머물지 않고 ‘보편성’의 범주로 편입해 들여야 함을 역설하였다. 리얼리티는 상황적 보편성과 관계주의적 객관성 개념에 의거, ‘위치성’과 ‘합의’라는 두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리얼리티에는 주관적 리얼리티와 객관적 리얼리티가가 있다. 위치성만 드러나면 주관적 리얼리티, 합의의 형태가 제시되면 객관적 리얼리티를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새로운 페미니즘 시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을 여성역사소설에 적용하여 내적 형식 및 시학원리를 규명하였다. 여성역사소설은 운명 공동체로서의 타자성의 발생 및 성찰과 긴밀한 관계를 가진다. 여성역사소설은 가족을 통해 역사를 서사화 하며, 여성 고유의 삶과 경험 원리에 입각하여 역사를 인식하고 역사를 해석하기에 기존의 남성 중심적 역사기록을 해체보완한다. ‘안’에 묶인 존재로서 여성이 역사와 만나는 방식은 정치적 사건과 연관되는 방식이 아니라 가족사, 풍속사, 일상사 중심의 비영웅주의적 역사관의 역사인식방식과 상생적 구원관이었다. 이는 여성의 위치성(상황적 보편성)을 인식재정립하는 것으로, ‘파편적 개별성’이라 볼 수 없으며, 역사를 사사화 하는 것도 아니다. 리얼리티를 확보한 것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또한 여성역사소설에서는 풍속사와 함께 일상사적 측면이 두드러지게 부각된다. 풍속은등장인물들의 일상이 ‘경험적 현실’로 재현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풍속에서는 ‘개인’보다 장기지속적 토대(구조)의 측면이 더 강조된다. 풍속은 문화적인 면에서 탐구하는 것으로서, 여성역사소설의 역사인식은 ‘문화로서의 역사’ 인식에 가깝다. 풍속은 삶을 총체화하는 형식으로서, 기존의 역사 개념을 대체하는 일종의 담론적 형태이며, 역사의 환유적 대체물로 기능한다. 따라서 풍속을 이해하는 행위는 그 자체로 또 다른 종류의 역사를 쓰는 것이다.여성역사소설은 남성 중심 서사를 보완하는 조각이불의 형식, 모자이크 형식, 극적 구성의 방식 등 ‘산포의 형식’과 중층적 묘사, 감성서사의 리얼리티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여성역사소설은 여성적 진리, 여성적 경험을 표현하는 하나의 ‘대안’을 제시해 준다. 이는 여성적 진리가 ‘진리’라는 보편성, 즉 ‘우리 안의 진리’로서, ‘우리 안의 보편성’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